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상반기 최신사회이슈📰💸 by 옴스잡스 (ft. 삼성그룹, 포스코, 면접대비 완전가능😎👍)

옴스잡스
11 Mar 202428:20

Summary

TLDRThis video by OMS Jobs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latest societal and economic issues of 2024, focusing on AI's growing influence, the risks associated with AI technology, and the challenges facing the Korean semiconductor industry. It also covers the electric vehicle market slowdown, Korea's stock and financial market regression, and the increasing regulatory hurdles in the country. The video emphasizes the need for critical thinking about AI, adaptation to the semiconductor crisis, and strategic responses to China's market pressure. Additionally, it highlights Korea's aging population and declining birth rates as significant future challenges.

Takeaways

  • 😀 AI is becoming ubiquitous, with the rise of generative AI and significant advances in AI technology by major tech companies like NVIDIA, Microsoft, Google, and Meta.
  • 😃 NVIDIA's dominance in the AI market is notable, with a market share approaching 80% and impressive financial performance, driven by their comprehensive ecosystem including GPUs, software, and AI frameworks.
  • 😊 The spread of AI technology brings significant risks, such as deepfake scams and misinformation, leading to discussions about the need for AI regulation to mitigate potential harms.
  • 😆 The semiconductor industry in Korea faces challenges, with fluctuating memory markets and competition from companies like TSMC and Micron threatening their market share and profitability.
  • 😅 The electric vehicle (EV) market is experiencing a slowdown, with hybrid vehicles like those from Toyota gaining traction over fully electric models due to various practical concerns.
  • 😉 China's rapid advancements in technology and market presence pose a threat to Korean industries, with significant impacts seen in sectors like semiconductors, electric vehicles, and consumer electronics.
  • 😊 The aging population and declining birth rates in Korea are leading to economic and social challenges, with increasing financial burdens on future generations and a shrinking labor force.
  • 😁 Korea's financial market struggles with outdated regulations and high inheritance taxes, driving wealth and businesses abroad, and impeding economic growth.
  • 😃 The issue of technology leakage is critical, with significant incidents of industrial espionage affecting Korea's high-tech industries, highlighting the need for stricter penalties and better safeguards.
  • 🙂 Korea's heavy regulatory environment hampers innovation and competitiveness, particularly in fast-moving industries like bio-healthcare and advanced technology sectors, necessitating urgent reform.

Q & A

  • What is the main theme discussed in the first section of the script?

    -The main theme discussed in the first section is the proliferation of AI across various sectors and its impact,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dominance of big tech companies like NVIDIA in the AI market.

  • How has NVIDIA positioned itself in the AI market according to the script?

    -NVIDIA has positioned itself as a leader in the AI market by leveraging high-performance GPUs and comprehensive platforms, including CUDA, server platforms, software, and AI development frameworks. It holds approximately 80% market share and achieved a 66.7% operating profit margin in Q4 last year.

  • What risks associated with AI technology are highlighted in the script?

    -The script highlights risks such as the misuse of AI for creating deepfake voices and images, leading to issues like voice phishing and spreading false information. Additionally, it mentions the regulatory measures being considered to mitigate these risks.

  • What are the challenges faced by the Korean semiconductor industry as discussed in the script?

    -The Korean semiconductor industry faces challenges such as high volatility in memory markets, difficulty in expanding foundry market share, and intense competition from companies like TSMC and Micron, which have advanced in AI-related memory solutions.

  • What impact has the shift to electric and hybrid vehicles had on the automotive market according to the script?

    -The shift has caused a deceleration in electric vehicle sales and a strategic focus on hybrid vehicles by companies like Toyota. Issues like high costs, charging infrastructure challenges, and changing regulatory timelines have also affected the market.

  • How is the aging population and low birth rate impacting South Korea's economy?

    -The aging population and low birth rate are causing significant economic challenges, including a shrinking labor force, increased fiscal burdens from pensions and healthcare, and potential long-term economic stagnation.

  • What regulatory challenges are highlighted in the script regarding technological innovation in South Korea?

    -The script highlights the slow patent approval process in South Korea, which hinders technological innovation, especially in fast-moving sectors like bio-healthcare. Comparatively, other countries provide faster approvals, supporting quicker technological advancements.

  • What is the 'China risk' mentioned in the script, and how is it affecting South Korean businesses?

    -'China risk' refers to the decreased dependency on Chinese markets due to economic slowdowns and structural changes in China. South Korean businesses, particularly those highly reliant on Chinese exports, are facing challenges in finding new markets and maintaining growth.

  • How has the global competition in semiconductor and electric vehicle industries intensified according to the script?

    -Global competition has intensified with companies like TSMC and Chinese manufacturers advancing rapidly in semiconductor technologies and electric vehicles, respectively. This competition threatens South Korean companies' market shares and technological leadership.

  • What steps are suggested to mitigate the economic challenges faced by South Korea due to demographic changes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The script suggests structural reforms to boost birth rates, policies to enhance corporate investment incentives, and swift regulatory changes to support technological innovation as steps to mitigate economic challenges caused by demographic shifts and rapid technological advancements.

Outlines

00:00

🔍 AI Everywhere and Big Tech Dominance

The first paragraph discusses the pervasive influence of AI across various sectors. It highlights NVIDIA's dominance in the AI market with its high-performance GPUs, capturing 80% of the market share and achieving a remarkable 66.7% operating profit margin in the last quarter of 2023. The narrative explains how NVIDIA's integrated ecosystem of GPUs, server platforms, software, and AI development tools increases dependency on its products. Additionally, major tech companies like Microsoft, Google, and Meta are expanding their cloud and AI services, rapidly capturing the B2B and B2C markets.

05:02

⚠️ AI Risks and Regulatory Responses

This paragraph covers the risks associated with AI technology, such as identity theft and misinformation through deepfakes. It mentions Microsoft's AI tool 'Sora' that generates realistic videos from text descriptions, raising concerns about potential misuse. The EU is introducing stringent regulations, including transparency obligations and hefty fines for violations, to mitigate these risks. The paragraph also discusses the potential negative impact of AI on young people's attention spans, memory, and literacy skills, urging a critical evaluation of AI's societal implications.

10:02

📉 South Korean Semiconductor Crisis

The third paragraph outlines the challenges faced by South Korea's semiconductor industry. It highlights TSMC's increasing market share and competitive edge over Samsung and SK Hynix. Despite SK Hynix's partnership with NVIDIA and leading market share in HBM solutions, competition from Micron and other global players is intense. The narrative also points to TSMC's strategic expansions in Japan and potential threats posed by US policies favoring domestic semiconductor manufacturing.

15:04

🚗 Electric Vehicle Market Challenges

This section discusses the slowdown in electric vehicle (EV) sales and the strategic shift towards hybrid vehicles. Toyota's strong sales of hybrid cars in the US, surpassing Tesla's EV sales, highlight the market's preference for hybrid technology. The paragraph also addresses the infrastructure challenges and consumer concerns slowing down EV adoption. Additionally, it mentions geopolitical factors, such as potential policy changes under a new US administration, which could impact the EV market.

