시골생활 못버티고 결국 섬을 떠났다 ♡ 빈집만 가득한 예술촌

올빼미TV
27 Jan 202410:13

Summary

TLDRتدور قصة النص حول حياة تالنت باك وون숙 التي تغيرت بعد الانتقال من الريف إلى بينغتشانغ، قرب سيول، بسبب الضعف في التحمل للحياة الريفية. تدور القصة حول قرية فنونيين في نانهاي، جنوب اليابان، التي أنشأها مستثمر صناعي عام 2009. تتضمن قصة تطور القرية وارتفاع قيمتها العقارية، وكذلك التحديات التي واجهتها باك وون숙 بسبب المسافة عن سيول وعدم توفر المرافق الحيوية. كما تطرق إلى تأثير الظهور في بث تليفزيوني على عدد الزوار، مما أدى إلى زيادة عددهم لتصل إلى 420 ألف في عام 2019.

Takeaways

  • 🏡 박원숙 씨는 경남 남해군의 독일말 바로 옆에 있는 원해 예술촌에서 수년을 살다가 서울에서 가까운 평창으로 이사했다.
  • 🎟️ 원해 예술촌의 입장료는 성인 기준으로 6,000원이며, 안에 카페와 식당이 있어 별도의 계산이 필요하다.
  • 🏚️ 예술촌은 2009년에 민간 사업자가 100억을 투자하여 만들었으며, 2013년까지 100만명 이상의 관람객을 모았다.
  • 📉 예술촌은 오픈한지 15년이 되어 시설이 노화되고 낡아져서 손님이 많이 없어졌다.
  • 🏘️ 예술촌의 주택들은 디자인이 각양각색이며, 대부분 카페나 식당으로 운영되고 있다.
  • 👥 예술촌에는 연예인 두 명이 살고 있으며, 이로 인해 땅값이 상승했다.
  • 📺 탤렌트 박원숙 씨의 집은 2019년 '같이 삽시다' 프로그램에서 방송되어 관광객이 급증했다.
  • 🏠 박원숙 씨의 집은 이전에는 유럽식으로 지어져 있었으나, 현재는 카페로 운영되고 있다.
  • 📈 예술촌의 땅값은 2007년에 분양했을 때의 20만 원에서 현재 300만 원 이상으로 급등했다.
  • 🌄 독일마을은 예전에는 독일인들이 많이 거주하였으나, 현재는 독일인을 찾아볼 수 없다.
  • 💡 예술촌과 독일마을은 관광지로 개발되어 상가가 많아졌으나, 손님이 많지 않아 상가들의 운영이 어려워졌다.

Q & A

  • 박원숙 씨가 이전에 살았던 곳은 어디입니까?

    -박원숙 씨는 경남 남해군 독일말 바로 옆에 있는 원해 예술촌에 살았습니다.

  • 예술촌 입장료는 얼마입니까?

    -예술촌 입장료는 성인 기준으로 6,000원입니다.

  • 예술촌 안에 있는 카페나 식당 이용 시 추가 요금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예술촌 안에 있는 카페나 식당에 들어가서 커피를 사 먹으면 별도로 계산을 해야 합니다.

  • 예술촌이 처음 개장한 해는 언제입니까?

    -예술촌은 2009년에 오픈했습니다.

  • 예술촌이 개장한 후 몇 년 동안 누적 관람객이 100만 명을 돌파했는지 알 수 있습니까?

    -예술촌은 2013년까지 누적 관람객이 100만명이 넘었다고 합니다.

  • 박원숙 씨가 현재 살고 있는 곳은 어디입니까?

    -박원숙 씨는 현재 평창으로 이사하여 거주하고 있습니다.

  • 박원숙 씨가 예술촌에서 이사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박원숙 씨는 아들을 잃고 우울증에 걸려 정신적인 요양을 하기 위해 남매와 함께 이사를 했습니다.

