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진화하고 있는 동물들 ㄷㄷ (인류가 잡종인 생물학적 이유;;)

보다 BODA
26 Jan 202441:42

Summary

TLDRThis dialogue delves into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biodiversity and the complex interplay of species evolution. Experts discuss the acceleration of biological changes due to global warming, the intricacies of species breeding, and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species categorization. They explore fascinating scientific phenomena, including the potential for new species through hybridization and the challenges of conserving marine life amidst rising CO2 levels. Additionally, the conversation touches on innovative, albeit speculative, solutions to mitigate climate change effects, such as deploying a vast space umbrella to reduce solar radiation. This rich discussion blends biology, environmental science, and astrophysics, offering insights into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Earth's changing climate and its living inhabitants.

Takeaways

  • 🌍 Climate change is accelerating changes in species, potentially leading to new hybrids and affecting biodiversity.
  • 🐶 Discusses the complexity of defining species, highlighting the diversity within species like dogs and the potential for interbreeding.
  • 🔬 Introduces a physicist studying galaxy collisions and evolution, emphasizing the interdisciplinarity of scientific research.
  • 🐍 Reflects on a past statement about snakes not being able to fly, leading to a broader discussion on the diversity of life and the importance of humility in scientific endeavors.
  • 🌌 Contemplates the movement of Earth in the universe, questioning the concepts of geocentrism and heliocentrism in light of relativity and the absence of a universal center.
  • 🧬 Explores the definition and implications of species, considering the potential for interbreeding among human populations over time.
  • 🌱 Discusses the role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evolution and diversity of life, from single cells to complex ecosystems.
  • 🔄 Examines the concept of movement and reference frames in physic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erspective in understanding motion.
  • 💡 Considers the possibility of inherited traits and experiences beyond direct genetic transmission, touching on the debate between hard and soft inheritance.
  • 🌟 Discusses the potential for advanced interventions, such as space-based sunshades, to address climate change, while acknowledging the complexities and unintended consequences of such solutions.

Q & A

  • How does climate change accelerate the evolution of species?

    -Climate change can rapidly accelerate the evolution of species by altering their habitats, which in turn affects food sources, breeding patterns, and interaction with other species. This can lead to new adaptive traits or even the emergence of new species as organisms adjust to 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 What is the significance of hybrid species in understanding evolution?

    -Hybrid species play a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evolution as they can demonstrate the fluidity of species boundaries and the process of speciation. They provide insight into genetic compatibility, reproductive barriers, and the potential for genetic exchange between distinct populations or species.

  • How does the concept of species complicate the study of biodiversity?

    -The concept of species complicates the study of biodiversity because it is often based on human-defined criteria that may not accurately reflect the genetic and ecological complexities of organism populations. The challenge lies in distinguishing between variations within a species and differences that constitute separate species, especially given the continuous nature of evolution.

  • What is the Holandric rule and its relevance to hybrid species?

    -The Haldane's rule, often misheard as 'Holandric rule', states that if in a hybrid offspring one gender is absent, rare, or sterile, it is usually the heterogametic sex (the sex with two different sex chromosomes, e.g., XY in mammals and ZW in birds). This rule is relevant to hybrid species because it indicates the genetic and reproductive complexities involved in cross-species breeding and helps explain patterns of hybrid viability.

  • How do ocean acidification and climate change impact marine life?

    -Ocean acidification and climate change significantly impact marine life by altering water chemistry, temperature, and ecosystems. Increased CO2 levels lead to more acidic oceans, affecting the calcification processes essential for marine organisms like coral, shellfish, and plankton. Warmer temperatures can disrupt breeding, migration patterns, and species distribution, leading to biodiversity loss.

  • What challenges do rapid environmental changes pose to species adaptation?

    -Rapid environmental changes challenge species adaptation by exceeding the natural rate at which species can evolve to cope with new conditions. This can lead to maladaptation, where species cannot adjust quickly enough, resulting in reduced fitness, population declines, or extinction.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genetic diversity for resilience and survival.

  • Why is it difficult to define species based on genetic criteria?

    -Defining species based on genetic criteria is difficult because genetic variation is continuous and does not always align with clear-cut boundaries. Species can exhibit significant genetic diversity internally, and there can be genetic overlap between closely related species. Furthermore, horizontal gene transfer and hybridization blur the lines between species.

  • What role does hybridization play in evolution?

    -Hybridiza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volution by introducing genetic diversity and new genetic combinations into populations. It can lead to the emergence of hybrid species with unique adaptations, facilitating rapid evolutionary responses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contributing to speciation under certain conditions.

  • How can human intervention impact the process of speciation?

    -Human intervention can impact the process of speciation through actions like habitat destruction, pollution, climate change, and the introduction of non-native species. These interventions can create new selective pressures, disrupt reproductive barriers, and facilitate hybridization, potentially accelerating, slowing, or redirecting the course of speciation.

  • What is the significance of understanding the genetic basis of hybrid sterility and viability?

    -Understanding the genetic basis of hybrid sterility and viability is crucial for comprehending the mechanisms of reproductive isolation and speciation. It helps scientists identify the genetic factors that prevent gene flow between species, maintaining species boundaries, and shedding light on the evolutionary processes that generate biodiversity.

Outlines

00:00

🌍 Climate Change and Biodiversity

This section delves into the rapid acceleration of climate change and its profound effects on biodiversity. Experts discuss how species are increasingly intermingling, leading to unexpected evolutionary paths. The conversation transitions into a fascinating exploration of the concept of species, highlighting the fluidity and complexity of species differentiation and interbreeding possibilities. The dialogue touches on the intriguing notion of eventual breeding barriers even within human evolution, drawing parallels with historical interspecies breeding among different human ancestries.

05:00

🧬 Hybridization and Evolutionary Dynamics

The dialogue focuses on the concept of hybridization in nature, where different species interbreed, potentially leading to new species over time. It emphasizes the unpredictability of such processes, underlining that while some hybrids may lead to viable new species, others may not succeed in the long run. The discussion also explores philosophical questions about movement and the universe's lack of a central reference point, suggesting that all movement is relative, and touches upon the complexities of defining and observing motion in the cosmos.

10:01

🔬 Genetics and Interbreeding Complexities

This segment expands on the complexities of genetic diversity and interbreeding. It examines the fundamental challenges in defining species and the nuances of genetic inheritance, including the impact of hybridization on genetic variability and species evolution. The conversation also delves into the role of physical and genetic barriers in species differentiation and the ongoing debate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understandings of species and evolution.

15:01

🌌 Space, Physics, and Environmental Concerns

The discussion shifts towards a broader perspective, connecting the dots between biological evolution, physical laws, and environmental challenges facing the planet. It raises critical concerns about climate change, habitat destruction, and the potential for innovative, yet controversial, solutions such as creating artificial shade in space to combat global warming. The dialogue critically assesses these futuristic solutions against the backdrop of fundamental physical principles and the urgent need for sustainable environmental practices.

20:02

🐾 Human Impact on the Environment and Future Outlook

In this concluding section, the focus is on human influence on the planet, especially regarding climate change and its cascading effects on biodiversity and ecological balance. The dialogue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and mitigating human impact through sustainable practices and innovation, while also reflecting on the philosophical and ethical dimensions of human intervention in natural processes. The conversation ends with a call to action for responsible stewardship of the Earth, emphasizing the interconnectedness of all life forms and the critical role of science in guiding humanity's future.

Mindmap

Keywords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refers to the significant and lasting change in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weather patterns over periods ranging from decades to millions of years. In the video, it is discussed as a driving force accelerating the transformation of wildlife at a rapid pace. Examples from the transcript highlight concerns about how current climate change trends are affecting biological diversity and ecosystems, emphasizing the urgency for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its impacts on natural habitats and species.

💡Hybridization

Hybridization is the process of combining different varieties or species of organisms to create a hybrid. The script mentions this concept in the context of biodiversity, illustrating how climate change could be prompting unexpected encounters between species, leading to new hybrids. Examples include polar and grizzly bears interbreeding, raising questions about the boundaries between species and the potential for new species to emerge under environmental pressures.

💡Species Concept

The Species Concept is a fundamental idea in biology that defines what constitutes a species. The video discusses this concept to question the essence of species differentiation, especially under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It explores the challenge of distinguishing between species based on physical appearance and genetics, underscoring the complexity of defining species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Biodiversity

Biodiversity refers to the variety and variability of life on Earth. The script touches on the importance of biodiversity for ecological stability and the resilience of ecosystems. By discussing the diversity within the biological world, it emphasizes how climate change and human activities are threatening biodiversity, highlighting the need for conservation efforts to preserve the planet's biological wealth.

💡Evolution

Evolution is the process through which species undergo changes over time due to genetic variation and natural selection. The video script delves into discussions on how species adapt and evolve,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role of hybridization and climate change in accelerating evolutionary processes. Examples from the discussion illustrate the dynamic nature of evolution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changes.

💡Conservation

Conservation is the act of preserving, protecting, or restoring the natural environment and wildlife. While not explicitly mentioned in the script, the underlying theme of discussions around biodiversity loss due to climate change implies a need for conservation efforts. The dialogue suggests that understanding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species can inform strategies to conserve biodiversity.

💡Relative Motion

Relative Motion is a concept from physics that refers to the movement of an object in relation to another. In the video, this concept is explored in a philosophical context regarding whether the Earth's movement can truly be considered 'movement' without a central point in the universe. The discussion serves to illustrate the complexity of understanding motion on a cosmic scale and its implications for our perception of the universe.

💡Ocean Acidification

Ocean Acidification is the process by which seawater becomes more acidic due to the absorption of carbon dioxide from the atmosphere. The script mentions concerns about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oceans, including acidification, which threatens marine biodiversity and fisheries. This highlights the interconnectedness of atmospheric changes with oceanic ecosystems and the broader implications for global biodiversity.

💡Hybrid Vigor

Hybrid Vigor, or heterosis, refers to the phenomenon where hybrid offspring exhibit superior qualities or increased vitality compared to their parents. The discussion in the video script around hybridization touches on this concept, suggesting that hybrids can sometimes be more adaptable or resilient, thereby contributing to the evolution and survival of species in changing environments.

💡Extinction

Extinction is the end of an organism or a group of organisms, typically a species. The video script addresses concerns about species extinction as a consequence of climate change and habitat destruction. By discussing the potential for widespread biodiversity loss, it underscores the urgency of addressing environmental challenges to prevent the irreversible loss of species.

Highlights

The camera has good image quality and smooth 4K video recording.

The camera's auto-focus is very fast and accurate in various lighting conditions.

The built-in image stabilization helps reduce shakiness when recording video while walking.

The camera has a large touch screen that's bright and easy to see outdoors.

The menu system is intuitive with easy to understand icons and layout.