20:04

📊 South Korea's Financial Market and Aging Population

This paragraph examines the underperformance of South Korea's financial market compared to global indices like Japan's Nikkei and the US Nasdaq. It discusses the need for regulatory reforms and improved shareholder return policies to attract investments. The narrative also addresses South Korea's demographic challenges, including a rapidly aging population and low birth rates, which pose significant economic risks. The country's shrinking labor force and increasing welfare costs are major concerns for its future economic stability.

25:05

🏭 China-Korea Trade Dynamics and Risks

The final paragraph focuses on the economic and trad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t highlights the declining Chinese interest in Korean products and the significant trade deficit with China. The paragraph also discusses the impact of China's economic slowdown and industrial restructuring on South Korean exports. Additionally, it addresses the competitive threats from Chinese industries, including electric vehicles and consumer electronics, which are rapidly gaining market share globally.

Mindmap

Keywords

💡AI Everywhere

AI Everywhere refers to the pervasive integ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cross various sectors. The video discusses how AI technologies are dominating the market, with companies like NVIDIA leading the way with high-performance GPUs. AI's impact spans from server platforms to software development frameworks, highlighting its ubiquitous presence.

💡Big Tech

Big Tech refers to the major technology companies that dominate the industry, such as Microsoft, Google, and Meta. The video emphasizes how these companies are rapidly expanding their influence by integrating AI into cloud services and collaboration tools, thereby reshaping both B2B and B2C markets.

💡AI Risks

AI Risks encompass the potential dangers and ethical concerns associated with AI technology. The video highlights issues like identity theft through voice and facial copying, as well as the spread of false information. It also mentions regulatory measures being considered to mitigate these risks, such as those proposed by the EU and the US.

💡HBM Solutions

HBM Solutions refer to High Bandwidth Memory technologies crucial for AI applications. The video discusses how companies like SK Hynix are leveraging HBM to stay competitive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despite intense competition from companies like Micron.

💡Semiconductor Industry

The Semiconductor Industry is a critical sector discussed in the video, focusing on the challenges faced by Korean companies like Samsung and SK Hynix. The video outlines the competition with TSMC and the strategic importance of maintaining technological and market leadership in memory and foundry services.

💡Electric Vehicles (EVs)

Electric Vehicles (EVs) are highlighted as a growing but currently struggling market. The video examines the slowdown in EV sales and the strategic shift by companies like Toyota and Hyundai towards hybrid models, reflecting the challenges in infrastructure and consumer adoption.

💡Financial Market Issues

Financial Market Issues in Korea, including the underperformance of its stock market and the structural problems in its financial sector, are discussed. The video contrasts this with the resurgence of Japan's Nikkei index and the robust performance of the US Nasdaq, underscoring the need for regulatory and policy reforms in Korea.

💡China Dependency

China Dependency refers to the heavy reliance of Korean industries on the Chinese market. The video points out the declining revenue from Chinese tourists and exports, urging Korean companies to diversify and reduce their exposure to China's economic fluctuations.

💡Regulatory Hurdles

Regulatory Hurdles in Korea are mentioned as significant barriers to innovation and competitiveness. The video discusses the lengthy processes for obtaining patents and approvals, especially in high-tech sectors like battery technology and healthcare, which hinder the growth of Korean companies.

💡Aging Population

Aging Population is a critical issue in Korea, with significant economic and social implications. The video highlights the low birth rate and increasing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which are expected to strain public finances and labor markets, necessitating urgent policy responses.

Highlights

The rise of AI and its integration into various sectors, termed 'AI Everywhere.'

NVIDIA's dominance in the AI market, with an 80% market share and significant growth in stock value since 2015.

The strategic advantage of NVIDIA's CUDA platform, which creates dependencies for startups and enterprises.

The rapid expansion of global tech giants like Microsoft, Google, and Meta into AI and cloud services.

The increasing sophistication of AI models and their integration into services like Microsoft Teams and Copilot.

The potential risks associated with AI, including the misuse of technology for voice phishing and false advertising.

The implementation of strict AI regulations in the EU to address the risks associated with AI technologies.

The challenges faced by the Korean semiconductor industry, including competition from TSMC and Micron.

The importance of high-bandwidth memory (HBM) solutions and the competition between SK Hynix, Samsung, and Micron.

TSMC's expansion in Japan and the potential impact on the Korean semiconductor industry.

The rapid growth of the electric vehicle (EV) market and the challenges in the transition to sustainable transportation.

The shift in strategy by major automakers like Toyota and Hyundai towards hybrid vehicles.

The declining sales of Chinese tourism and the impact on Korea's duty-free market.

The rising risk of China's economic slowdown and its potential global implications.

The competitive pressure from Chinese industries on Korean markets, particularly in electric vehicles and batteries.

The critical issue of low birth rates and aging population in Korea, and its economic implications.

The significant decrease in Korea's tax revenue in 2023 due to corporate earnings decline and real estate market contraction.

The slow process of patent approvals in Korea compared to other countries, impacting technological advancements.

The increasing trend of wealthy Koreans relocating to Singapore for favorable tax conditions.

The serious issue of technology leaks from Korean companies to foreign competitors, particularly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Transcripts

play00:00

안녕하세요 옴스 2024년도 취업

play00:02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한 최신 사회

play00:04

이슈 24년도 상반 2편 준비해

play00:06

왔습니다 우선은 작년도에 제가 이미

play00:09

다뤘던 이슈들에 대한 부분은 좀 적게

play00:11

다루려고 노력을 했습니다 작년도에

play00:12

올렸던 최신 사회 이슈 상반기 하반기

play00:15

편 같이 참고하셔 가지고 이슈

play00:17

선정하셔서 전혀 무리가 없을 것으로

play00:19

보입니다 첫 번째부터 보도록

play00:20

하겠습니다 AI 에브리웨어고 좀

play00:22

제목을 붙였고요 두 가지 측면에서 좀

play00:24

나눠서 살펴볼 겁니다 첫 번째 빅테크

play00:27

시대의 도래 좀 얘기해 보고 싶습니다

play00:29

생성형 AI 시대가 도래한 건 누구나

play00:30

알고 있는 사실이고요 그 세부적인

play00:32

트렌드를 우리가 한 번 더 들여다볼

play00:33

필요가 있습니다 엔비디아 고성능

play00:35

GPU 앞세워서 AI 시장을 좀

play00:37

장악하고 있고요 시장 점유율은 80%

play00:40

육박하고 있습니다 작년도 4분기 영업

play00:42

이익률은 66.7%는 정말 경악스러운

play00:45

영업 이익률 달성한 바 있고요

play00:46

2015년 대비 현재 주가는 약

play00:48

1980 상승했습니다 시가 총액이

play00:51

2조원을 돌파했는데이 특히나 앞으로도

play00:53

AI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play00:54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고성장이

