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천조국, 전세사기의 나라가 된 이유

채부심 - 채상욱의 부동산 심부름센터
1 Mar 202421:08

Summary

TLDRThe video discusses the ongoing aftermath and potential impact of the jeonse fraud scandal in South Korea's real estate market. It criticizes government policies that encouraged excessive jeonse loans, overheated the market, and enabled fraud by lightly regulating non-apartment lessors. The summary emphasizes that billions in losses are still unfolding, with victims protesting and the government largely ignoring the issue despite its scale. It advocates stabilizing the rental market to stabilize housing prices, noting trends like apartments preferred for jeonse while non-apartments see jeonse fall out of favor.

Takeaways

  • 😱 The rental fraud scandal in Korea is currently causing over 170 trillion won in problems, raising significant concerns about financial stability.
  • 📝 Several channels, including the speaker's, have been covering rental fraud issues, highlighting the lack of attention from the political realm, especially with elections approaching.
  • 🚨 The scale of financial scandals related to rental fraud in Korea is unprecedented, with annual damages exceeding 4 trillion won, which is nearly unheard of in the country's financial scandal history.
  • 🙋‍♂‍ The public's response and concern towards rental fraud and its aftermath seem insufficient, despite its potential to exceed damages of 10 trillion won in the future.
  • 💰 A personal story is shared about a man who failed the rental loan screening and had to opt for a more expensive leasehold, illustrating the practical impact of the crisis on individuals.
  • 📊 Rental markets, particularly non-apartment sectors, are experiencing a shift from leaseholds to monthly rentals, indicating a change in housing preferences due to rental fraud incidents.
  • 🛠 The government's response to the rental fraud crisis, particularly in terms of loan regulations, is critiqued for potentially misdirecting focus away from the real causes and responsible parties.
  • 🔴 Recent protests in Busan by victims of rental fraud highlight the ongoing social unrest and demand for accountability from housing guarantee institutions.
  • 📚 Historical context is provided on the growth of the rental loan market in Korea, tracing back to policies initiated during the MB and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 📈 The script criticizes the government and housing authorities for their handling of the rental fraud issue, suggesting a lack of effective policy and oversight that has allowed the crisis to escalate.

Q & A

  • What is the scale of the lease fraud issue mentioned?

    -The lease fraud issue is mentioned to be causing problems exceeding 170 trillion won.

  • Why is there concern over the silence around the lease fraud scandal?

    -The concern arises because the scale of the lease fraud scandal is significant, yet there seems to be minimal public and political attention or action regarding the matter.

  • What is the impact of failing the lease loan evaluation as mentioned?

    -Failing the lease loan evaluation forces individuals to opt for rent instead of lease, leading to financial strain as highlighted by the case of a person who had to settle for a monthly rent, significantly impacting their budget.

  • How has the preference between lease and rent changed in the non-apartment housing market?

    -There has been a shift towards renting over leasing in the non-apartment sector, due to numerous lease fraud incidents, making leases less preferred.

  • What regulatory changes were made in response to the lease fraud issues?

    -Regulatory changes include tightening lease loan evaluations and making insurance enrollment mandatory for landlords, aiming to protect tenants but inadvertently placing a burden on them.

  • How did the government's past policies contribute to the increase in lease loans and related fraud?

    -Past policies, such as those during the MB and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expanded the lease loan market by increasing loan limits, which contributed to an environment where lease fraud could proliferate.

  • What was the purpose of the lease money safe loan and insurance?

    -The lease money safe loan and insurance were designed to mitigate the risks associated with lease deposits, ensuring tenants could recover their deposits in case of fraud or default by the landlord.

  • How did the lease market's dynamics shift in terms of lease versus rent proportions in different housing types?

    -The proportion of rentals increased in non-apartment housing types, indicating a market shift towards rent due to the instability in the lease market caused by fraud.

  • What are the criticisms of the current handling of the lease fraud issue?

    -Criticisms include the lack of accountability and action from those responsible for managing and regulating the lease market, as well as the misdirection of regulatory efforts that burden tenants instead of addressing the root causes of fraud.

  • What suggestions are made for addressing the lease fraud and housing market issues?

    -Suggestions include re-evaluating and adjusting policies to focus on stabilizing the lease market, ensuring tenant protection, and holding landlords and regulatory bodies accountable for lease fraud.

Outlines

00:00

😊 Issues with jeonse scandals exceeding 170 trillion won

The paragraph discusses the ongoing jeonse scandals in Korea, where over 170 trillion won worth of issues have arisen due to people not being able to pay back jeonse deposits. It criticizes that those responsible for the scandals should be punished, yet there is little attention and coverage over this huge financial issue that impacts many people.

05:00

😠 Punishing borrowers instead of landlords causing issues

The paragraph argues that the government's approach to tightening jeonse lending policies unfairly punishes borrowers rather than landlords/investors who are actually defaulting and causing the jeonse deposit return issues. It traces back the expansion of the jeonse lending market to policies under former presidents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that increased jeonse loan amounts.

10:02

😡 150% LTV rule causing artificial pumping of jeonse prices

The paragraph explains how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150% LTV rule for jeonse deposits on newly built houses led to artificial pumping up of jeonse prices, causing financial troubles. It allowed unrealistically high jeonse prices on new builds up to 150% of the officially appraised value. This caused problems when prices crashed later.

15:03

😤 Failure to address root causes behind recurring issues

The paragraph criticizes how the repeated failure to address the root causes behind issues like jeonse scandals allows the same problems to continue recurring. In this case, the jeonse market kept expanding under policies still aimed at promoting real estate investment firms renting out houses, despite previous overheating.