  • 예술촌의 택지가 처음 분양되었을 때의 가격은 어땠습니까?

    -2007년 예술촌 택지 분양 시, 평당 20만 원도 안했습니다.

  • 예술촌의 택지가 현재 가격은 얼마입니까?

    -최근에 예술촌의 택지가 350만 원 이상으로 올라갔다고 합니다.

  • 예술촌에 사는 연예인들이 몇 명인가요?

    -예술촌에 연예인 두 명이 살고 있습니다.

  • 박원숙 씨가 예술촌에서 이사한 후 현재 그녀의 집은 어떻게 운용되고 있나요?

    -박원숙 씨가 이사한 후, 그녀의 집은 카페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Outlines

00:00

😀 رحلة إلى قرية الفنون

أقامت الممثلة باك وون سوك لعدة سنوات في نامهاي ولكنها انتقلت لاحقًا إلى بيونغ تشانغ الأقرب إلى سيول. يُقدم الفيديو تفاصيل عن قريتها السابقة، قرية الفنون وونهاي، والتي كانت في الأصل منطقة سكنية تحولت إلى منطقة جذب سياحي تحتوي على مقاهي ومطاعم. يُظهر الفيديو التجول داخل القرية وملاحظة التصميمات المختلفة للمنازل والكافيهات والتي تبدو مهجورة في معظمها. يُناقش الفيديو تاريخ القرية منذ افتتاحها في 2009 وتأثير البرامج التلفزيونية على زيادة عدد الزوار.

05:01

😀 تأثير الشهرة على أسعار العقارات

تناقش الفقرة تأثير وجود المشاهير على أسعار العقارات في المنطقة. تُشير إلى أن العيش في مناطق ريفية مثل نامهاي يمكن أن يكون غير مريح بسبب البعد عن المرافق الأساسية مثل المستشفيات والمتاجر. تنتقل الممثلة باك وون سوك إلى بيونغ تشانغ لتكون أقرب إلى سيول. يُلاحظ في الفقرة زيادة هائلة في أسعار الأراضي نتيجة وجود المشاهير واستخدامهم كوسيلة دعائية للمشروعات العقارية، مع ذكر حالات سابقة لمشاهير تم استخدامهم للترويج لمشروعات سكنية.

10:05

😀 ملاحظات عامة

تحتوي الفقرة الثالثة على ملاحظات مختصرة بدون تفاصيل واسعة، تشير إلى المناخ العام والملاحظات حول المنطقة.

Mindmap

Keywords

💡탤런트 박원숙 씨

탤런트 박원숙 씨는 이 비디오의 주요 인물로, 그녀의 이전 거주지인 예술촌에서의 생활과 현재 평창으로의 이사 이야기가 중심이다. 이 키워드는 비디오의 주제인 인물의 삶과 변화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예시로, 박원숙 씨가 예술촌에서 살았던 집이 현재 카페로 운영되고 있으며, 그녀의 이전 거주지와 현재 거주지 사이의 삶의 변화가 비디오의 주요 메시지에 반영된다.

💡예술촌

예술촌은 비디오에서 언급된 특정 지역으로, 예술가들이 거주하고 예술활동을 하는 곳을 의미한다. 이 단어는 비디오의 주제인 인간과 예술의 공존과 발전에 대한 이해를 돕는 핵심이다. 예시로, 비디오에서 예술촌은 2009년에 개설되어, 2013년까지 100만명이 넘는 관람객을 맞이했다는 사실이 언급되며, 이 지역의 변화와 성장을 보여준다.

💡이사

이사는 비디오의 주요 테마 중 하나로, 인물들이 삶의 변화를 추구하며 이루어지는 이동을 의미한다. 이 단어는 인물의 삶에 대한 변화와 새로운 시작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예시로, 박원숙 씨가 예술촌에서 평창으로 이사하는 이유와 그 과정이 비디오에서 다루어지며, 그녀의 삶에 대한 변화를 보여준다.