play00:56

계속해서 이어질 거라고 좀 볼 수

play00:58

있을 것 같은데요 사실 더 무 무서운

play01:00

부분이 있다면 쿠다라 플랫폼을

play01:01

앞세워서 GPU 팔고 끝이 아니라

play01:04

서버 플랫폼 소프트웨어 그리고 AI

play01:07

개발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도구까지

play01:08

한꺼번에 좀 제공함으로써 스타트업과이

play01:11

패리스의이 종속성 의존도를 계속해서

play01:14

빠르게 높여 나가고 있다라는 것이

play01:15

사실 더 무서운 부분이라고 좀 할

play01:17

수가 있겠습니다이 한번 구축된

play01:19

생태계를 빠져 나가는 것 자체가 매우

play01:21

힘들다라고 볼 수가 있고요 그만큼이

play01:23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선제적으로

play01:24

선점한이 회사가 앞으로도 계속해서이

play01:27

시장을 이어 나갈 가능성이 높기

play01:29

때문입니다 이외에도 마이크로소프트

play01:31

구글 메타와 같은 글로벌 팬리스

play01:33

기업들 또한 AI 앞세워서 클라우드와

play01:35

결합해 B2B B2C 산업까지 빠르게

play01:38

확장을 해 나가고 있습니다이

play01:40

마이크로소프트의 이제 팀지 같은

play01:42

경우에 국내 협업 툴 시장을 굉장히

play01:43

빠르게 좀 장악하고 있고요 기존의

play01:45

국내 업체들을 빠른 속도로 같이

play01:47

밀어내고 있는 상황입니다 AI 모델은

play01:49

갈수록 고도화되고 있는 상황이고 이런

play01:51

것들이 코파일럿이라는 신규 서비스와

play01:53

연결되면서 자동으로 엑셀의 수식을

play01:55

만들어 주고 PPT 디자인까지 짜주는

play01:57

시대가 돌아 있기 때문에 더 빠른

play01:58

속도로 국내 B2B 시장의 오피스

play02:01

시장까지 장악하지 않을까 생각을 좀

play02:03

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미국의

play02:04

글로벌 팬리스 기업들 이런 식으로

play02:06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앞세워서 그

play02:08

격차를 빠르게 벌려 나가고 있는

play02:09

상황입니다 갈수록 높아지는 의존도

play02:11

때문에 이들의 영향력 더 커질 수밖에

play02:13

없을 텐데요 이에 따라서 제조 경쟁력

play02:15

위주로만 성장을 하고 있고 갈수록이

play02:17

업앤 다운이 심해지는 국내 제조산업

play02:19

반도체 산업 같은 경우에이 위기를

play02:21

어떻게 좀 대처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play02:23

생각 우리가 반드시 해봐야 될 것

play02:24

같습니다 1-2 주제는 AI

play02:26

리스크입니다 AI 기술이 확산되고

play02:29

있는 와 중에 그에 따른 리스크 또한

play02:31

빠르게 커지고 있다라고 좀 봐야 될

play02:32

것 같습니다 연예인 유명인 목소리와

play02:35

얼굴을 카피해서 보이스 피싱 불법

play02:37

광고가 성행하고 있는 상황이고요 이런

play02:39

허위 사실이나 정보로 인한 피해자들이

play02:41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고 잠재적인

play02:43

리스크 또한 굉장히 빠르게 확대되고

play02:45

있는 상황입니다 최근에

play02:46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공개된 AI 소라

play02:48

같은 경우에 텍스트로 내가 원하는

play02:50

영상의 느낌과 내용물들을 얘기해 주게

play02:52

되면은 정말 실사한 이미지까지

play02:54

확실하게 동영상으로 구해 주는

play02:57

서비스를 오픈함으로써 세계를 경악하게

play02:59

만든 바 있습니다 우리의 삶을 더

play03:00

윤택하게 해 줄 수 있는 기술일 수도

play03:02

있겠지만 우리의 미래를 더 어둡게

play03:04

만들 수도 있는 기술이라는 측면에서

play03:06

우리가 반드시 좀 생각해 봐야 되는

play03:07

문제라고 좀 생각이 들고요 이에

play03:09

따라서 이후 연합에서는 인공지능

play03:11

규제를 할 수 있는 법안 도입에

play03:13

합의를 한 상황입니다 생체 정보 수집

play03:15

제한이나 투명성 의무를 부과하고

play03:17

만약에이를 어겼을 시에 과징금을

play03:19

매출에 7% 아지 매기는 좀 강도

play03:21

높은 법안을 좀 도입하고 있고요 저장

play03:24

권법을 준수했는지 생성형 콘텐츠의

play03:26

표시 의무와 면밀하게 점검할 것으로

play03:28

보이는 거 같습니다 미국 행정부에서

play03:29

도 AI 기술 부작용을 우려해 규제

play03:31

도입을 하기 위한 그런 움직임들을

play03:33

보이고 있는 상황인데요 앞으로도

play03:34

빠르게이 법제화가 좀 도입이 되어야만

play03:36

이런 리스크를 좀 최소화할 수 있어야

play03:38

되지 않을까 싶고 자 이런 가짜

play03:39

정보를 만들고 악용하는 것도 문제긴

play03:41

하지만 받아들이는 입장에서도 굉장히

play03:43

큰 리스크가 높아지고 있는 사실이라고

play03:45

생각합니다 AI 시대에서는 여러분들이

play03:47

궁금한 모든 것들을 대신 검색하고

play03:49

찾아주는 세상에 왔습니다 그에 따라서

play03:51

여러분들의 특히나 젊은 세대들의

play03:53

주의력 기억력 문해력이 떨어지는

play03:55

문제들이 계속해서 빠르게 어 좀

play03:57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고요 이에 따라서

play03:58

젊은 세대들의 집중력 퇴화에 아지이

play04:01

AI 빠르게 기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play04:03

어떻게 비판적으로 AI 받아들이고

play04:05

생각해 볼 것인지에 대한 생각을

play04:06

이슈에서 다뤄볼 수 있지 않을까

play04:08

생각이 듭니다 두 번째 이슈 한국

play04:10

반도체 위기 준비했습니다 어 메모리의

play04:12

변동성이 매우 크고 파운드리 점유율은

play04:14

좀처럼 확대되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play04:17

특히나 tsmc 금년도 내년도 아지

play04:19

계속해서 점유 확대를 예상하고

play04:21

있는만큼 어 한국 기업들에게 굉장히

play04:23

좀 좋지 않은 상황이다 볼 수 있을

play04:25

것 같은데요 파운더 리만 하는

play04:26

tsmc n 42.6% 대에 영업

play04:29

이익률 기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play04:30

삼성전자 메모리 사업부가 무너지기

play04:32

시작한 다음부터는 수익성이 빠르게

play04:34

무너지고 분기 영업 적자까지

play04:35

기록하다가 작년도 하반기가 되어서야

play04:38

흑자 전환에 겨우 성공하기도 했습니다

play04:40

특히나 AI 시대 도래에 따라 hbm

play04:42

솔루션이 급부상을 했고 구보가 같이이

play04:44

메모리 솔루션을 통해서 수익성을

play04:46

개선할 수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을 좀

play04:47

하기도 했었지만 SK 하이닉스는

play04:49

마이크론이 빠르게 치고 올라오면서

play04:51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 되었습니다

play04:53

SK 하이닉스 같은 경우에는 엔비디아

play04:55

계약을 선점했고 SK 하이닉스가

play04:57

53% 가량의 마켓 시어를 점유하고

play04:59

하고 있는 상황이고 삼성전자가 38%

play05:01

마이크로니 99% Pro 그 뒤를

play05:03