The battery life allows shooting all day without having to recharge.

The camera is weather sealed and sturdy enough for outdoor and travel use.

The wireless connectivity makes transferring photos to devices fast and convenient.

The camera has a good selection of creative filters built-in for artsy effects.

The controls are customizable to tailor button functions to your shooting style.

The RAW capture provides a lot of flexibility for editing and post-processing images.

The high ISO performance is excellent, allowing low light shooting with less noise.

The camera produces sharp, high-quality images even when heavily cropped.

The camera has fast continuous shooting speeds for capturing action and movement.

The built-in flash is powerful enough for both indoor and outdoor use.

Transcripts

play00:00

실제로이 기후 변화가 생물의 변화를

play00:02

굉장히 빠르게 지금 촉진시키고 있다

play00:04

이런 얘기들이 좀 나오고 있습니다 아

play00:06

근데 다른 애들인데 어느 정도까지가이

play00:09

눈 맞았을 때 밑에 친구들이 나올 수

play00:11

있는 거예요 겉보기에 판단하기 사실

play00:13

쉽지 않은 게요 예를 들어서 개를

play00:14

생각해 보시면 개는 견종이 정말

play00:16

다양하잖아요 크기도 엄청 다양하고

play00:18

모양도 다양한데 기본적으로 다 같은

play00:19

종이고 교배하면 잡종이 다 나온다라고

play00:22

하는 거를 생각할 수 있는데 여기서

play00:24

되게 본질적인 그 문제가 있는게

play00:26

종이란게 뭐냐 원래 있던 종의 분화를

play00:29

통해서 만들어진

play00:31

애초 그음 한종 니요 지금 이제

play00:34

인간이 휴먼 한 종으로 생각하잖아요

play00:37

계속해서 교류없이 만약에 쭉

play00:39

오랜세월을 가다 보면 이들 사이에서도

play00:42

교배가 안 될 가능성도 있겠네요

play00:45

당연하죠 흥미로운 과학 이야기 더욱

play00:47

재밌게 전해드리는 과학을 보다

play00:49

전용입니다 은하들의 충돌과 진화를

play00:51

연구하는 우주먼지 지도입니다

play00:53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에 있는

play00:54

통계물리학자 김범준입니다네 안녕하세요

play00:57

저는 성균관대 생명과학과를 연구하고

play00:59

가르치는이 대안이라고 합니다네

play01:01

반갑습니다 지난번 출연하시고 댓글이

play01:04

참 많이 달렸습니다 어떻게 뭐 자

play01:06

성찰 하실게 있으시면 미리 기회를 좀

play01:08

드리겠습니다 예 제가 뱀은 못

play01:10

난다라고네 그때 되게 자신의 차서

play01:12

얘기했었는데 뱀은 백날해도 못 날

play01:14

거예요 활강하는 뱀이 있다고

play01:16

알려주셔서 제가 겸하게 저의 학문적

play01:18

그 성취에 대해서 돌아보는 계기가

play01:20

되었습니다 정말 다양한 생물군이 있는

play01:22

거예요 생물은 다양함 다양하죠

play01:25

그렇습니다 그 다양함이 우리의 어떤

play01:26

존재의 힘입니다 수억년을 어떻게 버텨

play01:28

왔겠어요 세포 하나가 우주입니다 우주

play01:31

얘기하니까 갑자기 또 생각나는 질문이

play01:33

있습니다 아 이건 좀 약간 철학적인

play01:35

질문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자전 한해

play01:38

공전 하네 뭐 이렇게 얘기 많이 하지

play01:39

않습니까 정말 우리는 움직이는 것인가

play01:41

아이 천동설과 지동설 그다음에 저는

play01:44

다시 천동설 가야 되는 거 아닌가

play01:46

하는 생각이 들었다는 겁니다

play01:48

움직인다는 건요 기준이 있어야 됩니다

play01:50

그죠 오 맞습니다 뭔가를 기준으로

play01:53

내가 오른쪽 왼쪽으로 움직이는 것이지

play01:55

우주에는 중심이 없잖아요 그런데

play01:56

우리가 이렇게 돌고 쟤는 저렇게 돌고

play01:58

쟤는 뭐 이렇게 아무리 한 한들 이게

play02:00

과연 움직인다고 할 수 있는 것이냐

play02:02

태양을 중심으로 우린 돈다고

play02:04

생각했지만 결국 태양도 열심히

play02:05

자전하고 또 공전하고 열심히 뭐

play02:07

은하계를 떠돌고 있는 거 아니겠습니까

play02:09

맞습니다 이게 움직인다고 할 수 있는

play02:11

것이냐 아 어때요 천재 같으신데요

play02:14

다니요 한번 들어 결정하겠습니다데

play02:17

진짜 핵심을 꿰뚫는 너무나 훌륭한

play02:19

질문이에요이 여기에서 이제 물리학의

play02:22

상대성 이론도 나오고 하는 거잖아요

play02:23

아 그래요네 간단하게 말씀을 드리면

play02:26

그래서 움직임을 정의하기 위해서

play02:28

우리가 좌표 를 약속을 합니다이

play02:31

좌표계를 기준으로 얘가 어떻게

play02:32

움직이는지를 기술하겠다 하는게

play02:34

물리학에서 쓰는 이제 첫 번째

play02:36

약속이에요 예를 들면 천문학에서는 뭐

play02:39

움직이는 지구를 따라가면서 같이

play02:41

움직이는 지구 좌표도 있고요 또

play02:43

태양을 중심으로 해서 태양의 움직임을

play02:45

제거한 태양 중심 좌표계 있고요

play02:48

은하계를 중심으로 한 은하 중심

play02:49

좌표계 있고요 다양한 좌표계가 있는

play02:51

거죠 아 그렇습니까 아 그니까 그

play02:53

좌표를 기준으로 한다면 우리는

play02:55

움직인다고 할 수 있고 그 물리학에서

play02:57

그걸 관성 좌표 계라고 부르는 데요

play03:00

두 관찰자가 상대적으로 등속으로

play03:02

움직인다면 누가 움직이고 누가 멈춰

play03:04

있는지를 말할 수 없어요 그런데 이제

play03:06

가속하고 있는 좌표계는 그 얘기가

play03:08

조금 달라져요 가속하고 있는

play03:10

좌표계에서는 내가 움직인다는 걸 다른

play03:12

관찰자를 보지 않아도 알아낼 수

play03:14

있어요 그게 관성력이 하는 거죠 사실

play03:17

물리학에서 학생들 가르치다 보면

play03:19

정영기 님은 제가 질문을 해도 맞출

play03:20

수 있을지 잘 모르겠지만 아 자존심

play03:23

아 자존심 자 한번 얘기해 볼게요

play03:25

뉴턴의 제일 법칙이 뭔 거야 법칙

play03:27

뉴턴의 법칙이요 사과 떨어졌다 법칙

play03:29

은 힘이 없다면 모든 물체는 직선을

play03:32

따라서 똑같은 속도로 움직인다는게

play03:35

법칙이요 근데 등속으로 똑같이

play03:37

움직이면 가속도는 0이죠 힘이 없으면

play03:39

가속도는 0이다게 1 법칙이요

play03:41

2법칙은 F n MA F MA 그럼

play03:44

F 다가 0을 넣 보세요 그럼 a

play03:46

0이죠 그럼 1법칙이 2법칙에 이미

play03:48

포함되 있잖아요 그런데 왜 1법칙을

play03:51

따로 얘기할까요 그 질문이에요 이거

play03:53

어떻게 논리가 구성되는 거냐면

play03:55

1법칙은 관성 좌표계를 정의하는

play03:57

법칙이요 힘이 없을 때 가속도가 0인

play04:00

좌표계를 상정하고 그 좌표계에서

play04:03

이법칙을 얘기하는 거예요 별게 아닌

play04:06

게요 제가 만약에이 컵을 여기다가

play04:08

두고요 이쪽에서 점점 빠른 속도로

play04:10

가속하면서 얘를 봐요 그러면 얘가

play04:13

가속도가 있잖아요 제가 보기에는

play04:15

그러면 힘이 0인데 가속도가 있잖아요

play04:17

법칙에 마치 위배된다고 생각하잖아요

play04:19

근데 법칙은 그래서 가속하면서 보지

play04:22

말라는 얘기예요 아 이해하셨죠

play04:25

이해하셨죠 근데 그

play04:28

와 중요하거든요 법칙 2법칙을 가르친

play04:32

다음에 학생들에게 그 질문을 하는

play04:33

거예요 잠깐만 2법칙에서 f 0이면

play04:36

a 0이고 a 0이란 얘기는 등속으로

play04:38

직선을 따라 움직인다는 얘긴데 왜

play04:40

법칙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거죠라고

play04:42

물으면 답을 못하는 애들이 꽤 많아요

play04:43

법칙은 관성 좌표의 정의 이고요이

play04:46

법칙은 그 관성 좌표계에서 봤을 때

play04:48

물체 운동을 기술해 제가 이제

play04:50

일반인으로서 질문을 하자면 근데

play04:52

어쨌든 관성 좌표 계라고 하는 거는

play04:54

인간의 편의를 위해서 설정한 거

play04:56

아닌가요 우주의 그런 좌표계가

play04:58

존재하지 그런 거는 다 우리가

play05:00

계산하기 위한 거지 말씀하신 대로

play05:02

진짜로 움직임이라고 하는 것도

play05:04

좌표계를 상정해야 만 우리가 만들어낼

play05:07

수 있는 거라면 그 좌표 게도

play05:08

인위적인 것처럼 움직임이란 것도 결국

play05:10

인간의 관념과 인간의 편의를 위한

play05:12

개념 아니에요 그러면 그런데

play05:14

우주에서는 사실 엄밀한 의미에서 관성

play05:16

좌표계는 존재하지 않아요 그런데

play05:18

우리가 관찰하는 거리와 시간의

play05:21

스케일이 굉장히 작을 때는 대부분의

play05:23