💡관광지

관광지는 비디오에서 예술촌과 독일마을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 용어로, 사람들이 즐길 수 있는 유명한 장소나 지역을 가리킨다. 이 단어는 지역의 경제적 가치와 인기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시로, 비디오에서 예술촌과 독일마을이 관광지로 개발되어 땅값이 오른 것을 보여주며, 이로 인한 지역의 변화를 다룬다.

💡땅값

땅값은 비디오에서 지역의 경제적 가치와 관광 개발의 영향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키워드이다. 이 단어는 지역의 발전과 인프라 개선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예시로, 비디오에서 예술촌의 땅값이 2007년에 20만 원에서 현재 300만 원 이상으로 급등했다는 것을 언급하며, 이로 인한 지역의 부상과 경제적 가치를 보여준다.

💡연예인

연예인은 비디오에서 특정 지역의 인기도와 홍보효과를 나타내는 키워드로 사용된다. 이 단어는 지역의 관광 발전과 지역상업 활성화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예시로, 비디오에서 예술촌에 거주하는 연예인 두 명이 언급되며, 이들이 지역의 인기도와 상업활동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카페

카페는 비디오에서 예술촌의 상업활동과 지역의 문화생활을 나타내는 키워드로 사용된다. 이 단어는 지역의 삶과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시로, 비디오에서 박원숙 씨가 살았던 집이 현재 카페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예술촌의 상업활동과 문화생활의 변화를 보여준다.

💡개발

개발은 비디오에서 지역의 변화와 발전을 나타내는 중요한 키워드로 사용된다. 이 단어는 지역의 인프라 개선과 경제 성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예시로, 비디오에서 예술촌과 독일마을의 개발로 인해 땅값이 오른 것을 언급하며, 지역의 발전과 변화를 보여준다.

💡인기도

인기도는 비디오에서 지역이나 개개인의 인지도와 인기 수준을 나타내는 키워드로 사용된다. 이 단어는 지역의 관광 발전과 상업활동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예시로, 비디오에서 박원숙 씨의 인기도가 예술촌의 관람객 유치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인기도가 상업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시골 생활

시골 생활은 비디오에서 인물들이 추구하는 삶의 방식과 그에 따른 삶의 변화를 나타내는 키워드로 사용된다. 이 단어는 인물들의 삶에 대한 변화와 새로운 시작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시로, 비디오에서 박원숙 씨가 시골 생활을 버티지 못하고 서울에서 가까운 평창으로 이사한다는 것을 언급하며, 그녀의 삶에 대한 변화를 보여준다.

Highlights

탤렌트 박원숙 씨가 경남 남해군의 원해 예술촌에서 평창으로 이사를 했다는 사실

원해 예술촌은 입장료 6,000원이며, 안에 카페와 식당이 있어 별도 계산이 필요하다는 점

예술촌은 민간 사업자가 100억을 투자하여 2009년에 개설, 2013년까지 100만명 이상의 관람객을 기록했다는 성과

예술촌 내부의 시설과 계단이 오래되어 노화되고 낡은 상황

예술촌 마을의 다양한 디자인의 집들이 일반 주택이 아닌 카페나 식당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특징