추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여기 HM

play05:05

같은 경우에는 단수 쌓기가 핵심이라고

play05:07

좀 볼 수가 있는데요 업친데

play05:08

덮친격으로 마이크로는 지난 2월 달에

play05:10

hbm 5세대 개발에 성공했다는

play05:12

기사를 좀 발표했고요 심지어

play05:14

엔비디아를 고객으로 확보했다는 기사를

play05:16

좀 발표하면서 우리나라 국내 반도체

play05:19

기업들을 놀라게 한 바 있습니다 현재

play05:20

마이크론의 전율은 99% 정도밖에

play05:23

되지 않긴 하지만 굉장히 큰 위협이

play05:24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볼 수가

play05:26

있겠습니다 파운드도 굉장히 위태위태한

play05:28

상황입니다 tsm 씨와의 격차에

play05:30

좀처럼 줄어들고 있지 않는 상황에서

play05:31

인텔은 2030년까지 파운더리 2위를

play05:34

목표로 새롭게이 파운더리 드라이브를

play05:36

걸겠다는 이런 당찬 포부를 내놓은 바

play05:38

있고요 여기서 이제 마이크로소프트의

play05:40

어떤 수주 계약까지 성공했다는 내용을

play05:42

동시에 좀 발표하면서이 파운더리 위크

play05:45

때 시장을 좀 놀라게 한 바 있습니다

play05:46

이미 지금 확보된 수주 물량만

play05:48

20조원에 달할 정도로이 앞으로

play05:50

미국의 반도체 육성 전략이 조금 더

play05:52

탄력을 받으면 받을수록 국내 기업들은

play05:54

그에 따른 피해를 좀 보지 않을까

play05:56

생각이 드는 거 같습니다 자 한번 더

play05:58

나아가서이 국가적 차 에서도 이런

play05:59

위기를 우리가 좀 살펴볼 필요가

play06:01

있습니다 tsmc 같은 경우에 일본

play06:03

구마모토에은 1공장 개소식을 얼마

play06:06

전에 오픈한 바 있고요 일본에 4조

play06:08

2천억 원의 보조금을 지급받으면서이

play06:10

해당 1공장을 지은 바 있습니다

play06:12

현재는 2027년 말 가동 목표를

play06:15

해서 이공장 신설 계획도 발표한 바

play06:17

있고요 약 6조 5천억 원의 지원을

play06:19

받으면서 해당 공장을 지어 나갈

play06:21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된다면 이제

play06:23

tsmc 점유율이 작년 59%

play06:25

수준에서 금년도 62% 아지 상승할

play06:28

것으로 좀 전망이 되고 있고요

play06:29

삼성전자 같은 경우에는 그 전율이

play06:31

10% 수준까지 오히려 감소할 것으로

play06:33

시장에서는 내다보고 있기도 합니다 더

play06:35

무서운 부분이 있다면이 tsmc

play06:37

일본의 동맹이 강화되면서 한국에는

play06:39

굉장히 큰 위협이 될 수 있다라는

play06:40

점인데요 사실 일본 같은 경우에는

play06:42

소부장이 굉장히 강력한 그런 국가로

play06:44

익히 정평이 나 있는 상황입니다 시각

play06:47

공정과 세전 공정에 들어가는 고순도

play06:49

불화 수소나 실리콘 웨이퍼 같은

play06:51

경우에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가지고

play06:52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도 일본산 이런

play06:55

소부장 그을 수입해서 쓸 정도로

play06:56

일본의 기술력이 높다고 좀 볼 수가

play06:58

있는데요 글로벌 월 장비 분야에

play07:00

있어서 또 일본의 존재감 미국의

play07:02

견주어서 뒤쳐지지 않을 정도로 높다고

play07:04

좀 볼 수가 있겠습니다 전공정에서

play07:06

29% 후공정에서 44% 세계 시장

play07:09

점유를 좀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play07:11

미국과 대만의 이런 단단한 유대

play07:13

자체가 삼성전자를 포함한 SK

play07:15

하이닉스에는 굉장히 큰 위기가 될

play07:17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거기에 가장

play07:19

큰 형님 미국 같은 경우에는 첨단

play07:21

반도체 제조 장치 수출 규제를

play07:22

강화하고 있고 자국 반도체 비율을

play07:24

늘리기 위해서 886 원의 기금을

play07:26

마련하고 인텔에 40조원에 달하는

play07:28

보증금 을 지급할 것으로 예상이 되고

play07:31

있는 상황입니다 게다가 이후까지 이제

play07:33

가세해서 2030년까지 62조 원의

play07:35

금액을 투자해서 반도체 산업을

play07:37

육성한다고 하니 삼성전자와 SK

play07:39

하닉스 입장에서는 셈법이 굉장히

play07:40

복잡해지고 머리가 아픈 상황이라고 볼

play07:42

수가 있겠습니다 자 이에 따라서

play07:44

tsmc n 어떻게 민관학 협력이 잘

play07:47

이루어졌고 이런 것들이 현재

play07:48

tsmc는 좀 압도적인 우의를 갖춘

play07:51

그런 반도체 생태계를 만드는데 있어서

play07:53

영향을 줬는지에 대한 부분도 한 번

play07:54

더 찾아보면서 이슈 정리해 보실 수

play07:56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자 세 번째

play07:59

이슈 전기차 친환경차 패러다임 전환

play08:01

관련된 이슈 가지고 왔습니다 친환경

play08:04

시대로 빠르게 간다더니 갑자기 가속에

play08:06

제동이 걸린 상황입니다 전기차

play08:08

판매량은 빠르게 둔화되고 있는

play08:10

상황이고요 전기차 전환 속도를

play08:12

조절하는데 나서고 있는 상황입니다

play08:14

도요타 같은 경우에 실적을 보면은

play08:15

이런 추세를 극명하게 확인할 수가

play08:17

있습니다 작년 4분기 미국에서만

play08:19

하이브리드 차량이 약 18만대 판매가

play08:21

된 바 있고요이는 동 기간 동안

play08:23

테슬라 전기차 판매량을 앞선 수출하는

play08:25

점에서 그냥 가볍게 볼 수가 없는

play08:27

상황이 되었습니다 가격 충 전의

play08:29

불편함 인프라 속도 등 여러 측면에서

play08:31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는게 전기차이기도

play08:33

하기 때문에 향후 판매량이 얼만큼

play08:35

둔화될 것인지 정말 진정한 전기차

play08:37

전환 이루어질 것인지에 대한 우려가

play08:39

계속해서 커지고 있는 상황이고요

play08:40

전기차 캐즘이론 그래서 같은 맥락에서

play08:43

등장을 하고 있습니다 빠르게 전기차

play08:45

전환을 계속해서 하지 않고 하이브리드

play08:46

판매에 집중하고 있는 토요타를 보면서

play08:48

시장에서는 화성 연료에 의존한다는

play08:50

비판을 쏟아 붓기도 했지만 오히려

play08:52

승자가 된 꼴이 되어 버렸고요 현대차

play08:54

같은 경우에도 전기차 전환을 외치면서

play08:56

제너시스 같은 경우에 완전히 전기차

play08:58

모델만 생산한다 고 공원을 했었지만

play09:00

금세 계획을 바꿔서 하이브리드 모델을

play09:02

출시하기로 계획을 또 빠르게

play09:04

수정하기도 했었습니다 유럽 시장에서

play09:06

어 빠르게 전기차 판매 전환하기

play09:08

위해서 내연 기관차 판매 중단의

play09:10

시점을 계속해서 앞당기 던게 기존의

play09:12

트렌드였다 좀 볼 수가 있겠는데요

play09:13

하지만 작년도 영국 같은 경우에는

play09:16

내연 기관차 신차 판매 금지 시점을

play09:17

2030년에 2035년 5년 늦춘 바

play09:20

있습니다 다른 국가들도 비슷한

play09:22

모습들을 계속해서 보여주고 있는

play09:24

상황인데요 사실 중국산 전기차 시장이

play09:26

빠르게 확대되는 이런 아이러닉한

play09:28