20:04

😌 Closing remarks on need for policies to stabilize jeonse market

The closing paragraph emphasizes the need for policies aimed at stabilizing the overall jeonse rental housing market, in order to also stabilize housing sales prices. It notes current rising jeonse prices especially for apartments show underlying instability. But expresses disappointment there is lack of appropriate policies now to address this.

Mindmap

Keywords

💡jeonse

Jeonse refers to a unique Korean system for renting apartments where the tenant provides an interest-free deposit, called key money, instead of paying monthly rent. It is a major concept in the video as the narrator discusses issues and scandals related to jeonse.

💡jeonse fraud

Jeonse fraud refers to cases where landlords fail to return the jeonse deposit to tenants. This is a main issue highlighted in the video, with over 170 trillion won worth of damages.

💡jeonse loans

Jeonse loans are loans that tenants can take from banks to afford the large jeonse deposits. The video discusses how government policies encouraging larger jeonse loans contributed to the market overheating and higher fraud cases.

💡apartment vs non-apartment

The video contrasts issues in the jeonse market between apartments versus non-apartments like officetels and villas. It states that jeonse is becoming less favored for non-apartments after the fraud scandals.

💡jeonse insurance

Jeonse insurance refers to guarantee insurance that tenants can purchase to cover jeonse deposit repayment in case of fraud. The video criticizes government incentives that encouraged potentially excessive insurance coverage.

💡housing market

The housing market is discussed in the video as being impacted by issues in the jeonse rental market. For example, apartment jeonse prices rising while non-apartment jeonse is shunned.

💡housing policies

The government's housing policies are criticized in the video for encouraging larger jeonse loans, and incentives that contributed to excessive jeonse pricing and insurance coverage leading to higher fraud cases.

💡housing business owners

Housing business owners who rent multiple properties are mentioned as a root cause of jeonse fraud cases when they fail to return deposits after overleveraging.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central government ministry overseeing housing policies is criticized for defending problematic housing business owners and creating incentives that exacerbated the jeonse crisis.

💡Korea Housing and Urban Guarantee Corporation

This state-owned company providing jeonse deposit guarantees is criticized for its policies that enabled excessive jeonse pricing, leading to high insurance pay outs after fraud cases.

Highlights

The ongoing issue with the lease fraud, escalating to over 170 trillion won in problems and scandals, demands accountability from those responsible.

Despite the severity of the lease scam aftermath, it remains underreported and not a significant issue in political discussions, especially with elections approaching.

The scale of financial scandals related to lease fraud in Korea is unprecedented, with annual damages exceeding 4 trillion won.

A case study highlights the challenges faced by individuals failing lease loan evaluations, forcing them into less favorable renting conditions.

The transition from lease to monthly rent in non-apartment housing is becoming more common, reflecting a shift in market preferences due to frequent lease frauds.

The tightening of lease loan regulations for non-apartment residences places undue burden on lessees, who are not the perpetrators of lease frauds.

Recent protests in Busan by victims of lease fraud underscore the urgent need for policy and protective measures.

Historical policy changes have inadvertently inflated the lease market, contributing to the current crisis.

The lease safety loan system, intended to mitigate risks, has become a double-edged sword, exacerbating the situation for many.

The shift towards monthly rentals in non-apartment sectors is a direct consequence of the lease market's instability.

The government's approach to lease loans, focusing more on restricting borrowers than on addressing the root causes of lease fraud, is criticized.

The misuse of a policy allowing lease guarantees up to 150% of a property's official value has facilitated fraudulent activities.

The surge in lease fraud incidents is partly due to the flawed implementation of lease guarantee policies.

The narrative underscores the need for a balanced and fair approach to resolving the lease market crisis, prioritizing genuine victims.

The discussion concludes with a call for more effective and equitable housing policies that truly serve the interests of the general public.

Transcripts

play00:00

그래서 전세 사고는 지금이 순간에도

play00:01

170조 이상 문제가 나고 있고 이런

play00:04

히데이에 스캔들이 생기고 있는데 왜

play00:06

조용한 거야 저는 진짜 이거에 대해

play00:08

가지고는 담당했던 사람들은 정말 진짜

play00:11

다 어떤 문책 받아야 된다고

play00:12

개인적으로 생각을

play00:14

[음악]

play00:18

[박수]

play00:18

[음악]