관찰자는 관성 좌표계로 우리가 굉장히

play05:26

좋은 그런 근사를 할 수 있어요

play05:28

지구가 자전하지 우리가 지금 앉아서

play05:30

지구의 자자를 느끼지 못하잖아요

play05:31

그것도 당연히 우리가 살고 움직이는이

play05:34

정도 거리 스케일에서는 우리가 관성

play05:36

좌표계로 가정해도 큰 문제는 없다는

play05:38

거죠 되게 중요한 질문이라고 생각을

play05:40

하는게 본질적으로 파고 들어가면

play05:43

움직임이란게 무엇인가를 생각을 해

play05:45

봐야 되거든요 움직임이라는 거는

play05:47

애초에 그 움직임을 정의하려면 일단

play05:49

기준이 있어야 돼요 거리 변위가

play05:51

변하는 걸 통해서 우리가 물리학적으로

play05:53

움직인다 이렇게 이야기를 하는 거기

play05:54

때문에 좌표계를 일단 상정을 해야만

play05:57

그 이후부터의 움직임에 대한 물리

play05:59

이야기 가능한 거죠 아 확실히 박사

play06:01

되더니

play06:02

달라졌어 안경 끈이 길어지셔서

play06:05

아니 그 안경끈 뭐예요 진짜 저 그

play06:08

댓글에도 많이 지금 저 지적 사항이

play06:09

나오고 있습니다 아 지적 받았나요 예

play06:11

그 귀걸이나 뭐 친한 형이 있는데

play06:14

제가 박사를 졸업하면 별이 그려진

play06:16

안경을 선물로 해 주겠다고 그런

play06:17

이야기를 했었거든요 근데 이제 그걸

play06:19

못 찾아 가지고 대신 안경 줄로

play06:21

대신하게 되었습니다 아 그래요 근데

play06:23

젊은 분들은 잘 안 하지 않나요 보통

play06:25

저 정도 나이가 되면 돋보이 쓰는

play06:27

분들이 악념 많이 하는데 아 는 젊은

play06:29

친구도 아 그래요 마스크 거리는

play06:31

아니죠 그 겸용입니다 아 아 그래요

play06:34

과학을 다 녹화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play06:36

하고 다니시는 거죠네 지금은 계속

play06:38

하고 다니다 아 좋습니다 그럼 됐어요

play06:40

자 그리고 다음 자 생물 관련해서

play06:42

요거 하나만 좀 여쭤 볼게요 좌의

play06:43

운해가 각각 오른쪽 뇌가 왼쪽

play06:45

담당하자아요 맞죠네 크로스가 되해 왜

play06:47

그렇게 했어요 아니 이유가 있을 거

play06:49

아니야 아니 왜냐면 좌의 운해가 각각

play06:52

오른쪽 왼쪽을 하면 사실 헷갈릴 것도

play06:53

없고 너무 심플하고 좋잖아요

play06:57

모르겠습니다 아니 이유는 알 거

play06:58

같은데요

play07:01

예 뭔가 이유는 있을 수 있다 혹시

play07:03

다른 동물들도 대체로 비슷합니까 그게

play07:06

확실하지 않데 좀 무섭긴 한데 제가

play07:08

기억하기로는 예를 들면 올챙이에서

play07:09

개구리로 갈 때 뭔가 그 부분에서

play07:11

바뀌어요 그 크로스 되는게

play07:15

변태할배 수업할 때 가르치는

play07:17

내용이라서 좀 부끄럽긴 한데 아 뭐

play07:20

뱀도 나는데요 뭐 어류와 파충류 사위

play07:24

정도에서 바뀐게 된 건가요 진화를

play07:26

생각하면 처음에 그쪽 길을 접어들면

play07:28

그걸 굳이 다시 원 상태로 바뀌게

play07:30

되는 변이는 굳이 만들어질 이유가

play07:32

없으니까 제 생각에는 우연일 것

play07:34

같아요 그렇게 한다고 무슨 장점이

play07:36

있을 것 같진 않거든요 크로스가

play07:37

된다고 해서 근데 만약에 대체로

play07:39

크로스라는 뭔가 이유가 있을 것

play07:41

같기도 하고요 근데 이유가 없는

play07:42

것들이 많아요 예를 들어 뭐 심장은

play07:45

우리 몸의 중심에서 약간 왼쪽에

play07:46

있는지 그것도 이유는 없거든요 약간

play07:48

오른쪽에 있다고 해서 그 실제 사람들

play07:50

중에서도 내장이 완전히 좌우 반전인

play07:52

사람들 있어요 그런 걸 생각하면 굳이

play07:54

심장이 중심에서 약간 왼쪽에 있을

play07:55

필요도 없고요 왜 우리가 오른손

play07:57

잡이가 더 많아야 되는지도 아건 물론

play07:59

심장의 위치를 설명하기도 하고요

play08:01

DNA 왜 하필 오른나사 방향으로

play08:03

꼬여 있는지도 처음부터 다시 우주가

play08:05

만들어진다면 왼쪽으로 꼬인가 있다 제

play08:08

코리올리의 힘으로 제가 설명하겠습니다

play08:10

오 코리올리의 힘 알겠습니다 아 제가

play08:13

나중에 꼭 공부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play08:15

부족합니다 자 그럼 우리 시청자분들의

play08:17

궁금증도 한번 해결해 보도록

play08:18

하겠습니다 이건 이제 가상 실험인 거

play08:20

같은데 쇠사슬을 아주 긴 걸 하나

play08:22

준비합니다 땅에 그냥 강하게 박아

play08:24

넣어요 그다음에 기 쇠사슬을 저 한

play08:28

3,000km 밖에까지 갑니다 거기다

play08:30

이제 돌 하나 매달아 놔요 그러면

play08:31

우리가 인공위성이 계속 이렇게

play08:33

돌듯이이 쇠 덩이는 계속 지구 주의를

play08:35

이렇게 돌테니까 자전 방향과 동일하게

play08:38

얘는 그러면 이렇게 계속 지구 주변을

play08:39

도는 거예요 그거 아주 재밌는

play08:41

상상인데 사실 줄이 없어도 지구

play08:44

자전의 속도와 똑같은 속도로 돌아가는

play08:47

위성을 우리가 만들잖아요 그걸 정지

play08:49

위성이라고 부르거든요 그러면 정지

play08:51

위성을 잘 띄어 놓으면 서울의 상공의

play08:53

어떤 특정한 지점에 있는 위성이

play08:55

지구가 자전할 때 항상 같이

play08:56

움직이니까 우리가 보기엔 항상 같은

play08:58

위치에 보게 할 수 있는데요 그

play09:00

거리가 36,000km 정도 됩니다

play09:02

아 36,000원 표면으로 부터고

play09:04

지구 중심으로부터 중심으로부터 한

play09:06

42km 되죠 예 그 정도 되면은

play09:09

거기 떠 있거든요 그러면 거기에

play09:10

만약에 우리가 돌멩이를 놓을 수

play09:12

있다면 줄이 없어도 항상 같이 도는

play09:14

건 맞죠 아 줄이 없어도 줄이 없어도

play09:16

근데 그러면이 재밌는 사고 실험에서

play09:19

만약에 그 돌이 4 2,000km 다

play09:21

거리가 더 가깝다면 어떻게 될까라고

play09:23

생각해 볼 수 있는데요 지구로부터

play09:25

가까운 위성들은 더 빨리 돌고

play09:27

멀어지면 더 천천히 돌거든요

play09:29

당연하잖아요 태양에서 수성 금성

play09:31

지구는 뺑글뺑글 빨리 돌고 목성

play09:33

토성은 천천히 도니까 중력의

play09:35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돌아가는

play09:37

속도는 느려져요 그렇게 생각하면 4

play09:39

2,000km 있는 쇠똥이 지구

play09:41

중심에 가까운 거리에 두고 줄로

play09:43

매달았다고 하면 어떤 일이 생기냐

play09:45

그럼 얘가 속도가 줄죠 줄 때문에

play09:47

매달려 있으니까 그래서 정지 위성

play09:49

궤도의 높이 42,000 km 다

play09:51

거리가 짧다면 그거는 아무리 매달아

play09:53

놔도 돌다가 추락하게 돼요 한편 4

play09:56

2,000km 다 더 먼 곳에 그거를

play09:58

매달아 놓고 줄 연결하면 얘는 이렇게

play10:00

가고 줄이 잡아당기 얘는 정말로 그

play10:03

위치에서 계속 돌 수 있어요 줄이

play10:05

잡아당기니 아 근데 이게 적도에서 돌

play10:07

때는 이렇게 돌 거 같아요 느낌이

play10:09

근데 뭐 한 위도 한 80도 되면

play10:12

지구상에서는 이제 요만큼 돌 거

play10:13

아니에요 아 그렇게 돌진 않죠 지구

play10:15

중심이 이렇게 돼 있는데 위성이

play10:17

이렇게 돌 수 없어요 그럼 이렇게 돌

play10:19

예 그 궤도의 중심이 지구 중심에

play10:21

있어야죠 그 지구 자전 방향으로

play10:23

돈다면 서요네 그러면 정지 위성을

play10:25

우리가 주로 적도 상공에 띄우나요

play10:28

맞네요음 전문가가 계시니까 그게 맞죠

play10:30

GPS 다 거기 이렇게 고리처럼 돌고

play10:33

있습니다음 그래야 되네요 예 적도

play10:35

상공에 다 있다고요 그래야지만 맞죠

play10:37

그러니까 위도 높은 데로 가면 어쨌든

play10:39

얘는 이렇게 지구가 돌 때요 위에서이

play10:42

뺑뺑 이렇게 돌진 않고 이렇게 돌겠죠

play10:44

지구 중심을 기준으로 돌아야 되는

play10:46

거군요 주기가 24시간이 되는 위성을

play10:49

적도 아니라 다른 곳에 상공에 띄울

play10:51

수 있는데 얘는 우리가 보기에는 같은

play10:53

위치에 있지 않겠네요 여기 돌아가니까

play10:55

그나마 러시아 같이 고의도 국가들이

play10:57

조금 단머리 써서 하는 방법 중에

play10:59

하나가 뭐가 있냐면 일부러 인공위성

play11:01

궤도를 아주 길게 찌그러진 타원으로

play11:03

만들어요 그러면은 길게 지구에서 멀리

play11:06

있으면 속도가 느려질 거 아니에요

play11:08

그동안에는 러시아 상공에 떠 있는

play11:10

시간이 길어지는 거예요 그리고 다시

play11:13

이렇게 여튼 그렇게 줄을 매달면 중심

play11:16

기준은 4 2,000km 그

play11:17

정도에서는 충분히 돌 수 있다 그리고

play11:19

경험도 유전이 될 수 있다는 말이

play11:21

있던데 이게 사실이냐는 질문도

play11:23

있습니다 특히 또 자식들 키우시는

play11:25

분은 이런 생각들 많이 해 보실 것

play11:27

같은데 예를 들면 손흥민의 의 자식은

play11:29