상황때 때문에 고육지책으로 선택한

play09:30

측면도 분명히 있을 수밖에 없을

play09:32

겁니다 미국 내에서도 전미 자동차

play09:35

노동 조합에서 포드와 제너럴모터스

play09:37

스텔란티스 상대로 팝업을 선언하면서

play09:39

고용 보장을 지속적으로 주장을 하고

play09:40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전기차 전환에

play09:43

아무래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을

play09:44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하나 더

play09:46

생각해 볼 부분이 있겠습니다 미국

play09:48

트럼프 대통령이 만약에 대통령이

play09:50

당선될 경우에 ira 법 폐기를

play09:53

예고하고 있습니다 물론 완전한 폐기

play09:54

자체는 어렵긴 하겠지만 인센티브를

play09:56

줄이는데 있어서 어느 정도는 영향을

play09:58

미칠 수밖 밖에 없다라는 점 우리가

play10:00

생각해 봤을 때 2차 전지 그리고

play10:02

친환경차 혹은 친환경 전환이라는

play10:04

측면에서 보았을 때 우리가이 사업의

play10:06

속도 조절를 어떻게 해 나갈 것인지

play10:08

각 권역별 그 정책 동향과 수요

play10:10

동향에 맞춰서 유연한 대응을 해 볼

play10:12

필요가 있을 것 같고요 이에 대한

play10:13

견해 좀 제시해 볼 수 있지 않을까

play10:15

생각이 듭니다 옴스잡스 스마트

play10:17

스토어에서는 자소서 첨삭부터 원데이

play10:19

취업 특강 1대 1 집중 면접

play10:20

프로그램까지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play10:22

판매하고 있습니다 필요하신 분들

play10:24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고요 알림 설정

play10:26

찜하기 잊지 마시고 상품 업로드 됐을

play10:28

때 빠르게 알림 받으시면 좋을 것

play10:31

같습니다 자네 번째는 한국 증시

play10:33

그리고 금융 시장의 후진성을 좀

play10:35

가지고 왔습니다 금융 계열 좀

play10:37

지원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을 텐데요이

play10:39

해당 기사 좀 참고해 보시면 좋지

play10:41

않을까 싶습니다 자 먼저 일본 같은

play10:42

경우에 기업들은 펀더멘탈을 다지고

play10:45

정부는 밸류업 지원함으로써 1989년

play10:48

이후 잃어버린 30년이라는 오명을

play10:50

썼던 일본이 사상 최대 니케 지수를

play10:53

갱신하면서 부활의 신호탄을 올렸습니다

play10:55

일본 제조기업들은 경상 익을 6%

play10:58

돌파하고 있는 상황이고요 PBR

play11:00

수치는 1.4배로 한국의 1.1배

play11:02

대비 굉장히 높은 수준을 보여주면서

play11:04

투자자들 사이에서 일본에 대한 인식이

play11:06

바뀌었음을 수치적으로 직접 보여주고

play11:08

있는 상황입니다 증시의 매력도는

play11:10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고 글로벌

play11:12

투자자들이 관심을 보이면서 계속해서

play11:14

일본의 자금이 유입되지 않을까 기대가

play11:16

되는 부분이라고 좀 볼 수가 있겠고요

play11:18

미국의 나스닥 지수 또한 사상 최대

play11:20

치를 경신하면서 주가는 계속해서

play11:22

오르고 있는 상황이고요 한국 정부

play11:23

입장에서는 밸류업 프로그램을 내놨지만

play11:25

반쪽자리 정책이라는 얘기들이 굉장히

play11:27

많이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예를

play11:29

들면 기존부터 계속해서 문제점으로

play11:31

지적되어 왔던 주주 환원 정책이

play11:32

약하다든지 규제 완화가 더디기 때문에

play11:35

기업 입장에서 투자를 할 만한 유인이

play11:36

적다라는 하는 부분들이 대표적이라고

play11:38

좀 볼 수가 있겠는데요 규제 완화를

play11:40

위한 기업들의 투자 활성화 유도

play11:42

그리고 신규 투자 자금 유입 유치하기

play11:44

위한 뚜렷한 유인의 제공 그리고

play11:46

기업을 운영해 나가는 입장에서 경영권

play11:48

방어를 좀 더 수월하게 할 수 있을

play11:50

만한 수단을 마련해 내지 않는다면

play11:52

지속되는 외국계 행동주의 펀드의

play11:54

공격으로 인한 불필요한 어떤 자본

play11:56

유출과 방어를 위해 쏟는 그런 시간과

play11:59

에너지로 인해서 우리 기업들의 사업

play12:00

전략이 더 탄력 받는데 있어서도 아마

play12:03

장애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볼 수

play12:04

있을 것 같습니다 자 거기서 하나더

play12:06

우리가 살펴볼 만한 이슈가 있다면

play12:07

타국 대비 높은 수준의 상속세 다뤄볼

play12:09

만한 주제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play12:11

사실 과거부터 계속해서 논의가 되어

play12:13

오고 있었던 상황입니다 우리나라 같은

play12:15

경우에는 상속세가 거의 60%

play12:16

육박하는 높은 수준의 최대 상속세

play12:19

비율을 좀 보여 주고 있는데요

play12:20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오고

play12:22

있었던 이슈이기도 한데요 결국엔 높은

play12:24

상속세가 가족 기업들의 승계를 막는

play12:27

장애로 작용을 하고 있습니다 자 이런

play12:29

상속세에 대한 제도 개편도 있어야만

play12:31

기업들의 승계를 활성화하면서 일본처럼

play12:33

전통 있는 기업들이 더 많이 시장을

play12:35

탄탄하게 버티는 어떤 토대를 만드는데

play12:37

있어서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될 수

play12:38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play12:40

같습니다 자 이런 부분들 이슈로 한번

play12:41

다뤄볼 수 있을 것 같고요 이외에도이

play12:43

국내 은행권이나 국내 금융 그룹 같은

play12:45

경우에 굉장히 그 자생력이 없다는

play12:47

비판을 계속해서 받고 있는 모습도

play12:49

한번 다뤄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play12:50

국내 4대 금융 그룹과 미국 4대

play12:52

금융 그룹 간의 단기 순익 아로의

play12:57

격체전공 고 있는 국내 은행들의 어떤

play13:00

사업 행태를 보았을 때 비자 수익을

play13:02

빠르게 확대하지 못한다고 한다면

play13:04

우리가 정말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는

play13:06

은행이라는 이름을 붙이기에는 굉장히

play13:08

좀 부끄러울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play13:09

내수 전용 금융 기업이 아니라 글로벌

play13:12

수준의 금융 기업이 되기 위해서

play13:14

우리가 어떤 부분들을 좀 개선하고

play13:15

혁신적으로 바꿔 나가야 되는지에 대한

play13:17

생각들 좀 제시해 볼 수 있지 않을까

play13:19

생각이 드는 거 같습니다 은행 이외에

play13:21

증권사 보험사 카드사도 같은 맥락에서

play13:24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내수

play13:25

기반으로만 성장을 해 왔고 내수

play13:27

기반으로만 사업을 하고 있다 보니

play13:29

뚜렷하게 이렇다할 만한 성장세를

play13:31