play00:20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상의 부동산

play00:23

신부름 센터 센터장 최상입니다 어

play00:25

19만 구독자를 자랑하는 채널입니다

play00:28

근데 오늘은 저희 이런 유쾌한 시작과

play00:30

다르게 전달해 드리고 싶은 그런 뉴스

play00:32

주제는 전 세사의 후폭풍과 관련한

play00:34

그런 내용입니다 그래서 사실은 제

play00:36

채널을 포함해서 일부 채널에서는

play00:38

전세사기 관련한 문제를 지금도 조금

play00:40

다루고 있는데 선거를 앞둔 이런

play00:42

정치권에서는 이게 이슈가 되지 않는게

play00:44

저는 굉장히 의아해서 이런 내용을

play00:46

오늘 조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play00:48

그리고 전 세상이 규모가 사실 거의

play00:50

뭐 과거에 자원 외고 스캔들 이런

play00:52

거보다 훨씬 커요 훨씬 커 가지고

play00:54

지금 이거를 왜 안 다루고 있나

play00:56

의심스러울 정도인데 1년에 뭐 4조원

play00:58

넘는 그런 사고의 이이 나온다는

play01:00

거는이 정도 사고가 나는 그 금융

play01:02

스캔들은 한국에 거의 없다시피 할

play01:04

정도거든요 그리고 사조가 끝이 아니라

play01:06

앞으로 어쩌면은 뭐 10조 이상의

play01:08

그런 사고가 날 수 있는 그런

play01:10

시장인데 정말 관심이 없다는 것만으로

play01:13

안 다루는게 맞나라는 그런 생각과

play01:14

함께 어쨌든 요즘 정말 여러 가지

play01:16

생각이 들고 있습니다 근데 전 세사기

play01:18

후폭풍이 일단은 생각한 거와 다른

play01:21

방향으로 가고 있는데 그런 얘기를

play01:22

먼저 전달을 드리고 그다음에 내용

play01:24

얘기해 볼게요 첫 번째는 중앙

play01:26

선데이가 냈던 기사인데 전세 대출

play01:28

심사를 탈락한 사람의 에 대한 그런

play01:30

내용을 달았습니다 그러니까 전세

play01:31

대출을 받으려고 했는데 전세 대출

play01:33

심사를 탈락했다는 거예요 그래서이

play01:35

사람은 어쩔 수 없이 월세를 갔다

play01:37

이런 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 어떤

play01:39

내용이냐 그은 예비신랑 김모 씨가

play01:41

경기 남양주 빌라에 전세로 신혼집을

play01:43

얻으려고 했는데 그냥 어쩔 수 없이

play01:45

월세집을 계약했다 당초에 2억

play01:47

2천짜리 투룸 전세를 얻고 싶었지만

play01:49

소득 부족으로 대출 심사에 탈락하고

play01:52

전세 보증금 반환보증 가입도 어려울

play01:53

것으로 예상돼서다 결국 월세 보증금

play01:56

3천만 원에 월세 95만 원짜리를

play01:58

구했다 요렇게 되어 있습니다 근데

play02:00

이게 월세 95만 이면은 연애

play02:01

1,200만 원 정도 되잖아요

play02:02

1,200만 원을 5% 나누면 2억

play02:05

4천만 원 되는 건데 전세 보증금

play02:07

3천만 원까지 더하면 전세 한 2억

play02:09

7천 되는 거잖아요 그래서 2억 2천

play02:10

전세랑 2억 7천 정도의 월세는

play02:13

그거는 제가 생각할 때 적절한 비교는

play02:15

아닌 거 같은데 어쨌든 월세를 좀 더

play02:16

높게 쓴 거 같습니다 그래서 김씨는

play02:18

새우 월급이 260만 원인데 절반

play02:20

가량을 월세로 내야 하는 상황에서

play02:22

아이라도 생기면 생활을 어떻게야 될지

play02:23

벌써 또 고민이다 요렇게 이제 했고요

play02:25

사실이 내용은 2022년 23년 한국

play02:28

사회를 충격기 빠뜨린 전세사기

play02:30

후폭풍으로 터 서민 청년층의 주거

play02:32

불안이 심화하고 있다 요런 내용이고

play02:34

빌라 다가구 다세 열 주탁 소위 비

play02:37

아파트라고 할 수 있는요 비아파트

play02:38

쪽에 전세 시장이 붕괴됐다 이렇게

play02:40

얘기를 하고 있거든요 그래서 사실

play02:42

비아파트 쪽은 전세 대출을 되게

play02:44

선호하고 그리고 선호함에 불구하고

play02:47

소득 기준이

play02:48

깜깜해졌다이 전세 출 받지 못하고

play02:50

있고 어쩔 수 없이 월세 살고 있다

play02:52

요런 식으로 기사가 조금 나왔습니다

play02:54

일부는 약간의 MSG 여기 들어가

play02:57

있는 그런 내용이라고 생각이 되지만

play02:58

지금 확실히 이 비아파트 쪽에서

play03:01

어떻게 보면은 전세가 전세 가고

play03:04

싶은게 아니라 전세 비선호 되는게

play03:06

지금 현재 현상인 거 같거든요

play03:07

그러니까 기사는 전세를 너무 막 가고

play03:10

싶었는데 전세를 못 가서 월세에 갔다

play03:11

이렇게 하고 있는데 실제로는 전세가

play03:13

조금 비아파트 쪽에서는 비 선호가

play03:15

되고 있죠 일단은 자료를 보면은

play03:18

2021년 기준으로 다세대 주택이나

play03:20

연립 다가구 있 경우에는 약 40%

play03:23

전세의 월세 비중이었다 지금은 47%

play03:26

올랐고요 그리고 단독 다가구는

play03:28

66에서 거의 한 7 10% 가까울

play03:30

정도로 그 월세 비중이 올라왔거든요

play03:32

그러니까 다세대 연립 단독 다가구

play03:35

이런 비아파트 쪽에서는 월세화 거래가

play03:39

굉장히 올라왔다는 거예요 그리고