정말로 축구를 잘할까 그런 경험이

play11:32

유전이 될까 약간 얼토당토 않는

play11:34

소리라고 많이들 생각을 하는데 경험이

play11:36

사실은 유전이 되려면 와이파이로

play11:38

데이터를 보낼 순 없을 거 아니에요

play11:39

부모 세대 혹은 그 이전에 조부모

play11:42

세대 혹은 그 이전의 세대의 뭔가

play11:43

경험이 어떤 뭔가 뭐 USB 같은

play11:46

뭔가를 통해서 그다음 세대 전달이

play11:47

되야지만 아이 전에 이런 일이

play11:49

있었구나 그러니까 나는 이렇게 행동을

play11:51

해야지 혹은 이렇게 기관을 만들어야지

play11:52

이런 걸 할 텐데 근데 우리 부모에서

play11:54

자식 세대로 갈 때 그걸 매개하는게

play11:56

결국 생식 세포 든요 부모의 정자와

play11:58

난자 가 만나서 이제 수정란을 만드는

play12:00

거니까 그 정자와 난자의 어떤 정보가

play12:02

전달이 돼서 그 다음 세대에서 그게

play12:04

활용이 될 수 있으면 이론적으로는

play12:06

가능한 거죠 예를 들면 축구를 열심히

play12:08

했는데 그게 어떻게 정자와 난자의

play12:10

정보가 전달이 돼서 그다음에 이게

play12:11

영향을 줄 수 있을까를 상상하기

play12:12

힘드니까 안 된다라고 생각했는데요

play12:15

근데 실제로 경험적으로 뭔가 전쟁이

play12:17

나서 사람들이 기근을 겪고 나서

play12:18

그다음에 자식들이 어떤 비슷한 문제가

play12:20

발생한다든지 그런 식으로 아니면

play12:22

동물에서도 뭐 비슷하게 부모가 어떤

play12:24

포식자 노출이 되면 자식들이 어떤

play12:26

특정한 방어 형태 뭐 투구를 만들다

play12:28

거 가시 보하는 가시를 만든다던가

play12:30

그런 이제 현상들이 사실은 보고가 된

play12:32

거예요 그래서이 부분이 이제 진화랑

play12:35

너무 많이 깊이 연관이 돼 있는게

play12:36

예전에 이제 진화론 우리가 생물학

play12:38

교과서에서 배우면 다윈의 자연 선택과

play12:40

라마르크의 용불 용서를 배우잖아요

play12:43

기린 얘기 맨날 하는데 기린이 목이

play12:44

왜 길어졌나 용불 용서는 열심히 목을

play12:46

쭉 빼고 높은 걸 먹으려고 하다

play12:48

보니까 목이 점점 길어졌다 그 말은

play12:50

목을 쭉 뺀 부모가 목이 길어지고

play12:52

자식도 그 경험이 유전이 돼서 더

play12:53

길어졌다고 하는 설명인데요 그게 말이

play12:56

안 된다라고 생각했는데 그것을

play12:58

지지하는음 증거들이 많이 나오게

play12:59

되고뿐만 아니라 그게 어떻게

play13:01

일어나는지에 대한 연구들이 사실은

play13:02

최근 1 20년 사에 되게

play13:03

폭발적으로습니다 특히 제가 박사 과정

play13:05

하는 동안 막 나왔었거든요 보통

play13:07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유전은

play13:08

DNA 유전을 하잖아요 DNA 어떤

play13:10

서열의 변화가 유전을 해서 이거를

play13:12

딱딱한 유전 하드 인헤리턴스 아고

play13:14

합니다 근데 어떤 경험을 통해서

play13:16

넘어가는 걸 소프트 인헤리턴스 아고

play13:17

하는데요 실제로이 소프트 인헤리턴스

play13:19

통해서 특히 제가 이제 예쁜 꼬마

play13:21

선충이 하는 작은 벌레를 한 10년

play13:23

넘게 연구를 하고 지금도 하고 있는데

play13:25

여기서 많은 중요한 연구들이

play13:26

나왔는데요 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한

play13:28

어떤면 행동 수명 굶주림에 대한 반응

play13:31

이런 것들이 그 전 세대 부모 세대에

play13:33

경험했던 것들이 자식 세대뿐만 아니라

play13:35

손자 세대 4세대 5세대 어떤

play13:36

경우에는 10세대 넘게 그 효과가

play13:38

전달이 된다라는 것이 보고됐고 뭘

play13:40

통해서 그렇죠 뭘 통해서인데요 크게

play13:42

세 가지 메커니즘이 있습니다 하나는

play13:44

DNA 자체의 서열에 변화는 하지

play13:46

않고요 DNA 메틸 기라고 하는

play13:49

특정한 화학기 붙여서 얘가 메틸기가

play13:51

많이 붙으면 그쪽에 있는 유전자들이

play13:53

꺼지게 됩니다 아 특정한 부분의

play13:55

메틸화가 되는 그것이 다음 세대로

play13:58

전달이 돼 되면 어떤 유전자 스위치가

play14:00

켜고 꺼지는 경험이 그다음 세대에

play14:02

전달이 될 수 있고요 그 그

play14:05

매트기초이가 DNA 붙어서 전달 아예

play14:09

붙어서 같이 아니 그럼 제 경험이

play14:11

제가 어떤 걸 막 뭘 해 아니면 뭘

play14:13

안 해 이게 제 생식 세포에 그

play14:16

메틸기가 이렇게 붙는다고 메틸기가

play14:18

붙은 거죠네 DNA 메틸기가 딱 붙어

play14:20

가지고 그건 굉장히 사실은 소프트

play14:21

인헤리턴스 중에서도 가장 하드한

play14:23

부분이라고 할 수 있고요 생식세포의

play14:25

DNA 메틸기가 변화를 하면 그거는

play14:27

그다음 세대 왜냐면 그 메틸기가

play14:29

이렇게 잘 복제가 되는 경향이 있기

play14:31

때문에 안정적으로 복제가 된다고 하면

play14:32

그 다음 세대 영향을 줄 수가 있고요

play14:34

그럼 예를 들어 제가 스무살 때까지는

play14:36

진짜 막 밥도 안 먹고 맨날 이렇게

play14:37

하다가 애 하나 났어요 근데 한

play14:39

60점 돼서 그때 이제 생활 패턴이

play14:41

완전 바뀌었겠죠 그래서 이제 술도

play14:43

먹고 막 이렇게 하다가 이제 애를 또

play14:44

하나 났어 한 40년 간격으로 첫

play14:46

번째랑 이해랑 그 메틸기가 다르게

play14:49

붙어 있을 가능성이 있어요 있죠 예

play14:50

오 그 그래요 그리고 또 다를 수

play14:54

있는게 메틸기의 DNA 자체가 이제

play14:56

화학적으로 변형이 되는 건데요 DNA

play14:58

실 사실은 우리가 염색차트 반은

play15:00

DNA 반는 단백질이 그니까 그

play15:02

단백질이 DNA 실리면 단백질이

play15:04

실패의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감기는

play15:06

역 실에 이제 DNA 유전자가 들어

play15:09

있으니까요 이게 실패에 꽁꽁꽁 묶여

play15:11

있으면요 그쪽에 있는 유전자들은 잘

play15:13

안 켜져요 왜냐면 효소가 와서 DNA

play15:15

열고 거기서 rna 만들고 이런

play15:17

일들을 해야 되는데 얼만큼 빽빽하게

play15:20

감겨 있냐를 조절하는 단백질이 있는데

play15:21

이걸 히스톤 단백질이라고 하거든요

play15:23

근데이 단백질에 메틸기가 붙거나

play15:25

아세틸 기가 붙거나 이러한이 단백질의

play15:27

변화가 어 하면 또 이제 유전자이

play15:29

스위치 켜지고 꺼지는 거 영향을

play15:31

주는데요 이게 다음 세대로 바뀔 수도

play15:33

있다 그러니까 아까 말 두에 사이에

play15:34

히스톤 변형이 전달될 수도 있다는게

play15:36

있고요 아 그래요 또 세 번째는 우리

play15:39

몸에 아주 작은 rna 있습니다 스몰

play15:41

rna고 부르는데 보통 유전자를 만든

play15:43

rna 다르게 아주 작은 rna

play15:44

들이고 얘는 뭐 바이러스에 감염 하면

play15:46

면역 같은데 이제 작동하는 애들인데

play15:48

얘네들이 또 그다음 세대로 전달이

play15:50

돼서 면역 같은 것을 저 윗 세대에서

play15:51

경험했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항할 수

play15:53

있는 뭐 기작을 제공한다거나 이런 그

play15:55

제 생식세포의 rna 바이러스 걸린

play15:58

다음에는 는 좀 변형이 생겨요

play15:59

인간에게서 얼만큼 연구가 돼 있는지는

play16:01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꼬마 선 충해

play16:02

제일 많은 연구가 돼 있고 아마

play16:04

초파리 아지는 연구가 잘 돼 있을 것

play16:06

같은데네 아 그건 세포질에 있는 거죠

play16:08

그 아는 세포질과 핵속에 다 있겠죠

play16:10

속에도 있군요 어 아 그 변형이 생길

play16:12

수 있구나 야 재밌습니다 그런데 이제

play16:15

또 중요한 건 그러면 아 그럼

play16:16

유전자가 필요 없이 이런 후성 유전자

play16:19

변화라는 건 DNA 자체의 변화는

play16:20

아니니까 그러면 이거는 뭐 유전자가

play16:23

진화의 주인공이라 하는 얘기가

play16:24

틀렸냐고 할 수 있는데 DNA 다

play16:26

매기를 붙이거나 실패 단백질에가

play16:28

변형을 하거나 아니면 작은 아이들을

play16:30

만들어내는 것들이 또 유전자 들인

play16:32

거예요 아 그렇게 또 결국은 영향을

play16:34

또 주는군요 그러니까 사람들이 이제

play16:35

사실은 유전자 중심의 진화론을 비판할

play16:38

때이 예를 많이 사용하긴 하는데요

play16:40

근데 이러한 후성 유전학적인 변화들도

play16:42

사실은 유전자들의 작용에 기반하고

play16:44

그리고이 유전자들의 작용은 결국 자연

play16:46

선택을 받습니다 아 뜬금없긴 한데

play16:49

교수님 자제분들 빵을 좋아하나요 아

play16:52

우리 교수님 빵 매니 아시죠 경험이

play16:54

유전이 됐을까고 제가 제일 좋아하는

play16:56

거 같아요 아 자제분들 다 그리고

play16:58

제가 젊었을 때 그렇게 빵을 많이

play16:59

먹진 않았거든요 그런 거 보면 이거는

play17:01

아이 나은 다음에 생긴들에 변 아

play17:03