이뤄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고 오히려

play13:33

매출 정체 상황에서 어떻게 갈수록

play13:36

줄어드는 수익성 높아지는 수수료를

play13:38

극복해 나갈 수 있을지에 대한 고심한

play13:40

계속해서 하고 있다 보니 근본적인

play13:41

혁신과 변화를 이뤄내고 있지 못한

play13:43

상황입니다 결국에는 성장 정체에

play13:45

다다른이 금융 시장 내에서 개별

play13:47

기업들이 살아남기 위해 디지털 전환

play13:49

it 기술을 어떻게 잘 효과적으로

play13:51

접목시킬 것인가에 대한 부분이 굉장히

play13:53

좀 중요한 과제가 아닐까 생각해 볼

play13:55

수 있을 것 같습니다 AI 포함한

play13:57

다양한 새로운 신기술들이 등장 하고

play13:59

있는 중인데이 다양한 신기술들을 개별

play14:01

기업들이 모두 다 적용할 수밖에 없을

play14:02

것이고 어떤 기술을 어떻게 선택적으로

play14:05

적용하는가 개별 금융 기업들의 경쟁력

play14:07

제고와 직결될 것입니다 이런 부분들

play14:09

여러분들의 창의적인 발산과 그런

play14:11

트렌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의견들

play14:13

제시해 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자

play14:15

다섯 번째 이슈 코리아 앤 차이나라

play14:17

대주제를 좀 붙여 봤고요 한 두 가지

play14:19

측면에서 각각 좀 살펴보도록

play14:21

하겠습니다 첫 번째 매우 높았던 중국

play14:23

의존도가 높은 리스크로 돌아오고

play14:25

있습니다 뭐 대표적인 산업으로 좀

play14:27

본다면 면세점 매출이 작년도

play14:29

13.7도 기록하면서 2022년

play14:32

17.8% 대비 22.7% 급감한

play14:35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신세계 롯데

play14:37

면세점 모두 작년 4분기 영업 적자를

play14:39

기록했고요이 적자폭은 갈수록 커질

play14:41

것으로 전망이 되고 있습니다 엔데믹이

play14:43

선언이 됐고 중국이나 외부 관광객이

play14:46

더 한국을 많이 방문할 것으로

play14:47

예상되는 와중에 기록한 실적이 때문에

play14:50

시장에서는 더욱 충격적일 수밖에 없는

play14:52

거 같습니다 그 원인을 살펴보자면

play14:54

중국 단체 관광객은 급감했고 개별

play14:56

여행이 증가하면서 면세점 방문 비중에

play14:58

좀 급감해 했다라는 내용 좀 원인으로

play14:59

꼽히고 있고요 과거 중국 소비자들

play15:01

같은 경우에는 화장품 도매상이 그

play15:03

큰손 역할들을 좀 많이 해 줬었는데

play15:05

코로나 19 이후에 고가와 중저가

play15:08

시장 모두 한국산 화장품이 시장을

play15:10

뺏기면서 또 한번 타격을 입기도

play15:12

했습니다 고가에 뭐 랑콤과 st 로더

play15:14

등이 중저가 있는 로컬 브랜드가

play15:16

빠르게 좀 대체하면서 한국 화장품이

play15:18

설자리를 잃은 것도 큰 몫을 하지

play15:20

않았나 시장에서는 보고 있습니다

play15:22

한국에 대한 중국의 관심이 싸늘하게

play15:24

식어가고 있다라는 것들은 수치로도

play15:26

증명이 되고 있습니다 작년도 대미

play15:28

무역 흑자는 445억 달러 기록하면서

play15:31

최대 수출국 자리를 다시 한번 차지를

play15:33

했고요 대중 무역 수지는 반면 -

play15:35

1880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국내

play15:37

시장의 위기감을 심어 주고 있는

play15:39

상황입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play15:41

있긴 하겠지만 우선은 중국의 경기

play15:42

둔화 그리고 산업 구조 변화로 인해서

play15:45

이런 수치가 빠르게 이제 감소하고

play15:46

있는 모습을 좀 보이고 있고요 예를

play15:48

들면 석유화 산업이나 철강 산업

play15:50

그리고 자체적인 뭐 가전 제품

play15:51

산업들이 빠르게 성장을 해 오면서

play15:53

우리의 어떤 수출 품목들을 대체해

play15:55

나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국내 기업들

play15:57

같은 경우에 가장 큰 시장 중에

play15:58

하나였던 중국 시장에 줄어든다는 것

play16:00

자체가 굉장히 큰 위기가 될 수밖에

play16:02

없을 텐데요 앞으로이 국내 기업들

play16:04

같은 경우에 특히나 중국 의존도가

play16:06

높았던 기업들은 신시장을 찾고 살기를

play16:08

찾기 위한 처절한 고민들이 필요한

play16:10

시점이 아닐까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play16:11

같습니다 차이나 리스크 얼마나 큰지

play16:13

어떻게 우리가 의존도를 줄여 나가야

play16:15

되면 어떤 신시장을 우리가 빠르게

play16:17

개척해 나가야 될지에 대한 견해들

play16:18

제시해 볼 수 있을 거라고 생각이

play16:20

들고요 전 세계 금융 시장 측면에서

play16:22

중국이 가지고 있는 리스크에 대한

play16:23

부분을 다뤄 보시는 것도 좋은 내용이

play16:25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play16:27

중국 같은 경우에도 우리나라처럼 인구

play16:28

증가가 이제 정점을 찍고 순 감소를

play16:30

시작한지 벌써 수년이 되었습니다 작년

play16:32

60세 이상 인구가

play16:34

21.1% 22년 19.8% 대비

play16:37

빠르게 증가하는 수치를 좀 보여 주고

play16:39

있는 상황이고요 우리나라처럼 고령화가

play16:41

굉장히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중국의

play16:43

생산성도 빠르게 떨어질 것으로 예상이

play16:45

되고 있습니다 실제 작년 4분기

play16:47

GDP 증가율은 5.2% Pro 기존

play16:49

대비 굉장히 둔화된 수치를 좀

play16:51

기록하고 있는 모습이고 GDP 대비

play16:53

부채 비율은 280% 육박하고 부동산

play16:55

시장의 위기 거품이 논의가 되면서

play16:58

뇌관이 터질 시에 전 세계 시장에

play17:00

미칠 파급 효과는 굉장히 클 것으로

play17:01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부분들에

play17:03

대해서 중국의 리스크 다뤄보고

play17:05

이것들이 전세계 금융 시스템 그리고

play17:07

국내에 미칠 영향들에 대한 부분들

play17:09

견해 밝혀 보시고 어떻게 대체에

play17:11

나가야 될지 정리해 보셔도 좋을 것

play17:13

같습니다 자 중국의 두 번째

play17:14

이슈입니다 차이나의 한국 공습

play17:17

괜찮을까요라는 제목으로 제가 좀 붙여

play17:19

봤고요 주요 산업들이 빠르게

play17:20

성장하면서 국내 시장을 위협하고 있는

play17:22

모습들이 굉장히 많이 좀 비춰지고

play17:24

있습니다 이에 맞춰서 우리가 방어를

play17:26

잘해내지 못한다고 한다면 중국의 국내

play17:28

시장까지 내어줄 수밖에 없는 그런

play17:30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데요 우선은

play17:32

중국산 전기차 그리고 배터리 시장만

play17:34

보더라도 이런 추세가 굉장히 극명하게

play17:36

드러나는 부분이라고 볼 수가 있을 것

play17:38

같습니다 중국산 전기차 수출량이

play17:40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play17:42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서 유럽 미국