play03:40

아파트 같은 경우에는 월세화 거래가

play03:43

좀 더 내려오고 오히려 전세비 중에

play03:44

더 올라갔죠 그니까 아파트는 전세

play03:46

비중이 올라가고 비 아파트는 월세

play03:48

비중이 올라오는게 지난 3년 정도에

play03:50

나타났던 그런 변화인데 이런 변화 왜

play03:53

남았냐 당연히 비아파트 쪽에 전세

play03:56

사고 사건들이 너무 많았기 때문에

play03:58

사람들은 비아파트 쪽 전 세를 이제는

play04:00

좀 깊이하고 보증금을 좀 낮춰서

play04:02

준월세 형태로 가는 경우도 일반적이고

play04:05

그다음에 아니면 아예 순수 월세로

play04:07

가는 경우가 많이 나타나기 시작하는게

play04:08

이런 데이터에서 조금 나오는 거

play04:10

같습니다 그래서 비아파트 쪽 전세는

play04:12

지금은 아간 대출 기관에서 거부하는

play04:14

그런 내용이 담겼지만 어쨌든 지금

play04:16

돌아가는 상황은 요런 거죠 그러다

play04:18

보니까 이게 비아파트 쪽에 전세

play04:20

비선호 반대로 말하면은 아파트는 좀

play04:22

전세를 선호하는 이런거다 보니까

play04:25

요즘에 매매 시세는 굉장히 약세로

play04:26

나오고 있는데 전세 시세는 좀 강세로

play04:29

나오고 있잖아요 그런 것들이 여러

play04:31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첫 번째는

play04:32

뭐 금리적용 부분인데 두 번째는 이런

play04:35

주택 유형에 따른 임차 선호도

play04:37

변화하는게 전세 시세의 영향을 주고

play04:40

있는 거 같습니다 그러니까 아파트

play04:41

전세로 막 가려고 하는 그런 임차

play04:43

시장의 변화가 아파트 전세 가격을

play04:45

조금 자극하는 거 같다 그렇게

play04:47

말씀드리겠습니다 지금 보면은 아파트는

play04:49

전세대출을 완화를 해 주고 있죠

play04:52

그리고 빌라는 전세대출을 강화를 해

play04:54

주고 있고요 근데 우리가 여기서

play04:55

생각해 볼 건 이런 건데요 사실은

play04:57

지금 전세 대출을 강화 한다는 거는

play05:00

결국은 돈을 빌리는 그 차주한테

play05:02

이거를 부담을 주는 거잖아요 근데

play05:04

사실 전세의 사고는 누가 내고 있냐면

play05:07

전세 사고는 그 전세 출 받은 사람이

play05:10

내고 있는게 아니거든요 누가 내고

play05:11

있냐면 전세인 갭 투자한 그 임대인이

play05:13

내고 있는 거잖아요 사실은 우리나라는

play05:16

전세 대출을 규제하겠다는 자꾸 전세

play05:20

대출 빌리는 사람을 규제하려고 생각을

play05:22

하고 있는데 전세 출 빌려서 전세 출

play05:24

안 갚는 사람이 있나요 이런 사고율은

play05:26

0.3% 그러니까 소위 매우 매우

play05:29

미미하고 전세 사고는 실제로는 갭

play05:32

투자했다가 주택 가격 물려 가지고 그

play05:34

전세 보증금 못 돌려주면서 사고 액이

play05:36

나는 거잖아요 그래서 임대인을

play05:38

규제해야 되는데 우리는 방향이 완전

play05:39

반대로 가고 있어 전세 사고가 나니까

play05:41

빌라 다세대 전세대출 깐깐히

play05:43

하겠습니다 왜 임차인이 즉 전세 대출

play05:46

빌려야 되는 사람이 사고도 안 내고

play05:47

있는데 왜 피해를 보냐고요 그러니까

play05:48

한국은 이런 개념이 없어 완전 반대로

play05:50

가고 있어 뭐 하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play05:52

자 봐 볼게요 얼마 전 부산에서 그

play05:54

주택보증 보험 허그 가입 취소된 전

play05:56

세사기 피해자들이 시위를 했습니다

play05:58

뭐냐면은 허그가 가입해 준다 그래

play06:01

가지고 전세 계약을 체결했는데 허그에

play06:03

갑자기 아 우리 가입 안 해 주겠다

play06:05

이러면서 피해를 본 사람들이

play06:07

나왔거든요 그래서 부산에가 가지고

play06:09

주도보 사업 앞에서 열심히 시위를

play06:11

했습니다 이게 불과 일주일도 안

play06:13

됐습니다 이게 5일 전 일이에요 5일

play06:15

전 일이고요 그다음에이 전세 대출에

play06:17

대해서 사실 그 한도를 좀 늘렸던

play06:20

거는 과거였다아요 과거 MB 정부

play06:22

때부터 전세 대출을 좀 늘려주면서

play06:23

애초부터이 전세 대출 시장이 커지고

play06:25

전세 시장이 커지는 그런 과정에서

play06:27

사고율도 늘어난 건데 MB 정부 때

play06:29

2009년 8월이 있죠이 당시 정부

play06:31

정책 발표하면서 은행 전세 대출이

play06:33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향후

play06:35

1년간 한시적 주택금융 공사의 전세

play06:39

대출 보증 한도를 1억에서 2억으로

play06:41

늘리겠다 이렇게 하면서 2009년

play06:43

시적으로 늘렸는데 이게 한시 적으로

play06:45

늘어난게 아니라 영구히 늘어나 갔고

play06:47

그다음에 2014년 정도가 됐을 때

play06:49

박근혜 정부 때 이게 5억까지

play06:51

늘어나면서 완전 완전 연구하게

play06:53

늘어났습니다 그래서 2009년부터

play06:56

2014년까지 두 번에 걸친 전세대출

play06:58

완화와 와 함께 전세 대출이 늘어나기

play07:01

시작을 했고 전세 대출이 늘어나니까

play07:02

자연스럽게 전세 보증금 사고도 늘어날

play07:05