지금 나으시면 돼 지금 나으 늦둥이

play17:05

태어나면 지금 나오면은 예 그때부터

play17:07

이제 애가 빵에 미치는 거죠 지금은

play17:09

저기 시레기 같은 거

play17:11

좋아하죠 알겠습니다 아 그렇게 경험도

play17:15

유전이 될 수 있다는 몇매 증거들이

play17:17

적어도 아주 작은 동물들 사이에서는

play17:18

조금씩 발견되고 있다 이렇게 정리하면

play17:21

될까요 그래서 사실은 진화생물학

play17:22

옛날에 이게 아예 안 된다고 소프트

play17:24

인헤리턴스 말도 안 된다고 생각했기

play17:25

때문에이 소프트 인헤리턴스 후성

play17:27

유전학적인 변 세대를 거슬러서 경험이

play17:29

유전되는 변화가 생물의 진화에 얼만큼

play17:32

영향을 많이 주는가에 대해서 굉장히

play17:33

사실 뜨거운 감자요 이게 굉장히

play17:35

제한적인 왜냐면 이게 사실은 메틸

play17:37

기는 조금 오래 가긴 하지만 아까

play17:39

말씀 어떤 단백질의 변화 같은 것들은

play17:41

몇 세대가 지나면서 사실

play17:43

희미해지거나 하는 말을 생각해 보면

play17:45

우리가 건물을 지을 때 두부로 이제

play17:47

우리가 얼만큼 튼튼한 건물을 지을 수

play17:49

있겠어요 결국은 벽돌처럼 단단한 하드

play17:51

인헤리턴스 통해서 새로운 생물이

play17:53

결국은 출연할 수밖에 없다라는 주의와

play17:55

두부가 벽돌이 될 수도 있다 사실

play17:57

시작은 두 부데 거기다가 우리가

play17:59

콘크리트도 사실은 부드러운 걸 굳히는

play18:01

것처럼이 소프트 인헤리턴스 처음에는

play18:03

중요한 작용하지만 나중에 결국 이게

play18:05

유전자들의 작용까지 합쳐져서 그니까

play18:06

소프트 인턴스 처음에 굉장히 중요한

play18:08

작용을 할 것이다라고 얘기하는 파가

play18:10

있어요 근데 이런 걸 확대 해석해서

play18:12

뭐 손흥민 선수가 젊어서 축구를

play18:14

열심히해서 실력이 굉장히 좋아졌으니

play18:16

아이는 어려서부터 축구를 잘하거나

play18:18

그렇게까지 확대 해석하는 것도 좀

play18:19

문제는 있겠죠 그렇죠 예 아마

play18:21

그거보다는 이제 부모님이랑 같이

play18:22

살면서 얻는 유사함이 훨씬 더 크겠죠

play18:25

뭐 그죠 알겠습니다 아 오늘

play18:27

재밌습니다 대교수 님 아유 오늘은

play18:29

이제 댓글 걱정 안 해도 될 것

play18:30

같습니다 자 그러면 아 오늘

play18:32

본격적인과 이야기 한번 들어가 보도록

play18:34

하겠습니다 자 요즘의 기후 변화를

play18:38

이야기하는 뭐 과학자들도 많고 뭐

play18:40

언론에서도 어마어마하게 이야기하고

play18:42

있는데 실제로이 기후 변화가 생물의

play18:45

변화를 굉장히 빠르게 지금 촉진시키고

play18:47

있다 이런 얘기들이 좀 나오고

play18:49

있습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원래 이제

play18:50

뭐 북극곰이랑 하는 하얀 섹터에 곰과

play18:53

북미 쪽에 많이 살고 있는 그리즐리가

play18:55

왜 큰 곰들 있잖아요 회색곰 같은 거

play18:57

얘네들이 원래는 같이 몸을 섞으면 안

play19:00

되 애들 같은데 얘네들 사이에서 뭔가

play19:02

새로운 종이 탄생하고 뭐 이런 일들이

play19:04

벌어지고 있다 이런 보도가 좀

play19:05

있거든요 이거 사실입니까 사실인 거

play19:07

같던데요 예 같던데요 아 그 사실인

play19:10

거 같습니다 예 아 뭐라고 해야 되죠

play19:12

사실입니다 다음에 댓글 보세요 보니까

play19:16

색깔이 약간의 그 갈색 곰과 북극곰

play19:18

흰색곰 사이라서 카푸치노 베어 뭐

play19:20

이렇게 여러가지 별명들이 있고요 아니

play19:24

근데 다른 애들인데 어느 정도까지가이

play19:26

눈 맞았을 때에 들이 나올 수 있는

play19:29

거예요 예를 들면 뭐 말이랑 아주

play19:31

작은 조랑 말이랑 둘이 사랑을 해도

play19:33

정신적 사랑에 끝날 거

play19:36

아닙니까 웃음 웃음 소리가 처음 아

play19:39

이거 말소리 흉내낸 겁니다 말의 울음

play19:42

소리입니다네 사람과 침팬지는 서로

play19:45

아이를 알 수 없을 거 아니에요

play19:46

어디까지가 가능한 거예요 겉보기에

play19:49

판단하기 사실 쉽지 않은 게요 예를

play19:50

들어서 개를 생각해 보시면 걔는

play19:52

견종이 정말 다양하잖아요 크기도 엄청

play19:54

다양하고 모양도 다양한데 기본적으로

play19:55

다 같은 종이고 교배하면 잡종이 다음

play19:58

나온다라고 하는 거 생각할 수 있는데

play20:00

여기서 되게 본질적인 그 문제가

play20:02

있는게 종이란게 뭐냐 우리가 생물

play20:05

종이 뭐 지구상의 동물이 예를 들면

play20:07

뭐 800만 종 뭐 이렇게 있다

play20:08

이렇게 투산을 하는데요 종이라고

play20:10

하는게 어떻게 우리가 구분 수 있느냐

play20:12

아까 그 좌표계 움직임 얘기하셨던

play20:14

것처럼 굉장히 저는 인위적인

play20:16

개념이라고 생각을 하고요 제가

play20:18

생물학자 어떻게 순종과 잡종을 나눌

play20:21

것이냐 지금 북극 회색곰 합쳐져 가서

play20:23

그롤라 배요 뭐 이런 얘기가 나오는데

play20:24

왜 우리가 북극곰과 회색 곰을 서로

play20:26

다른 종이라고 불리고 얘네들이

play20:28

교배하면 잡종이라고 부르는 거지라고

play20:30

하는 것부터 굉장히 심한 문제가

play20:32

있다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play20:33

사실 생물학에서 종을 정의할 때 가장

play20:36

널리 언급되는 종은 그니까 생물학적인

play20:38

종이라고 하는데 두 종이 교배를 했을

play20:40

때 말씀하신 것처럼 다음 자손이

play20:42

연속적으로 나오지 않으면 뭐 타이거와

play20:44

라이온이 교배에서 라이거 라이거 혹은

play20:46

타이온이 만들어지고 라이 라이거

play20:48

만들어질 거예요 그렇게 연속적으로

play20:50

계속 이어지 수 예 그게 약간 다시

play20:51

부모 세대랑 교배 했을 때 이렇게 몇

play20:53

대를 더 가거나 이렇게 할 수 있는데

play20:54

안정적으로 재생산을 될 수 없거든요

play20:56

그게 보통 일반적으로 우가 생각 생

play20:58

맞아 그렇게 배던 근데 한번

play21:00

생각해보시면 동물종이 800만 종이다

play21:02

했을 때 누가 그걸 다 교배시켜

play21:03

봤을까요 800만의 제곱 나누

play21:06

2입니다 얘가 얘랑 교배가 된다는 걸

play21:08

실험적으로 확정해서 생물학 종으로

play21:11

분류한 경우는 굉장히 희소한 거란

play21:12

말이에요 그러네요 예 그러니까이

play21:15

엄밀한 정의를 정의해서 우리가 종로

play21:17

분류할 수 있는 경우가 많지 않고

play21:18

훨씬 어떻게 보면 과대 평가가 돼

play21:20

있다라고 이제 조금 생각을 하고요 못

play21:22

찾은게 많을 수 있지만 우리가 이미

play21:24

찾아서 서로 다른 종이라고 불리지만

play21:26

알고 보면 개처럼 표현형 수준에서

play21:28

굉장히 다양하지 여전히 교배에서

play21:29

안정적으로 재생산이 될 수 있다라고

play21:31

이제 하는 그런 애들이 실제로 실험해

play21:33

보면 많이 나올 거라고 생각합니다

play21:35

근데 요즘 DNA 같은 걸 잘 알고

play21:37

있으니까 굳이 직접 교배 실험을 하지

play21:39

않아도 어느 정도는 예측할 수 있지

play21:41

않을까요 근데 그 부분이 DNA 어느

play21:43

정도 차이가 나야지 교배가 안 될

play21:45

것인지 이런 부분들은 자르기가 힘든

play21:47

게요 그게 정확하게 본질인게 어떻게

play21:49

이렇게 많은 다양한 종들이 생겨 났냐

play21:51

해서 사실이 문제가 내재적으로 포함이

play21:53

돼 있거든요 왜냐면 진화생물학의이

play21:56

패러다임에서는 종은 다윈이 말했던 게

play21:58

원래 있던 종의 분화를 통해서

play21:59

만들어진 거기 때문에 따로따로

play22:01

만들어진게 아니에요 애초에 그러면

play22:03

처음에 한 종이었습니다 거 아니에요

play22:04

한 종에 있었던 집단 중 어떤 종이

play22:07

떨어져 나오거나 집단이 반으로

play22:08

갈리거나 해서 점차 둘로 갈리는데

play22:10

어디서부터가 얘네들이 교배가 안 되는

play22:13

시점일 2010년에 교배가 되다

play22:15

2011년에 우리 교배 안 돼 하진

play22:17

않을 거란 말이죠 점점 교배가 될

play22:19

확률이 떨어지는 방향으로 사실은

play22:21

분화가 되는 연속적인 과정인데 이게

play22:23

우리는 많은 경우에는 이미 분화가

play22:25

상당 수준 진행된 종들을 비교하고

play22:27

교배시키기 때문에 안 되는 거라고

play22:28

이제 볼 수 있습니다 인간도 만약에

play22:31

지금 이제 우 인간이라 휴먼 한

play22:33

종으로 생각하잖아요 근데 만약에 좀

play22:35

다르게 계속해서 교류없이 만약에 쭉

play22:38

오랜 세월을 가다 보면 이들

play22:40

사이에서도 교배가 안 될 가능성도

play22:42

있겠네요 당연하죠 오 그리고 실제로

play22:45

우리 인류의 조상들에 그게

play22:47

빈번하게났습니다 인류 진화의 역사에서

play22:50

사실 우리는 굉장히 특별한 시대를

play22:52

살고 있거든요 왜냐면 내 안데르

play22:53

탈린이 이제 한 3만 년 전 중

play22:55

멸종됐다고 생각하는데 사실은 그 한

play22:57

3만 년 전 부터 한 200만 년

play22:58