play17:44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라고 좀 보시면

play17:46

되겠는데요 2차전지 부문에 있어서는

play17:48

catl lfb 배터리를 앞세워서 그

play17:50

완성차 업체들로부터 굉장히 많은 어떤

play17:52

관심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높은

play17:54

가격 그리고 품질적인 측면 성능적인

play17:56

측면에서 보더라도 ncn 3원계

play17:58

배터리 에 비해서 10% 20% 이내

play18:00

수준의 차이밖에 나지 않는데 가격은

play18:02

약 2 30% 이상의 차이가 나기

play18:04

때문에 가격 민감도가 높은 완성차

play18:06

업체들 대상으로 러브콜을 받고 있는

play18:07

상황이다라고 좀 볼 수가 있을 것

play18:09

같고요 앞으로도 ES 시장을 우리가

play18:12

확대해 나가는데 있어서도 lfp

play18:14

배터리가 주력이 될 수밖에 없기

play18:16

때문에 중국의 공세가 무섭게 느껴질

play18:18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국내 기업들

play18:20

lfp 경쟁력을 자체적으로 갖추기

play18:22

위해서 뒤늦게 서두르고 있는 모습이긴

play18:24

하지만 양산성을 확보하고 규모의

play18:25

경제를 통해 수익성까지 확보하기

play18:27

위해서는 굉장히 는 시간이 걸릴 수

play18:29

있고 오히려 중국 업체에 비해서

play18:31

경쟁력을 갖기 힘들다라는 시장의

play18:33

얘기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는

play18:34

상황입니다 어쩔 수 없이 2차전지

play18:35

분야에서 압도적인 기술 우의를 토대로

play18:37

고성능 배터리 시장 혹은 차세대

play18:39

배터리 기술을 어떻게 선점하느냐가이

play18:41

게임 자체를 바꿀 수 있는 굉장히

play18:43

중요한 과제가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이

play18:45

들고요 이런 중국의 공세에 따라서

play18:47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지에 대한 이슈

play18:49

같이 정리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play18:50

반도체 분야에 있어서도 중국 굴기를

play18:52

주목해 봐야 될 것 같습니다 하이에서

play18:54

출시한 메이트 60% 같은 경우에

play18:56

AR 설계를 활용해서 직접 를 설계

play18:59

탑재했고 맥이라는 중국 최대 시각

play19:01

공정 장비사 같은 경우에는 작년

play19:03

3분기 매출액이 2,722 기록할

play19:05

정도로 전년 대비 40% 증가하면서

play19:08

자체적으로 장비까지 수급할 수 있는

play19:10

생태계를 갖춰 나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play19:13

미국의 어떤 강력한 중국 반도체

play19:15

제재가 오히려 중국의 자생력을

play19:16

키워주는 꼴이 되어 있다 꼴이 되고

play19:18

있다라고도 좀 볼 수가 있는데요

play19:20

덕분에 중국은 자체적인 반도체

play19:21

생태계와 경쟁력을 차곡차곡 쌓아

play19:24

나가면서 국내 기업들 또한 위협하고

play19:26

있는 상황입니다 가전 제품에 있어서도

play19:28

중국산 제품이 경쟁력을 보여주고

play19:30

있습니다 특히 중국산이 고가 가전

play19:32

한국 시장에 침투를 하고 있는데요

play19:34

실제 작년도 글로벌 TV 점유를 보게

play19:36

된다면 삼성이 18.5% 하이센스

play19:38

13.7% TCL 13.3%

play19:41

기록하면서 2위 3위 기록하고 있고요

play19:43

오히려 LG 11.6% 다 높은 시장

play19:46

점유 보여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play19:48

얼마 전에 제가 유료멤버십 기사로도

play19:50

좀 다루긴 했었지만 국내 로봇 청소기

play19:52

시장 점유율 같은 경우에 1위를

play19:54

기록한 회사가 바로 중국의 로보

play19:56

락이라는 회사이고요 22% 시장

play19:58

점유를 보유하고 있고 약 150만

play20:00

원대 고가의 로봇 청소기 시장을

play20:02

장악하고 있다라고 좀 보실 수 있을

play20:04

것 같습니다이 정도로 중국의 기술력이

play20:06

빠르게 좀 앞서 올라왔다고 봐야 될

play20:08

것 같고요 이제는 저가 제품

play20:10

시장에서만 경쟁하지 않고 고가

play20:12

프리미엄 시장까지 빠르게 점유를

play20:14

확대하고 기술력을 선보이고 있다라는

play20:16

점 우리가 가볍게 봐서는 안 될 것

play20:18

같습니다 자 이외에도 수입 철강제

play20:20

물량이 6년 내 최대치를 기록하고

play20:22

중국의 갑산 철강이 국내에 들어오면서

play20:24

국내 철강 기업들이 굉장히 시름시름

play20:26

앓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도 우리가 좀

play20:28

눈여겨 봐야 될 부분인 거 같고요

play20:29

알리바바의 해외 서비스인

play20:31

알리익스프레스 수수료 제료 내걸고

play20:33

한국의 진출을 선언했습니다 한국의

play20:35

그런 주요 유통사들 그리고 판매자들을

play20:37

빠르게 흡수하고 있는 중인데요

play20:39

앞으로이 중국의 공세가 어떻게

play20:41

펼쳐질지 눈여겨 봐야 될뿐만 아니라이

play20:44

같은 상황에서 어떤 대책을 우리가

play20:46

빠르게 좀 세워야만 이런 위기에

play20:47

대처할 수 있을까에 대한 부분들도

play20:49

같이 고민해 봐야 될 것 같습니다

play20:51

옴스잡스 채널에서는 별도의 멤버십을

play20:53

운영하고 있습니다 멤버십을 통해서는

play20:56

다양한 기사의 제공부터 라이브

play20:58

피드백까지 진행을 하고 있는데요

play20:59

필요하신 분들은 꼭 가입하셔서 도움을

play21:01

받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여섯 번째

play21:04

이슈 고령화 출산율 감소 이슈 가지고

play21:06

왔습니다 여러분들도 잘 아시는 수치일

play21:08

것 같습니다 이제는 많이들 관심을

play21:10

갖고 있을 텐데요 0.65을

play21:12

기록했습니다 매일매일 레전드를

play21:14

갱신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좀 볼 수가

play21:16

있겠고요 서울은 심지어 0.55 명을

play21:18

기록하면서 정말 뜨악 수치를 보여주고

play21:21

있습니다 2024년도 기준으로 65세

play21:23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의 20% 달할

play21:26

전망이고요 이로 인해서 국 연금

play21:28

기초연금 건강보험 등의 각종 재정

play21:31

부담은 가속화되는 반면 출산율이

play21:33

줄어들면서이 세를 부담하게 될 미래

play21:35

세대는 갈수록 빠르게 줄어들고 있기

play21:36

때문에 낮은 합계 출산율과 고령화가

play21:39

콜라보레이션을 펼치면서 정말 한국의

play21:41

큰 경제 위기를 가져다 줄 것으로 좀