예술촌은 인기 있는 관광지로 자리 잡았으나, 현재는 사람이 거의 없어 지내지 않는 지역으로 전락했다는 현실

박원숙 씨가 살던 집은 현재 카페로 운영 중이며, 예술촌 택지 분양 시 20만 원에 비해 현재는 300만 원 이상으로 급등했다는 점

연예인의 거주로 인해 땅값이 급등하는 현상

예술촌 주변 지역의 관광 개발로 인해 땅값이 대폭 상승한 사례

박원숙 씨가 평창으로 이사한 이유 중 하나는 서울에서 가까움

시골 생활의 불편함 중 하나는 병원이나 마트와의 거리가 멀고, 기름값과 시간이 많이 들어간다는 점

인지도가 있는 사람은 식당이나 카페를 운영할 때 기본적인 손님이 있게 된다는 사실

박원숙 씨가 출연한 '같이 삽시다' 프로그램이 예술촌에 방문객 42만 명을 유입시켰다는 영향력

예술촌의 위쪽에는 예술관이 있지만, 방문객이 많지 않은 상황

남해군은 인구 4만 명에 불과한데, 올해 관광객 유치 목표를 600만 명으로 설정한 것이 현실적이지 않다는 점

독일 마을은 독일인들이 거주하던 지역이었으나, 현재는 독일인을 찾아볼 수 없는 상황

독일 마을은 맥주 축제와 독일 음식 등을 판매하는 상가들이 많지만, 인파가 적은 상황

Transcripts

play00:00

남해로 이사와서 수년을 살았던 탤렌트

play00:03

박원숙 씨 결국 시골 생활을 못

play00:06

버티고 서울에서 가까운 평창으로

play00:09

이사를

play00:10

갔습니다 여러분 반갑습니다 여기는

play00:13

경남 남해군 독일말 바로 옆에 있는

play00:17

원해

play00:18

예술촌 원해 예술촌 저 안쪽에 마을이

play00:22

있는데 거기에 텔트 박원숙 씨가

play00:25

옛날에 살았습니다 지금은 이사를 가고

play00:28

살던 집은 로 운영되고

play00:31

있습니다 예술촌 입장료가 어른

play00:34

기준으로 6,000원입니다 그런데 저

play00:37

안에 보면 카피하고 식당들이 있거든요

play00:39

거기 들어가서 커피 사 먹으면은

play00:42

입장하고 별도로 또 계산을 해야

play00:45

됩니다 마른 예술촌 있데 안에 들어와

play00:48

보니까 식물은 같습니다 여기는

play00:51

2009년도에 민간 사업자가

play00:53

100억을 들여 가지고 지어놓은 원해

play00:56

예술인데 안에 들어가면은 예술인들이

play00:59

사는 마

play01:00

있답니다 여기는 2009년도 오픈을

play01:03

했습니다

play01:05

2013년까지 누적 관람객이

play01:07

100만명이 넘었다고

play01:09

합니다 예술촌에 연예인도 두 명 살고

play01:12

있고 또 개발도 있으니까 초창기에는

play01:15

손님이

play01:17

많았습니다 시설이나 계단 같은게 이제

play01:20

오픈한지 15년이 되다 보니까 많이

play01:22

노화되고

play01:25

낡았습니다 조용한 산책로를 집사람하고

play01:29

같이 히 걸어서 예술촌으로 올라가고

play01:33

있습니다 예술촌 마을 입구에

play01:37

도착했습니다 집들이 보니까 다 각양

play01:39

각색이 카페도 이렇게 하나

play01:43

보이네요 그런데 집을 이렇게 자세히

play01:46

보니까 사람들이 살기 위해서 지원

play01:48

전원 주택 이런 거는 아닌 거

play01:50

같습니다 대부분 보니까 카페나 식당

play01:54

이런 걸로 만들어진 걸로 보이는데

play01:57

일반 주택이라고 보기에는 조금

play02:00

특이합니다

play02:01

집들은 보니까 디자인이 다

play02:03

각양각색입니다 똑같은 집은 하나도 안

play02:06

보이는데 집이 대부분 사람이 안

play02:09

보여요 예 비어 있는 집

play02:11

같습니다 예술 촌이라고 했는데 정작

play02:14

사람도 없고 예술위는 하나도 안

play02:17