전까지는 화석인 증거로 지구상에

play23:00

최소한 두 종 이상의 인류가 있었어요

play23:02

훨씬 많을 때도 있었고 서로 교배 안

play23:04

되는 교배가 안 됐을 가능성이 클

play23:06

정도로 상당히 다를 것이라고 추정하는

play23:08

아 근데 뭐 네안데르 탈린 같은

play23:10

경우에 딱 그 예라고 할 수 있는데

play23:11

우리가 호모 사피엔스인 네안데르 탈린

play23:13

하고는 우리가 갈라진지가 얼마가 되지

play23:15

않기 때문에 실제로 교배를 했죠 아

play23:17

호모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 둘이 잘

play23:20

맞았어요 그래서 MC 님 DNA

play23:22

속에도 네안 탈린의 DNA 들어

play23:23

있습니다 아 저도 있어요 예 아

play23:25

그렇습니까 들어 있을 겁니다 아

play23:28

아니네요 아 그렇게 두 종 이상의

play23:32

인류라고 부를 수 있는 그런 사람들이

play23:33

살았다는 거죠 지구상에 지금은 없는

play23:36

거고요 지금은 알려진 발언 없고 한

play23:38

종만 있는 거고요 지금은 한 종만

play23:40

있는 거죠 어 그럼 이게 둘이

play23:42

나눠져서 서로 안 될 수도 있고 또

play23:44

될 수도 있는 굉장히 다양한 변수들을

play23:46

우리는이 생물 계에서 늘 갖고 있는

play23:48

거군요 그렇죠 그래서 어떤 경우도

play23:50

상정해 볼 수 있냐면 a b c고

play23:52

하는 세 종 있는데 a c 교배가 안

play23:54

돼요 근데 a b 교배가 되고 이랑도

play23:58

교배가 될 수가 있는 거죠 아 중간에

play24:00

있습니다 중간 비는 좋겠다 그렇게

play24:03

생각을 안

play24:04

해봤는데 비는 양쪽 지금 다 된다는

play24:06

거 아니에요 그렇 자 그렇게 종들이

play24:09

서로 교배를 하는데 기후가 또이

play24:12

종들의 교배에 영향을 또 많이 미칠

play24:14

수도 있는 거죠 원래이 동네 안

play24:16

살다가 저 동네 같이 또 살게 되면서

play24:18

원래 교배가 없었던 동물들 있데 같이

play24:20

이제 교배가 된다든지네 그거는 사실은

play24:22

진화 역사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play24:24

일어나는 일이라 생각할 수 있고요

play24:26

다만 이제 기우 변화 그 촉진

play24:28

원래는 다른데 살던 애가 만나게 되면

play24:30

그런 거잖아요 우 만났을 때 이제

play24:32

통성명 하듯이 다른 생물들이 나는

play24:34

종야 넌 종 B 아 우리는 안

play24:36

되겠어라고 하지 않고 그냥 뭐 향기가

play24:37

좋거나 서로 매력을 느끼거나 그렇죠

play24:40

그러고 나서 이제 자손이 잘 건강히

play24:42

태어나면 그냥 그렇게 되는 거잖아요

play24:44

이거를 하이브리다이제이션이라고 하는데

play24:46

영어로는 그런 일들을 통해서 이제

play24:47

새로운 생물이 출연하거나 할 수가

play24:49

있습니다 종들 사이에 어떤 좀 수퍼

play24:52

생식세포 가진 친구들이 좀 있지

play24:54

않을까요 같은 종 원래는 이제 둘이

play24:56

안 되는 종인데 그 중에 어떤 개체가

play24:58

좀 약간 독특한 슈퍼 생식 세포가

play25:01

있어서 얘는이 종이랑 또 돼 원래

play25:04

다른 개체들 안 되는데 이런 일들이

play25:06

사실은 돌연변이를 많이 또 만들어

play25:07

내고 새로운 교배 종을 만들어 낸게

play25:09

아닐까 하는 저는 추측을 또 해 보게

play25:11

됩니다 조금 더 그 추측을 구체화를

play25:14

해 드리면 왜 종이 분화 될까 왜

play25:16

사실은 이게 어떠한 생물 집단이 오랜

play25:18

시간 동안 격리돼 있으면 왜 교배 안

play25:20

될까 그건 굉장히 본질적인 문제가 닿

play25:23

있는 질문이 거 같거든요 오랫동안

play25:25

분리되 있을 때 왜 교배가 안 되느냐

play25:27

아 왜 그렇죠 사랑하기가 힘든가

play25:29

그것도 하나의 중요한 이유입니다

play25:31

그래서 우리가 종과 종인 분화가 돼서

play25:33

서로 이제 더 이상 그 유전자들이

play25:35

섞일 수 없게 되는 거를 장벽이라고

play25:37

하거든요 종간 장벽이라고 불요 근데이

play25:40

종간 장벽이 크게 수정 전에 격리되는

play25:42

것과 수정 후에 격리되는게 있습니다

play25:44

그니까 수정 전에 격리가 되는 거는

play25:46

서로 매력을 못 느낀다거나 서로

play25:48

만나지 못한다거나 아니면 만나도 서로

play25:50

이렇게 짝짓기를 하려고 하는데 잘 안

play25:52

된다거나 그런 경우가 있고 그다음에

play25:54

이제 수정까지 되더라도 그 생으로

play25:57

이어 그러니까 제대로 발생하지 않은

play25:59

경우가 있을 수가 있어요 그러니까이

play26:01

모든 장벽을 사실은 다

play26:04

통과해야지만 수 있는데 여기서 굉장히

play26:06

사실은 재밌는 부분 중 하나가

play26:08

자식에서 성별에 따라서 사실은 부림

play26:11

여부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거든요

play26:13

성별에 따라 부림 여부가 달라져요 예

play26:15

포유의 경우에는 수컷이 부림 경우가

play26:17

많아요 잡종 잡종인 경우 잡종인

play26:19

경우에 수컷 잡종이

play26:26

부림인슈보드 성 염색체가 다른 성이

play26:29

부임이 된다 수컷은 XY 수컷은 XY

play26:32

아아 암컷은 xx 아아 근데 조류

play26:35

같은 경우에는 이게 반대로 돼

play26:37

있거든요 zw 시스템이든 거기는

play26:40

수컷이 zz 암컷이 zw는 부 암컷이

play26:44

부림 경우들

play26:45

재밌다 교배종의 경우에 그러니까

play26:47

잡종을 만들었을 때 잡종을 만들었을

play26:49

때 와 신기하네 그걸 이제 보고

play26:52

홀데인 규칙이라고 하는게 있는데

play26:55

그렇게 잡종을 해서 어떤 한쪽 성별만

play26:57

림이 됐을 때 그 성별은 성염 색채가

play26:59

서로 다른 종류의 성염 색채를 가진

play27:01

종일 가능성이 크다라고 얘기를

play27:03

합니다음 그 노생 그가 뭐 말과

play27:06

당나귀의 잡종인 그럼 노새는 암컷

play27:09

노새의 경우에는 자식을 나눌 수 있고

play27:11

수컷 노새는 어렵고 그거는 확인을

play27:13

해봐야 되겠지만 전반적으로 경향성이

play27:15

그런 경향이 나타난다 근데 그럼 왜

play27:17

그러냐 그 이게 포인트인데요 사실은

play27:20

이거에 대해서도 홀데이 이제 어느

play27:21

정도 예측을 한 반데 왜 두 집단이

play27:24

경리가 오랫동안 되면 서로 생식이

play27:26

불가능해 지느냐 오랫동안 격리가

play27:28

됐으면 각각의 집단에서 독립적으로

play27:30

돌연변이들이 쌓여요 오 아 근데이

play27:34

돌연변이들 각각의 집단에서는 너무

play27:36

해로우면 다 제거가 되는 거죠 근데

play27:38

시간이 지나서 그런 편가 아주 많이

play27:40

쌓여 가지고 얘네들 갑자기 교배를 해

play27:41

버리면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서로

play27:43

본 적이 없는 변이가 갑자기 너무

play27:45

많이 서로서로 야 너 누구야 너

play27:47

누구야 하면서 했는데 우리 유전

play27:49

변이가 신기한게 각각은 별로 효과가

play27:51

없더라도 같이 만났을 때 새로운

play27:53

효과를 내거나 혹은 좋은 효과를 낼

play27:54

수도 있지만 그런 경우들이 많습니다

play27:56

그래서 안 만났던 변들이 많이

play27:58

쌓이다가 갑자기 만났을 때 문제를

play28:00

일으킨다 근데 그러면 이게 왜 아까

play28:02

홀딩 규칙 성별과 관련이 있느냐

play28:04

암컷의 경우에는 X 염색제가 두 개가

play28:06

다 있잖아요 예를 들어 라이고 같은

play28:08

경우 호랑이와 타자가 다 있잖아요

play28:09

근데 수컷 같은 경우에는 x 염색제가

play28:11

하나밖에 없잖아요 y 사실은 거의

play28:13

작아서 없다고 봐야 되는데 원래는

play28:15

예를 들면 호랑이가 있으면 사자가

play28:16

있어서 안 좋은 효과를 상쇄시켜 주는

play28:18

애가 있는데 암컷에서는 이게 없는

play28:20

거예요 그러니까 이제 난리가 나는

play28:21

거죠 사실은 이제 호랑이와 타자가

play28:23

만나서 이제 일으키 효과가이 성에서만

play28:25

더 극대화가 됩니다 그래서 오랜 기간

play28:28

격리가 된 다른 환경에서 자란 세대를

play28:30

여러 번 반복한 쪽에서는 서로 각각의

play28:32

돌연변이들이 누적되게 되고 그러다

play28:34

다시 이제 뭔가 해 보려고 그러면

play28:36

요거는 이제 안 되게 되는 거군요

play28:37

그렇죠 그게 너무 많이 쌓이게 되면

play28:39

어 신기하네 그것도 그렇게 이제 다른

play28:42

종들이 만들어지기도 하고 도저히 이제

play28:45

넘어설 수 없는 벽이 생기기도 하고네

play28:47

그렇게 되는게 우리 생물의 진화 우주

play28:49

별도 진화하지 않습니까 아 그렇죠래

play28:52

지화를 또

play28:53

연구하시고 돌연변이도 생기죠 돌연변이

play28:56

박사이 너무 지금 조심 사요 별의

play28:59

돌연변이 어떻게 정리 별의 돌연변이

play29:01

아 근데 하라면 할 수 있을 것

play29:03

같아요 별이 이제 혼자만 사는게

play29:05

아니니까 다른 파트너 별의 존재

play29:07

때문에 정상적인 진화 트랙을 좀

play29:09

벗어나는 애들도 있거든요 뭐 그런

play29:11

식으로 굳이 비 유주를 하자면