만한 환경이 이제 잉태가 되기 시작을

play07:07

했던 거죠 아 그리고 하나만 더

play07:09

말씀드리면이 현재의 전세금 안심 대출

play07:12

그러니까 전세금 반환 보증 보험 같은

play07:14

거는 이거는 14년부터 논의를

play07:16

했었거든요 박근혜 정부 들어와서 이런

play07:18

걸 논의를 했었는데 저리의 전세자금

play07:20

마련이라 보증금 때일 위험을 한 번에

play07:22

해결했다 이러면서 대한주택 보증

play07:25

주택도시 보증 공사적 주도보 전세금

play07:27

반환 양도하고 임차인이 그니까가

play07:29

을하고 반환 보증하고 그리고 은행은

play07:31

대출해 주고 집주인과 임대차 계약

play07:33

체결하면이 임차인은 집주인과 전세

play07:35

계약 체결했고 보험에 가입했기 때문에

play07:37

뭐 난 문제가 없다 그리고 주택

play07:39

보증에서 은행에 대해서도 협약을

play07:41

체결해 가지고 소비 이걸 보증해 주게

play07:43

되니까 은행도 돈 빌려 주고 나서

play07:45

그게 문제가 될 수 없다는이 시스템

play07:47

메커니즘이 언제부터 만들어졌냐 men

play07:49

14년부터 만들어졌거든요 그 14년에

play07:51

이런 구도가 다 만들어진 다음에

play07:53

대출은 언제부터 늘어났다 사실 대출은

play07:55

보시면은 18 19 20년 문재인

play07:57

정부 때 어마어마하게 늘었어요이 노

play07:59

노란선이 대출인 노란선 보시면은 요게

play08:02

25조 요게 28조 요게 34조

play08:04

든요요 3개년 동안 100조원

play08:06

늘었어요 100조원 늘었고요 다만 그

play08:08

이전에도 이게 5조원대 레벨에서

play08:11

2016년 5조에서 10조로 두 배

play08:13

뛰었고요요 15 16 17년에도 정말

play08:16

가파르게 올라갔어요 그러니까 주택

play08:18

가격 전세보증금 안심 대출 제도를

play08:22

시행하면서 터는 일단 전세금 뗄

play08:24

위험이 없구나라는 그런 생각을 하게

play08:26

되고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전세 대출을

play08:28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그런 환경이

play08:30

됐고 그다음에 아까 2009년 MB

play08:32

정부 때 1억에서 2억으로 늘려

play08:34

줬지만 14년에 2억에서 5억이 됐기

play08:36

때문에 그거를 반영을 하면서 대출

play08:39

그로스가 이제 많이 나오기 시작을 한

play08:40

거죠 그래서 1년에 우리나라는

play08:42

전세대출 5조 빌리는 나라였는데

play08:45

10조 15조 빌리는 나라가 됐다가

play08:47

2018년에는 소위 3040 세대들이

play08:49

전 세기인 갭투자 되게 많이 했다는게

play08:51

그때 통계로 잡히잖아 그러면서 전세

play08:53

유동화를 하면서 투자하는게 잡히면서

play08:55

3년간 100조 늘었고 그리고

play08:57

21년까지 있는데 22년 23년 년은

play08:59

우리가 월관 통계랑 연관 통계를 볼

play09:01

수 있는데 22년 23년에 전세

play09:03

대출이 마이너스로 내려갔습니다 그래서

play09:05

전세도 엄청 천정부지로 오르다가 지금

play09:08

막 역전세 나오고 이렇게 했던 건데

play09:10

어쨌든 이런 과정에서 전세 시장이

play09:12

너무 커지다 보니까 사람들은 좀 쫄기

play09:15

시작했죠이 당시부터 그래서 시장은

play09:17

과거부터 좀 너무 커져서 불안해하면서

play09:20

보증보험 가입을 늘렸습니다 어떻게

play09:22

했냐면 20년과 21년 보면은

play09:25

20년에도 주택도시 보증공사 전세금

play09:27

반환보증 가입이 17 만 건에서

play09:29

23만 건 금액으로는 한해에 37조

play09:32

가입하고 한 해에 21년에 51조

play09:35

가입을 했습니다 그러니까 이게 1년에

play09:38

막 50조 가입을 해 가지고요 현재는

play09:40

어느 정도 가입했 면은 전체 전세

play09:43

시장은 조라 했잖아요 근데이 중에

play09:45

170조 보증 가입을 한 상태입니다

play09:47

그러니까 주도보 지금 보증해 주고

play09:50

있는 전세 보증 규모가 이중에 한

play09:52

170조 대해서 보험을 들어 준

play09:54

상태거든요 그래서 170조 가입한

play09:56

사람들이 사고가 터지면 주도보 다가

play09:59

보험료을 청구하고 있는데 그 사고율이

play10:01

얼마나 된다고요 1.6% 거의 2%

play10:04

육박해 170조 2% 사고가 나게

play10:06

되면은 그게 3조 4천억 이잖아요

play10:09

그래서 이게 지금 엄청난 금액이라고

play10:11

할 수밖에 없는 그런 상태가 되고 있

play10:13

거죠 그리고 중간에 주택 도시 보증

play10:15

공사가 어마어마한 삽질을 한번 푸게

play10:18

되는데 이게 공시 지가의 150%는

play10:21

이런 희한한 제도가 있었어요 22년

play10:23

10월에 이제 왜냐면 22년 10월에

play10:25

국감 때 너무 화도가 돼 가지고 이게

play10:27

나왔는 건데 사실이 제 도 시행은

play10:29

이전에 했습니다 근데이 150%

play10:30

뭐냐면은 우리가 아파트를 가지고

play10:33

얘기를 하면 되게 쉽죠 아파트는 예를

play10:34

들면 5억이 전세가 3억이 그럼 딱

play10:37

60% 아아 아파트 시세는 5억인데

play10:39

공식 가액은 4억이면 한 시세 공식