보입니다 그냥 관광지라고 부르는게

play02:20

나을 것

play02:21

같습니다 여기도 보니까 카페 갔습니다

play02:24

예 건물을 깔끔하게 하얗게

play02:27

지어놨는데 지금 시간이 전 조금 못

play02:31

아직 오픈을 안 한 건지 그런데 여기

play02:34

유자방 가에도 이렇게 밧줄을 쳐놓은

play02:36

거 보니까 아마 영업을 하는지 안

play02:39

하는지

play02:41

모르겠습니다 마을을 한 바퀴 쭉

play02:43

둘러보고 있는데 여기 집은 크게 잘

play02:46

지어 놨습니다 그런데 불이 다 꺼져

play02:49

있어요네 구름도 오늘 좀 끼고 했는데

play02:52

사람 사는 인기척이 전혀 느껴지지가

play02:55

않습니다 집안에 불은 안 켜놔도 자는

play02:59

저 있어야 되는데 이집만 유일하게

play03:02

사람이 사는지 자동차 한 대가 저렇게

play03:04

주차가 되어

play03:07

있습니다 드디어 탤런트 박원숙 씨가

play03:10

살던 집이죠 도착을 했습니다 여기는

play03:13

이사를 간지가 제법 됐죠 21년도

play03:17

평창으로 이사를 갔고 지금이 집은

play03:20

카페로 운영을 하고

play03:23

있습니다 2007년도에 여기 예술촌

play03:27

택지를 분양을 했습니다 택지를 분양

play03:30

받아 가지고 각자 이렇게 집을

play03:32

지었는데 보면은 유럽식으로 예 유럽

play03:35

기화를 써서 그렇게 지어

play03:38

놨습니다 아까 들어올 때 입구 쪽에도

play03:41

목조주택 거기에도 연예인이 살았고이

play03:44

마을에 연예인이 두 명이 살았었다고

play03:47

합니다 2019년도 같이 삽시다

play03:51

프로그램에서 탤렌트 박원숙 씨 집에

play03:54

여러 연예인들 초청해 가지고 여기서

play03:57

방송을 찍은 그런 집입니다

play04:00

탤렌트 박원숙 씨는 아들을 불행하게

play04:03

잃고 우울증에 걸려서 정신적인 요양을

play04:06

하기 위해서 남매로 이사를 했다고

play04:09

들었습니다 최대한 멀리 가자 아들이

play04:13

생각 안 나는 그런 먼은 곳으로

play04:15

이사를 온게 남매라고

play04:18

합니다 독일마을은 예전부터 있었고 또

play04:21

파독 전시관도 생기고 여기 또 예술촌

play04:24

생겨 가지고이 주위가 전부 관광지로

play04:28

개발되면서 땅값이 엄청나게 많이

play04:32

올랐습니다 2007년도에 예술촌 택지

play04:35

분양할 때 평당 20만 원도 안

play04:38

했습니다 뭐 19만 몇 천원 이렇게

play04:40

했는데 지금은 이곳이 엄청나게 올라

play04:43

가지고 평당 300만 원이 넘습니다

play04:47

최근에 실적가 보니까 350만

play04:50

원입니다 저기 지리상 골짜기에 자연인

play04:54

프로그램 한번 출연하면 그 골짜기

play04:57

동네 있지 않습니까 땅값이 몇

play05:00

그런데 여기 연예인이 두 명이나

play05:02

산다니까 땅값이 뛰는 거는

play05:06

당연하겠죠 전원주택이나 타운하우스

play05:09

분양할 때 연예인을 또 홍보대사로

play05:12

이렇게 내세워 가지고 강보를 하면은

play05:14

분양이

play05:16

잘됩니다 예전에 전원일기에 출연했던

play05:19

어느 연예인도 전원주택 사기분양에

play05:21

휩싸여 가지고 시끄러웠던 적이

play05:24

있습니다 실제 분양도 안 받았는데

play05:27

연예인 아무개가 여기 분을 이렇게

play05:30

해가지고 홍보를 막 하니까 그 전원

play05:32

주택이 완판이

play05:34

됐답니다 박원숙 씨도 남매를 떠난

play05:37