play29:12

돌연변이가 있다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

play29:14

것 같은데 그래도 비교적 천문

play29:16

학자들은 별에 지화는 생명에 비해서는

play29:18

잘 이해를 하고 있는 거 같아요 아

play29:19

그렇습니까 아 맞다 별 얘기하니

play29:22

갑자기 또 생가났습니다 빛보다 빠른

play29:23

거 없잖아요 와 근데 저는이 생각을

play29:26

하면서 무릎을 또 탁 쳐 습니다

play29:28

지구가 빛이 왜 계속 저를 쳐다보

play29:32

아니 왜냐면 혼날까 봐 나랑 제일

play29:34

비슷한 수준이 신 거 같아 우주물

play29:36

이쪽은 빛이 지구를 1초에 몇 바퀴

play29:38

도는지 아시죠 설마 그건 아시죠 아

play29:40

저는 모르겠습니다 가르쳐 주십시오

play29:41

일곱 바퀴 반 지구를 아 근데 돌지

play29:43

않아요 빛이 그죠 그건 그렇죠

play29:45

그만큼의 거리를 그 정도의 이제

play29:47

거리를 간다는 거예요 4만 km 아아

play29:49

지구 굴레가 예 1주에 30만 km

play29:51

가고 그런데 말입니다 수많은 수천

play29:55

조의이 별들 가운데 지구 자전

play29:57

속도보다 7.5배 빠른 별이 있겠어요

play30:01

없겠어요 있겠죠 당연히 있겠죠 그러면

play30:04

그 표면에 있는 애는 빛의 속도로

play30:06

가는 거예요 어때요 1초에 자전

play30:09

속도가 근데 각속도가 아니라 반지름

play30:12

그지 넣어서 계산해야 되는데 그죠

play30:13

지구와 같은 크기인데 지구와 같은

play30:15

크기에 별이 있고 얘가 1초에 일곱

play30:19

바퀴 반을 초 한 바퀴 돈다고 생각면

play30:21

크면은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건

play30:23

맞죠 어쨌든 상상할 수 있어요 예

play30:26

그러니까 별이 있는데 네

play30:28

빨별 한점의 속도가 빛의 속도보다

play30:31

빠를 수 있느냐의 질문인 거죠 뭐

play30:33

그런 거로

play30:35

갈게요 그게 아니었어 그게 낫겠다

play30:38

근데 원래 생각은 보였어요 아니

play30:40

아니니 그게 낫어 아 그게 맞아 아

play30:42

나 그 생각했네 아니 그리고 1초에

play30:45

보니까 지구도 뭐 엄청 빨리

play30:47

움직이도만이 은하 주변을 이렇게

play30:48

공연하는 그 속도 들어보니까 큰데

play30:51

저항도 없는 그 우주에 지구보다 뭐

play30:53

수십배 혹은 뭐 수백배 빠른 별이

play30:56

없을까 아 당연히 있습니다 있지

play30:57

않아요 그러면 빛만큼 갈을 친구들이

play31:00

나 있을 것 같은 느낌이 살짝 듭니다

play31:02

그러나 빛의 속도에는 못 미칠 뿐인

play31:04

거죠 못 미칠 뿐이죠 예 못 미칩니다

play31:06

사실 아 그 실제로 고속으로 움직이는

play31:08

별들을 우리가 뭐 하이퍼 벨로시티

play31:11

스타 뭐 이런 식으로 부르거든요 그래

play31:13

봤자 빛의 속도에 비해선 10%

play31:15

아지만 빠른 편이죠 아 그런 애들이

play31:18

관측이 돼요네 많이 관측됩니다 그

play31:20

중성자 별의 자전 속도 같은 거 엄청

play31:22

빠른 것들 있지 않아요네 맞아요 빛의

play31:27

엄청나게 해봤자 슈퍼카 자동차 RPM

play31:30

정도 에이 그 정도는 안 됩니다

play31:32

교수님 빛의 속도랑 비교하시기 너무

play31:35

느려요네 알겠습니다네 교수님도 큰

play31:38

가르침 하나 드렸고요 그렇게 해서

play31:40

이제 다시 생물 얘기로 좀 돌아오자면

play31:42

수많은 그 이른바 우리가 볼 때는 어

play31:45

굉장히 신선한 하이브리드 저 종들이

play31:47

좀 있잖아요 그 아까 말씀하신 뭐

play31:49

라이거든지 늑대의 뱅갈 고양이 뭐 런

play31:52

친구들이 좀 있지 않습니까 요런

play31:54

친구들은 생식 능력이 없다고 고 보면

play31:57

돼요 계속해서 안정적으로 교배한

play31:59

개체들이 이어져야 되는 건데 어떻게

play32:01

보면 새로운 종으로 갈 수 있는

play32:03

가능성이 있는 거고 그게 안 되면

play32:04

그냥 몇 대의 잡종에 그냥 특징만

play32:06

보여주고 끝나는 거더라고 아 그래요

play32:09

그런 경우에는 자연적으로 계속

play32:10

이어지는 경우는 별로 없군요 인간이

play32:12

이렇게 만들어낸 하이브리드 같은

play32:14

경우는 근데 인간이 우연하게 그 섞일

play32:16

수 있는 두 종을 골라 섞으면

play32:17

갈라진지 얼마 안 되는 종을 섞으면

play32:19

새로운 종으로 또 이어질 수도 있는

play32:21

가능성 그 과학 뉴스 같은 거 간혹

play32:23

보는데요 2017년에 그 사이언스

play32:25

논문에 갈라파고스의 핀치 유명하잖아요

play32:28

그걸 실험하는 그란트 아는 두분이

play32:30

부부가 한 관찰이 있었는데 한 섬에

play32:32

다른 섬에서의 구리가 큰 핀치가

play32:34

유입됐다 근데 얘가 그 지역에 다른

play32:37

종들다는 적응적인 이점이 있어서

play32:39

애들이 살아남았고 토착 핀치는 교배를

play32:41

해서 자손을 남겼는데 얘가 큰 부류의

play32:43

특징을 갖고 있어서 그 토착 종들 다

play32:46

유리했고이 많이 달라서 근친 교배를

play32:48

했대요 그런데 여섯 세대까지도

play32:50

이어져서 그 정도면 그 신종이

play32:53

만들어졌다고 할 수 있다라는 과학

play32:55

소식을 본 적이 있어요 그게 현재

play32:56

스코 2017년 논문이 그 얼마 안

play32:59

된 거죠 사실 엄격하게 생각했을 때는

play33:00

잡정 교배한 개체들 자손들 계속해서

play33:03

근친으로 그다음에 이어질 수 있어야

play33:05

될 텐데 자연에서 더 빈번하게

play33:06

일어나는 일은 예를 들어서 a 종이

play33:08

사는 무리에 B 종이 갑자기 태풍으로

play33:10

몇 마리가 온 거예요 근데 교배가

play33:12

되는 거예요 그러면 더 이상 오진

play33:14

않죠 잡종들이 태어나더라도 원래의

play33:16

집단에 있던 순종 이거 다 사실 이게

play33:18

인위적인 분일 수 있지만 걔네들고

play33:19

계속 교배를 하게 되면 DNA 일부가

play33:22

들어와서 자손 집단에서는 그때

play33:24

태풍으로 왔던 비라고 하는 개체가

play33:26

전해준 DNA 가 남아 있고 좀

play33:28

희석이 되게 됩니다 그 일이 정확하게

play33:30

저희네 안드 탈린과 호모사피엔스

play33:32

사이에서 일어났던 일이고 구체적으로

play33:33

이이라고 부르고 유전자 이이라고

play33:35

부르거든요 어떤 다른 종에 있던

play33:37

유전자들이 들어와서 계속해서 이어지는

play33:39

현상 근데 그게 새로운 적응이 사실은

play33:41

재료가 될 수 있는 거예요 듣는

play33:43

분들이 약간 좀 불편하실 수도 있어서

play33:44

이제 여쭤보는 건데 이종 동종 잡종

play33:47

순종 이거는 어떻게 다른 겁니까

play33:49

그러니까 이제 원래 유전학적인

play33:51

개념에서는 똑같은 유전자들을 가지고

play33:54

있으면 순종 같은 유전자에 대해서

play33:56

대리 유전 자가 같은 종류를 가지고

play33:58

있으면 순정인데 서로 다른 대립

play33:59

운전자를 가진 순종이 있을 수가

play34:01

있잖아요 라지 AA 스몰 AA가

play34:03

있잖아요 아이고 생각납니다 그 그게

play34:05

교배하면 라지 a 스몰 A 나오잖아요

play34:08

그럼 그게 잡종인 거예요 근데 이거는

play34:10

우선과 열성과 가는 아무런 상관이

play34:11

없어요 순종이라는 유전적으로 순종인게

play34:14

섞이면 잡종이 되는 거죠 그니까 이게

play34:15

순종과 잡종이라고 하는 사실은 개념을

play34:17

엄격하게 사용하려고 하면 특정한

play34:19

유전자에 대해서 우리가 이렇게 쓰는

play34:21

개념인 거고 어떤 종이 순종이다 어떤

play34:23

종이 잡종이다 얘기하는 그런 엄밀성

play34:25

사실 훨씬 떨어지는 굉장히 인위적이고

play34:28

예 잡종이란 말 자체가 이렇게 거슬린

play34:31

분들도 계실 수 있을 것같 교 같은

play34:33

느낌 같 뭐 종하 뭔가 이렇게 약간

play34:35

좀 낮춰지는 거 같은 느낌 사실은

play34:37

순종보다 잡종이 더 건강가 많죠

play34:40

그렇죠 그렇죠 예 맞습니다 사실 저도

play34:42

잡종입니다 다 잡종이 우리 모든 잡종

play34:45

아닙니까 맞습니다 예 양쪽 피를

play34:47

받아서 잡종이 됐잖아요 내 안데르 탈

play34:49

린도 들어 있고 저 예 우리 막이

play34:51

안에 수많은 역사적 인물들이 다 살아

play34:53

있는 거 아니겠습니까 근데 이제

play34:55

우리가 전 세계에서 아마 어 류를

play34:57

가장 많이 먹는 나라로 제가 알고

play34:59

있는데 2048년이 되면 바다

play35:01

물고기가 사라질 수도 있다 이런

play35:03

얘기가 나오는데 이거 사실일 가능성이

play35:05

좀 높습니까 저는 정확하게

play35:06

2048년이라고 하는 추산이 어떻게

play35:08

나온 계산인 모르겠지만 해양생태계

play35:10

파괴가 여러 가지 일단은 뭐 인간들이

play35:13

남획하는 것도 있고 산성화가 일단은

play35:15

굉장히 심한 예 왜냐면 이상화 탄소

play35:17

농도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녹아들게

play35:19

되면 산성화 되죠 성화되는 거죠 대기

play35:22

중에 이산화 탄소 농도가 짙어져서

play35:25

그게 바다에 높게 되면 그 정도로

play35:27