play10:42

가액은 8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play10:44

겁니다 그러니까 기존 아파트에 거래가

play10:46

있는 건 문제가 없는데 아시겠지만

play10:48

신축빌라 같은 경우에는 매매 거래가가

play10:50

없을 수가 있잖아요 그리고 신축빌라

play10:52

한 체가 아니라 이번에 전세사기

play10:54

사건들 보면은 opsl 한 동

play10:56

opsl 126 채가 있는 한 동

play10:58

전체 체를 어떤 시행사가 시행한

play11:00

다음에 그 특정 동에서 한두 채만

play11:03

자기네가 자전으로 거래한 거죠 주변

play11:06

시세가 한 2억 정도 되는 오피스텔을

play11:08

공급해 놓은 다음에 자기네가 자전으로

play11:11

3억에 거래해 버리는 거예요 3억에

play11:13

거래해 버리는 거고요 그리고 여기에

play11:15

그럼 시세가 3억이 될 수가 있잖아요

play11:17

그 3억 시세가 전세가 2억이 이렇게

play11:19

얘기해 버리는 거죠 아니면 전세가

play11:20

2억 5천이 그러면 전세 2억

play11:22

5천원이라고 생각하고 임대차 계약을

play11:24

체결해서 거기 딱 들어간 사람들은

play11:26

실제 그 주택을 나중에 처분하게 됐을

play11:28

때는이 도 못 받을 그런 오피스텔이

play11:30

그 여기서 전세 사고가 나오거나

play11:32

아니면 진짜 더 사기 감평사 아지 껴

play11:34

가지고 사고 치는 경우는 딱요 신축

play11:36

주택이 있는데 이거에 대한 공식

play11:39

가격을 이제 받게 되잖아요 공식

play11:40

가격을 딱 받으면은 그 공식 가격에

play11:42

150% 아지는 주도보 내가 보증해

play11:45

주겠다 이런 제도를 시행을 한 거예요

play11:47

그러니까 새로 지어진 집에 공식

play11:49

가격의 150% 아니면은 종전 주택의

play11:52

시세는 모르겠지만 그 공식 가격

play11:54

150% 아지 준다고 하니까

play11:55

임차인들은 어 공식 가격이 150%

play11:58

아지 전세 보증금 내가 내가 받을

play11:59

수가 있으니까 주도보 가입하면

play12:00

되겠구나 하고 이제 가입을 하게

play12:02

되는데 여기서 가입을 하신 분들은

play12:05

다행히 주도보 테라도 돈을 받아서

play12:07

임차인은 손해 본 일이 없지만 주도

play12:10

보는 임대인에게 그 돈을 받아야

play12:11

되는데 못 받게 되는 거고요 가입을

play12:13

안 하고 그냥 전세 계약 체결한

play12:15

사람는 전세 사고 사건으로 처리돼

play12:16

가지고 인차 보증 금나 날리게 되는

play12:18

이런 것들이 이제 나오게 되는 건데

play12:20

이게 2천 공시가 150% 제도입니다

play12:22

근데 이거 왜 시행했다면 어

play12:24

2021년에 임대 사업자들에게 그

play12:26

임대 사업자들이 안심 전세 모증

play12:28

보험을 의무 가입하게 하게 되는데요

play12:31

제도를 그렇게 시행을 하게 하고

play12:33

뭐냐면은 의무 가입해야 되니까

play12:35

사람들이 보증보험 가입 문턱을 좀

play12:37

낮춰 주게 되거든요 그러니까 쉽게

play12:39

가입할 수 있게 해 준 겁니다

play12:41

그러니까 이때 문제가 시작이 된

play12:42

거예요 그러니까 공식 가격 기사도

play12:45

보면 이게 21년 8월 기사인데요

play12:47

임대 사업자 보증보험 가입 문턱

play12:49

낮춰서 공식 가격 적용 비율 상향하다

play12:51

시세도 반영하겠다 이렇게 한 거잖아요

play12:53

어떻게 했냐면 국토부는 17일 21년

play12:55

17일 공시가 및 기준시가 적용

play12:57

비율을 개정하고 본격 시험 하겠다

play12:59

등록임대 주택에 대한 임대보증금

play13:01

보증보험 가입을 의무화한 민특법 후속

play13:03

조치다 그래서 민특법 상에서 등록임대

play13:05

사업자 제대로 운영하고 있는데 주택

play13:07

임대 사업자들이 지금 아파트 주택임대

play13:09

사업자는 없어졌지만 비아파트 주택임대

play13:11

사업자는 남아 있잖아요 제가 22일대

play13:14

국회에서 임대 사업자 제도를

play13:16

폐지하자고 어마어마하게 주장을

play13:17

했었는데 제가 주장하는 거를 국토부가

play13:20

전부 디펜스를 했습니다 그러니까 국회

play13:22

어마어마한 그 활동을 해 가지고

play13:24

당시에 20년 4월부터 20년

play13:26

7월까지 특히 20년 710 부동산

play13:28

대책을 보면은 그 720 부동산

play13:30

대책이 만들어질 때 주임사 폐지하자는

play13:34

시장의 주장들이 많이 반영이 돼

play13:35

가지고 주택임대 사업자 폐지하겠다고

play13:37

했었는데 주택임대 사업자는 국토부

play13:40

관할 법령이 있잖아요 민특법 법이다

play13:42

보니까 원래는 다 폐지할 거였는데

play13:44

갑자기 여기서 뭐가 등장하면 아 그때

play13:46

얘기하니까 다시 흥분 되는구만 뭐가

play13:48

등장하면 생활형 임대 사업자라는게

play13:51

등장을 해요 그러니까 민주당

play13:52

국회의원도 똑같아 갑자기 어떤 어떤

play13:54

지자체 경기도 무슨 지자체 국회의원이

play13:57

등장해 가지고 나 지역구 사무실에

play13:59

누가 찾아왔냐은 생활형 주택 임대

play14:01

사업자가 찾아왔다 그래서 생계형 아니

play14:03

생활형 생계형 생계형 주택 임대

play14:06

사업자는 뭡니까 의원님 이렇게

play14:07