이유는 서울에서 너무 멀다 그래서

play05:40

서울에서 조금이라도 가까운 평창이

play05:42

훨씬 낫겠다 해가 그쪽으로 이사를

play05:46

갔습니다 솔직히 서울에서 남해까지

play05:48

너무 멀죠 그리고 여기 계속 시골에만

play05:51

사는 것도 아니고 서울 왔다 갔다

play05:53

해야 되는데 얼마나

play05:59

시골로 이사를 와서 산다 하더라도

play06:02

불편한 점이 많습니다 제일 불편한게

play06:05

병원이나 마트 같은게 갈라면 너무

play06:08

거리가

play06:09

멀죠 그리고 도시로 한번 나가려면

play06:12

기름값도 많이 들지만은 거리가 멀어서

play06:15

시간이 엄청나게

play06:17

걸립니다 여러분 출세를 하려면은

play06:20

얼굴이 많이 알려져야 됩니다

play06:22

사람들한테 인지도가 있으면은 뭐

play06:24

식당을 하든 카페를 하든 어느 정도

play06:27

기본적인 손님은 당히

play06:30

됩 박원숙의 같이 삽시다 프로그램이

play06:34

방향이 딱 되고 나서

play06:36

2019년도에 이쪽 예술원에 엄청난

play06:38

일이 벌어졌습니다 이때까지 2 30만

play06:42

한해 찾던 관람객들이 방송을 타자마자

play06:46

박원숙 씨 보러온다고 역대급 42만

play06:49

명이 한해 방문을 했답니다 마 맨

play06:53

위쪽으로 올라와 보니까 큰 건물이

play06:55

하나 있네요 여기는음 프로그램을 하는

play06:59

예술

play07:00

관인데 지금은 시간이 10시 반쯤

play07:03

됐는데도 사람이 안 보입니다 오늘

play07:06

저희 부부 둘이서 한산하게 이렇게

play07:09

산책을 하고

play07:10

있습니다 날이 추워서 이쪽으로 여행

play07:13

오시는 분들도 많이 없는 거 같습니다

play07:16

아마 꽃히는 봄이 오에는 손님이 어느

play07:19

정도 있을 것

play07:20

같네요 인구 4만 밖에 안 되는

play07:22

남해군에서 올해 관광객 유치 목표가

play07:26

600만 명이니다 말이 안 되죠

play07:28

어떻게 통했는지 이해가 안 됩니다

play07:32

제주도가 한참 잘나가던 10년 전에

play07:35

최고 많을 때가 1년에 천만 명

play07:37

방문을

play07:38

했답니다 예술촌을 나오면은 바로

play07:41

아래쪽이 독일 마을입니다 예전에는

play07:44

이렇게 건물이 많지가

play07:46

않았죠 오래 전에 독일말 초창기 때

play07:49

제가 왔을 때는 이런 상가들도 몇 개

play07:53

없었습니다 그 당시에는 실제 파독광부

play07:56

파 관호 부부들이 여기에 살고

play08:00

있었습니다 지금은 독일 사람은

play08:02

보이지도 않고 독일 사람 없는 독일

play08:05

마을이

play08:06

됐습니다 여기서 맥주 축제도 하고 뭐

play08:09

독일 소세지도 팔고 카페 음식점

play08:13

펜션네 이런 상가들 man 가득

play08:15

들어서

play08:16

있습니다 일요일인데도 이렇게 장사가

play08:19

안 됩니다네 땅값만 비사고 손님도

play08:22

없는데 엄청나게 상가만 많이 지어

play08:28

놨습니다

play08:33

[음악]

play09:58

k

play10:05

[음악]

play10:12

di

Rate This

5.0 / 5 (0 votes)

Связанные теги
فنيونقرية فنيةالتحولالسياحةال毡رالأحداثالمكانالعمرالتنميةالصور الحيةالواقعية
Вам нужно реферат на русском язы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