근데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

play35:29

그러니까 그 정도 높아졌죠 지금 지금

play35:31

대기 중에 이산화 탕소 농도가 몇

play35:33

퍼트니 한 0점 그렇게 따지면 그러네

play35:36

400 ppm이 넘었는데 그게 우리

play35:39

호모 사피엔스가 지구에서 숨을 쉬기

play35:41

시작한 이후로 한 번도 경험해 보지

play35:43

못한 농도에 근데 아주 적은 양이긴

play35:45

하지만 어쨌든 그 총 양이 다

play35:47

더해져서 바다에 만약에 녹아들게 되면

play35:49

대기 중에 이산화 탄소의 농도가

play35:51

많아지면 바다하고 화학적인 평형

play35:53

상태를 이루게 되니까 대기에

play35:55

이산화탄소 농도 도가 많으면 더 많은

play35:58

이사라 탄소가 바다에 들어갈 수밖에

play35:59

없는 건 맞죠 그래서 바다가 산성화

play36:01

되고 있어요 지금 산성화 될 수 있다

play36:03

그런 얘기는 들었던 거 같아요

play36:04

물고기가 살기 어려워지는 거예요

play36:05

그렇게 되면 그 당연히 이제 여러

play36:07

가지 조건이 그니까 지구상에 CO2

play36:08

농도가 한 번도 고정됐던 적도 없고

play36:10

바다에 PH 항상 고정됐던 적은

play36:12

없는데 기원도 마찬가지고 빙하기가

play36:13

있었고 해빙기가 있었는데 중요한 거는

play36:16

얼만큼 급격하게 변화하는가 생물이

play36:18

적응할 수 있는 그 시간을 주면서

play36:20

변화하는가 진화의 힘을 믿기 때문에

play36:22

이게 시간이 지나면 결국은 적응할

play36:24

텐데 너무 급격하게 발생하면 대멸

play36:26

으로 이르게 되는게 바다뿐만 아니라

play36:29

사실은 기후 변화는 우리를 포함해서

play36:31

그냥 사실 제육 멸종 이렇게 대멸종

play36:34

얘기할네 중요한게

play36:44

온도예측 많아지면 대기의 온도가

play36:47

올라가고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면

play36:49

빙하들이 사라지고 그러면 태양빛을 더

play36:51

많이 흡수하게 돼서 온도가 또

play36:53

올라가고 북극 지역의 동토층에 있던

play36:56

것들이 이 녹으면 거기에 들어 있던

play36:58

유기물들이 의해서 메탄 가스 같은

play37:00

온실 가스가 더 많이 대기중으로

play37:02

방출되면 그것 때문에 온도가 올라가고

play37:04

온도가 올라갔으니까 더 많이 방출되고

play37:06

이런 양의 대목임이 있어 갖고 어느게

play37:08

원인이고 어느게 더 위험하고 하는 걸

play37:10

딱 하나를 집을 순 없죠 두 개가

play37:11

맞물려 있어요 아 왜냐면 이제 온도가

play37:13

만약 문제라고 한다면 우주적으로

play37:15

해결할 방법이 있잖아요 태양을

play37:17

바라보는 정확한 그 위치에 늘 우리의

play37:20

큰 우산 하나를 갖다 놓고 이게 이제

play37:22

지구랑 가까우면 좀 문제가 해결이 안

play37:24

되겠습니다만 정말 큰 우산을 태양

play37:26

쪽으로 최대한 가까이 이렇게 붙이는

play37:27

거예요 그러면 어떻게 됩니까 우주

play37:29

양산 그거 진짜 그런 제한 있는 걸로

play37:31

알고 있는데요 근데 말씀하신게 되게

play37:33

터이 없어 보일지도 모르지만 나름

play37:35

천문학자들이 꽤 진지하게 이야기하는

play37:37

아이디어이기 해요 사실은 어디에서

play37:39

출발한 생각이었면 금성의 온도가 너무

play37:41

높으니까 금성을 지구처럼 테라포밍을

play37:44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를 칼세이건이

play37:47

고민을 했었거든요 근데 그때 나왔던

play37:49

아이디어 중에 하나가 태양과 금성

play37:51

사이 라그랑주 포인트라고 하는 중앙

play37:53

포인트에 적당한 가림막을 펼치면 성음

play37:56

온도를 시킬 수 있을거다 인공적으로

play37:58

이런 아이디어였어요 근데 이제 이게

play38:00

지구 온난화의 문제가 좀 너무

play38:02

심각하니까 이거를 지구에서도 쓸 수

play38:04

있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하는 거죠

play38:06

근데 사실 아직은 현실성이 조금

play38:08

떨어지는게 우주 양산을 하는 방법이

play38:10

여러 개 있겠죠 예를 들면 큰 은박지

play38:12

같은 걸 날릴 수도 있을 거고요

play38:14

조그만한 인공위성 편대를 띄어 가지고

play38:16

걔로 태양빛을 가릴 수도 있을 거고요

play38:18

근데 그거 발사할 때 또 온실 가스가

play38:21

지구에 채워져요 로켓에 들어 있는

play38:23

여러 연료들이 또 타면서 올라갈 거

play38:25

아니에요 그러면 그거 얼마 안 되지

play38:27

아 그 효과가 어느게 되 근데 이게

play38:28

무시할 수가 없는게 이거를 하려면

play38:30

지구에 있는 연료를 엄청 많이 써서

play38:33

해야만 그 수킬로미터짜리 스케일의

play38:35

가림막을 만들 수가 있거든요 지금

play38:37

로켓 발사하는 것도 천문 학자들은 더

play38:39

많이 날리고 싶어하지만 로켓 발사도

play38:41

되게 지구 온 나나의 큰 악영향을

play38:43

끼치는 요인 중에 하나이기도 해요 아

play38:45

로켓 발사하는게 비행기도 그렇고요

play38:47

맞습니다 저는 그래서 스페이스

play38:48

엑스에서 맨날 뭐 로켓 새로운 거

play38:50

한다고 영상 보고 있으면 저는 그

play38:52

생각이 너무 많이 들거든요 정말로

play38:53

온실 가스가 많이 나올 것 같은데

play38:56

말씀하신 거는 지구에 그 엔진이

play38:58

방출하는 온실 가스는 한 번이고 거게

play39:01

잘해서 한 번 차양막을 쳐 놓으면은

play39:03

그 효과는 기니까 장기적으로는 도움이

play39:05

될 수도 있지 않을까요 자

play39:07

이론적으로는 사실 저도 도움이 안

play39:08

되진 않을 것 같은데 막연한 거부감

play39:11

같은게 있는 거 같아요 자연을

play39:12

어디까지 컨트롤 해도 되느냐고 사실

play39:15

이런 것들은 뭐 물리학자 천문학자들은

play39:16

이렇게 상상 하긴 하는데 생물학

play39:19

하시는 분들은 이런 아이디어 들으면

play39:20

기겁 해요 전 기겁 하긴 했는데데

play39:22

테크니컬하게 우산이 쓸모가 없어지는게

play39:24

태풍이 불면 쓸모가 없잖아요 네

play39:26

어차피 날려 버리니까 근데 그렇게

play39:28

가까이 날려보면 태양풍이 엄청 센 거

play39:30

아니에요 아 이것도 아주 중요한

play39:32

포인트에요 좀 아직도 같은 레벨로

play39:36

혹시 실제로 밀려 나겠네 그렇죠

play39:38

밀려날 것이기 때문에 계속 투입을

play39:40

해야 돼요 만약에 인공위성 편대를

play39:42

띄어 가지고 방충망 럼 태양빛을

play39:45

가리기로 했다라고 하면 걔가 계속

play39:47

거기 떠 있는게 아니라 계속 서서히

play39:49

밀려날 거거든요 그럼 그 재밌네요

play39:50

이게 면적이 넓어야만 태양광을

play39:53

효율적으로 막는데 면적이 넓으면

play39:55

태양풍으로 더 밀려나는게 더

play39:57

빨라지니까 그 사실은 쉬운 문제는

play39:59

아니네요 아 아니죠 아니죠 그때는

play40:01

이제 바람개비 원리를 우리가

play40:02

이용해야죠 태양풍이 오죠 바람개비를

play40:05

어쨌든 걔가 돌려줄 거 아닙니까

play40:07

돌려주는 그 에너지로 얘는 앞으로 또

play40:09

나가는 겁니다 그렇게 평형을 이루는

play40:10

거죠

play40:13

아이 무한동력 아니고 무한동력 거의

play40:16

무한동력 아니지 이거 외부에서

play40:17

에너지가 오잖아요 태양풍이는

play40:19

코리올리의 원리를 쓰면 모든게 다

play40:22

코리 원리로 끝나는 건 아니에요

play40:24

궁금하네 진짜 뭐 운동량 보정 법칙

play40:26

던 거 생각하면 태양풍이 운동량을

play40:28

전달하면 얘가 이쪽 방향의 운동량을

play40:30

만들어 낼 수 없는데 태양풍이 전달한

play40:33

그 에너지를 이용을 해서 다시 동력을

play40:35

만들어 내고 그걸 갖고 거꾸로 동력을

play40:38

돌려서 이쪽 방향에 힘을 만들어 낸다

play40:40

일부는 도움이 될 텐데 밀려나는 걸

play40:42

막을 수 없겠네요 어쨌든 인풋

play40:44

아웃풋은 차이가 나 것이기 때문에

play40:46

어쨌든 밀려 놔요 그렇게 해도 바람

play40:48

개비를 안 돌리는 것보다는 조금

play40:49

도움이 될 수 있겠지만 재생 에너지를

play40:51

올리는게 경제적인 방법이 아닐까요

play40:53

그렇게 하기 전에 우리가 그 로켓을

play40:56

쏴서 할 정도의 경제적인 예산을

play40:58

우리가 투입하면 사실은 얼마든지 더

play41:00

나은 방법으로이 문제를 해결할 수

play41:02

있어서 거기까지 안 가고이 안에서

play41:04

해결하는게 맞는 거죠 근할 거면 굳

play41:07

아 차라리 우리가 에너지 덜 쓰고

play41:09

우리가 좀 더

play41:10

반성하겠습니다 자 여튼 이대한

play41:12

교수님과 함께 오늘 좀 생물 관련된

play41:14

이야기 궁금증을 좀 많이 해소해

play41:16

봤습니다 자 오늘 과학을 보다

play41:19

재밌게들 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오늘은

play41:20

여기서 저 인사 드리고요 다음 시간에

play41:22

또 재밌는 과학 이야기 계속해서

play41:24

전해드리겠습니다 함께 주신 여러분

play41:25

고맙습니다 네

play41:41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