얘기했더니 아니 그 있잖아요 뭐

play14:10

은퇴하셨는데 꼬마빌딩 하나밖에

play14:12

없으시고 그러니까 그 꼬마빌딩 한

play14:14

채로 주택 임대 사업자 하시면서

play14:16

임대소득 간간히 올리시는 그런 생계형

play14:19

있잖아요 이렇게 얘기를 하는 거예요

play14:20

제 위원님 그건 생계형 임대 사업주가

play14:22

아니라 그런 거 보통 건물주라는데

play14:24

그래서 건물주가 그러니까 시세기준 막

play14:27

26억 아니면 50 11억짜리 건물

play14:29

갖고 있는 사람을 생계용이라고 부르는

play14:31

사람이 어디 있냐 세상에 그랬더니

play14:32

뭐라고 하냐면은 그분들은 은퇴하셔서

play14:34

다른 소득도 없고 임대 소득 밖에

play14:37

없는데 야이 사람아 그 임대소득이

play14:39

지금 1년에 몇 억씩 나오고 있는데

play14:40

근데 그런 사람들을 생계형 임대

play14:42

사업자라고 해 가지고 아파트 주택

play14:44

임대 사업자는 없애겠습니다 비

play14:46

아파트는 남겨놓자 했던게 20년

play14:48

710 정책이었던 말이에요 그래서

play14:50

그때 제가 비 아파트가 남아 있어야

play14:52

되는 이유가 뭐냐 만약에 풍선 효과가

play14:55

있어서 아파트 주택임대 사업 자제를

play14:57

없애면 비아파트 주임사 제도로

play14:59

어마어마한 풍선 효과가 날 것이다

play15:01

그래서 비아파트 주임사 그 비

play15:03

아파트에 지금 여러분 잘 아시는

play15:05

아파텔 오피스텔 단독 주택 다 하고

play15:07

이게 다 들어가는 거잖아요 그래서

play15:09

이런게 이때 남아 있단 말이에요 전체

play15:11

등록인 사업자 주는 160 단체인가

play15:13

그랬는데 40만 채는 아파트고

play15:15

120만 채가 비 아파트였는데

play15:17

이것까지 없애 버리면은 생계용 주임

play15:19

사자들이 어려워진다 그래서 생계용

play15:21

주임 사자들 인해 가지고 결국 급

play15:23

표가 떨어지면 안 되니까이 비아파트

play15:25

주임사 남겨 놓게 되고요 근데 이걸

play15:27

21년도 이 비아파트 주임사 대해서도

play15:31

좀 관리를 해야겠다고 생각을 해서

play15:32

임대 보증보험을 의무 가입하라고 했고

play15:35

거기 시행을 하면서 어떤 인센티브를

play15:38

줬냐 그은 여기 전세보증금에 대해서는

play15:40

공식 가격 대비 소위이 150%

play15:43

150% 아지 이렇게 보증보험 가입해

play15:46

주는 이런 거를 다 허용해 주겠다고

play15:47

하면서 그러니까 이때 비아파트 주임사

play15:50

남겨 놨는데이 국토부는 비아파트

play15:52

주임사 대해서 인센티브를 주게 돼

play15:54

이게 21년도 일이었어요 자 그렇게

play15:56

하니까 그러니까 결국은 여기서 이런

play15:58

건데요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어떤

play16:00

제도라는게 큰 원칙에서 합의가 안

play16:02

이루어지는 과정은 거의 없어요

play16:04

그러니까 뭐냐면은 큰 원리 원칙은

play16:06

서로 악유 날게 없어 잘해보자 이런

play16:09

거지 않습니까 근데 어떻게 하자

play16:11

결국에는 세부 핵심 사항에서 이런

play16:13

문제가 나는 건데요 그 당시에

play16:15

그러니까 주택 시장에 대해서도 임대

play16:17

사업자들이 전세낀

play16:20

갭매장 추진하면서 그게 너무 과잉이

play16:23

돼 가지고 소형 주택의 주택 가격에

play16:25

과도한 상승이 나왔고 그로 인해서

play16:28

주택 대 사업자 제도의 원래 법안

play16:30

목적은 임차 시장

play16:33

안정이었다 불안으로 연결되게 되는 그

play16:35

수단을 만들어 버렸기 때문에 14년에

play16:37

기획하고 15년부터 시행이 됐는데

play16:40

20년에 폐지가 된 거잖아요 근데

play16:42

국토부는 다 폐지하는게 아니라 1분은

play16:44

남겨놔 가지고 여기 시장이라도

play16:46

육성시켜 보겠다고 하면서 국토부

play16:48

자기네 법이니까 영향력 계속 행사하고

play16:50

싶으니까이 법을 죽일 수가 없어

play16:51

가지고 다 죽이자는 얘기에 대해서

play16:54

엄청나게 디펜스 하고 갑자기 여러 뭐

play16:57

민주당 의원들 다 데리고 와가지고

play16:58

그고 생계형 주택임대 사업자라는 정말

play17:00

희한한 그걸 만들어 가지고 그들

play17:03

때문에 없애면 안 된다 이렇게

play17:04

해가지고 이거에 대해서 인센티브 주기

play17:07

시작하니까 결국 이게 어떻게 된 거죠

play17:08

이게 결국 한 해 두 해 지나니까

play17:11

과도한 전세가 상승이라 그가 공시

play17:13

지가에 150%만큼 전세 시대가

play17:15

강제로 세팅돼 가지고 전세가 펌핑 돼

play17:18

버렸고이 가격에 임대차 계약 체결해

play17:20

가지고 이걸로 전세 보증 범 가입해

play17:22

버리니까 소비 시세 이상의 전세로

play17:25

가입한 상태로 사람들은 쫄리니까 전세

play17:28

보증보험 가입한 거죠 그러니까

play17:30

임차인들은 다행히 그 돈 일부 돌려

play17:31

받았겠지만 주택 도시 보증 공사는

play17:33

보증보험 제공했으니 그 돈이 얼마

play17:36

털린 거예요 작년에 이것만 4조

play17:38

3천억 그 사고력이 났다는 거잖아요

play17:40

앞으로는 안 나냐 앞으로 계속 나겠죠

play17:42

그래서이 150% 문제가 되니까 그

play17:44

원인 국토부 장관 때 140으로

play17:46

낮췄다가 다시 또 126% Pro

play17:48

낮췄다가 되게 그 책상머리 정책들을

play17:51

하고 있습니다 애초에 이런 형태의

play17:52

정책들을 쓰면 안 되는데 여전히 이런

play17:55

걸 하고 있어요 이제는 반강제적으로

play17:57

지들이 전세 대란 만들고 고 있습니다

play17:59

전세 시세 150에 맞췄다가 140에

play18:00

맞췄다가 126으로 맞추니까 역

play18:02

전세가 자동으로 생겨 가지고 이거에

play18:04

대해서 가입했던 사람들은 그래도

play18:06

보증보 받았는데 가인 못 한 사람들은

play18:08

임차인들은 그냥 다 털리고 있는

play18:10

거잖아요 전세 사고 사건들이이 주도

play18:12

보호의 잘못된 정책으로 인해서 나오게

play18:15

된 건데 그러니까 국토부와 주도보

play18:16

콜라보로 나오게 된 건데 그거에

play18:19

대해서 지금 막 당장 그냥 뒤다 뒤

play18:21

파도 지금 시원 차을 마당에 아무도

play18:23

관심을 안 가지고 있다 그러니까 이게

play18:25

돌아버리겠는 거죠 그래서 전세 사고와

play18:27

관련해서 는

play18:29

2020년에 그러니까 중간에 주택

play18:31

임대 사업자 제도가 돌연변이가 되는

play18:33

과정에서 이런 문제가 많이 발생한

play18:35

거거든요 그러니까 물론 물론

play18:36

생계형으로 임대 사업하는 사람들도

play18:39

계시겠죠 그러니까는 정말 건물세 갖고

play18:41

있는게 아니라 뭐 한 호 두 호를

play18:43

임차하면서 임차 소득을 올리는 생계

play18:45

형도 계신데이 분들이 없다는게 아니라

play18:47

근데 꼭 그 모자이크 이론처럼 뭘

play18:49

폐지해야 되면은 갑자기 희한한 어떤

play18:51

개념을 만들어 와 가지고 아니 건물

play18:53

한채 30억짜리 갖고 있으면서 19채

play18:55

임차하고 이런 사람이 어떻게 생겨용이

play18:57

사람 건물 주지 그래서 그래서 저는

play18:59

그냥 어 서민의 타를 쓰고 서민이라고

play19:01

얘기를 하면서 사실 굉장한 재벌

play19:03

본인은 더 재벌이 그런 25억짜리

play19:05

30억짜리 있는게 서민으로 보였겠죠

play19:07

그지만 실제 우리나라 가게 자산의

play19:10

60% n 순자산 3억원 이하 아아

play19:13

이런 거를 전혀 반영하지 못한 이런

play19:15

제도를 쓴 거에 대해서 그리고 비주택

play19:17

임대 사업자를 살려 놓다 하더라도

play19:19

150% 룰이라는 희한한 룰은 절대

play19:21

썼으면 안 되는데 이걸 누가 했는지

play19:23

모르겠지만 주도보 만들어 낸 거잖아요

play19:25

그래서 이런 것들을 사실 규명하고

play19:27

따지고 뭐 이렇게 하지 지금 나 뭘

play19:29

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래 전세

play19:31

사고는 지금이 순간에도 170조 이상

play19:34

문제가 나고 있고 그래서 허그에 가입

play19:37

팬신 분들 중에서 전세보증금 받은

play19:40

분들은 그래도 다행이지만 허그

play19:41

손실이고 그다음에 가입할 줄 알고

play19:44

들어갔다가 허그가 중간에 안 받아

play19:46

주면서 순수하게 손실 보신 분들은

play19:48

지금 시위하고 있고 그리고 허그

play19:50

손실도 사실 결국 다 우리 돈

play19:51

손실이고 이게 4주만 넘어가는데 이런

play19:53

히데의 금융 스캔들이 생기고 있는데

play19:55

왜 조용한 거야 그래서 저는 진짜

play19:58

진짜 이거에 대해 가지고는 담당했던

play20:00

이런 그 사람들은 정말 진짜 다 어떤

play20:02

문책 받아야 된다고 개인적으로 생각을

play20:04

합니다 어쨌든 오늘 전세와 관련해

play20:06

가지고는이 정도로 내용 전달해

play20:07

드리겠고이 얘기를 하면 할 때마다

play20:09

제가 막 좀 흥분 되는데 소위 서민을

play20:12

위한답시고 준재벌 갖고 오면서 서민

play20:16

코스프레하고 이런 거는 정말 하지

play20:17

말아야 될 거 같고요 그냥 진짜 진짜

play20:19

서민을 위한 주거 정책은 전세시장

play20:21

안정화 든요 임차 시장이 안정화

play20:23

돼야지 매매 시장이 안정될 거 아니야

play20:25

근데 임차 시장 안정화 정책을 써야

play20:27

되는데 전세 가격이 지금 슬금슬금

play20:29

다시 올라가고 있는 그런 국면에서

play20:31

비아파트 쪽 전세 비선호 아파트 전세

play20:34

선호로 아파트 전세가가 올라가고 있는

play20:35

요런 와중에서 결국 전세가가

play20:38

불안하다는 거는 매매가 불안을

play20:40

내포하고 있다는 거잖아요 그래서 지금

play20:42

시장을 어느 정도 안정화시키기

play20:44

위해서는 적합한 대책들이 나와야 될

play20:46

거 같은데 지금은 전혀 이런게 나오고

play20:47

있지 않아서 아쉽습니다 그러니까이

play20:49

당이든 저 당이든 결국 똑같다는

play20:51

겁니다 안타깝네요 오늘은요 정도로

play20:53

마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좋은 내용

play20:54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play20:57

감사합니다

play21:07

n

Rate This

5.0 / 5 (0 votes)

您是否需要英文摘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