play21:43

전망이 되고 있습니다 노동인구는

play21:46

빠르게 감소할 것이고요 소비의 주체는

play21:47

실종될 것입니다 의료비 복지비 빠르게

play21:50

취소을 것이고 이로 인해서 2천년대

play21:53

생 이후 세대는 생애 소득의 40%

play21:55

세금으로 내게 될 것으로 시장에서는

play21:57

내다 보고 있습니다 1950년대에서

play22:00

60년대 생이 10에서 15% 수준의

play22:02

생애소득 대비 세금을 냈다는 걸 좀

play22:04

비교해 보았을 때 굉장히 과도한

play22:06

수치라고 좀 볼 수가 있을 것 같고요

play22:08

출산율을 반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play22:10

구조적 개혁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play22:11

한다면이 추세는 쉽게 꺾이기 힘들 것

play22:13

같습니다 여기에 엎친데 덮친격으로

play22:16

우리는 작년도 국세 수입이 급감했다는

play22:18

모습도 같이 교차해서 봐야 될 필요가

play22:20

있을 것 같습니다 작년 2023년

play22:22

국세 수입은 1년 전이었던 2022년

play22:25

대비 51조 9천억 원 감소한 수치를

play22:27

기록 했고요 이에 대한 원인으로 기업

play22:29

실적 악화와 그리고 부동산 시장

play22:31

위축을 꼽고 있습니다 작년 예산은

play22:33

400조 5천억이 있다라는 걸 좀

play22:35

이제 토대로 본다고 했을 때 약

play22:37

56조 4천억 원 수준의 세출 초과를

play22:40

보여 주고 있는 모습이라고 볼 수가

play22:42

있고요 그만큼 번돈이 비해서 56조

play22:44

이상 지출했다고 볼 수 있다라는 건

play22:46

세수 부족분을 메우기 위해서 아마도

play22:48

국채 발행을 통해를 메웠을 것으로

play22:49

예상이 되는만큼 국가의 채무 그리고

play22:52

그에 대한이자 부담은 같이 덩달아

play22:53

증가했다고 좀 볼 수가 있을 것

play22:55

같습니다 특히나 법인세가 23조

play22:57

2억이나 감소했다는 부분은 우리나라

play22:59

기업들의 그런 펀더멘탈이 얼마나

play23:01

약해졌는지 보여주는 부분이고 미국과

play23:03

일본 같은 경우에 증시가 화랑을 띄고

play23:05

기업들이 회복세를 보이는 와중에

play23:07

우리는 오히려 역성장을 했다라는

play23:08

측면을 보았을 때에는 굉장히 뼈 아픈

play23:10

부분이 아닐 수 없고 지금과 같은

play23:12

시기에 어떻게 체질 개선을 해서

play23:14

국가적 차원에서는 어떻게 기업 활성화

play23:16

법을 도입해서 이런 활력을 되찾게 할

play23:18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없다면

play23:20

이런 반전을 만들 수 없기 때문에

play23:22

한국 경제에도 큰 위기가 될 수

play23:24

있다라는 것까지 생각해 볼 필요가

play23:25

있을 것 같습니다 일곱 번째 이슈

play23:27

규제 간국 대한민국 가져왔습니다 저희

play23:30

한국도 잘하는게 있어야 되겠죠 규제

play23:32

굉장히 잘한다라고 볼 수 있을 것

play23:34

같습니다 어 대표적으로 우리나라 이제

play23:36

배터리 기술 특허를 받는 데까지 약

play23:38

520일이 걸리는 반면 중국 1위

play23:40

배터리 회사 catl 자국에서 심사를

play23:43

받는데 39일 밖에 걸리지 않는다라는

play23:45

이런 놀라운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play23:47

뭐 물론 중국이라는 특수성을 우리가

play23:48

감안해야 되긴 하겠지만 꼭 중국이

play23:50

아니더라도 유럽이나 미국 시장에

play23:52

비해서도 특허 심사에 너무 많은

play23:53

시간이 걸리고 있다라는 거 굉장히 큰

play23:55

문제점으로 지적이 되고 있는

play23:57

상황입니다 실제로 바이오헬스케어

play23:58

분야에서도 빠른 기술 혁신이 필요한

play24:01

분야라고 좀 볼 수가 있는데요 다른

play24:02

선진국 시장 같은 경우에도 자국내

play24:04

기업들이 빠르게 특허 지적 재산권을

play24:06

확보할 수 있도록 빠른 승인 심사를

play24:09

하는데 있어서 심여를 기울이고 있는

play24:10

상황입니다 이런 부분이 더뎌질수록

play24:12

국내 기업들의 기술 수준 확보 그리고

play24:15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는데 있어서

play24:16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play24:18

이런 부분에 있어서 빠른 지원이

play24:19

이루어져야 4차 산업 혁명 어낼 수

play24:21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play24:22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굉장히 향후 시장

play24:24

확대가 크게 기대되는 시장입니다

play24:26

2023년 기준으로 약 8조원 시장

play24:28

규모는 2028년까지 글로벌 기준으로

play24:30

약 29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play24:32

예상이 되고 있고요 헬스케어 시장에서

play24:33

가장 중요한 건 바로 데이터 선점이

play24:35

할 수 있는데 국내 관련된 기관의

play24:37

승인이 갈수록 더뎌지고 있기 때문에

play24:39

이로 인해서 국내 기업들은 자금난에

play24:41

어려움을 겪고 빠른 처방을 통해서

play24:43

데이터를 쌓고 서비스를 고도화해

play24:45

나가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play24:46

상황입니다 독일 같은 경우에는이 제품

play24:48

개발로 초반까지 약 1분의 1 수준의

play24:51

시간밖에 걸리지 않는다라고 얘기를

play24:53

하고 있습니다 영국 프랑스 일본에서도

play24:55

독일을 본따서 디지털 치료제 생인

play24:57

제도를 일찍히 만들기 위해서 노력을

play24:59

하고 있고 만들었다라는 내용이 좀

play25:00

나오고 있는데요 정부 당국에서도이

play25:02

규제 절차를 빠르게 해소시켜 사업의

play25:04

탄력을 받을 수 있는 토대를 갖춰

play25:06

줘야만 우리나라에서도이 테크 기업들이

play25:08

나오고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만들

play25:09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볼 수 있을

play25:11

것 같습니다 이런 빡빡한 규제 느린

play25:13

승인 심사 특허 관련된 지원 정책들

play25:15

우리가 지적하면서 이슈를 제기해 볼

play25:17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자 그다음으로는

play25:19

어 세금 문제 안 짚어 볼 수가

play25:21

없습니다 어 절세 목적으로 싱가포르

play25:22

이주하고 투자법인 설립하는 한국인

play25:25

부자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뭐

play25:26

부자들이 나가기 때문에 제다 이런

play25:28

것들이라 보다는요 상속세가 최대

play25:30

10% 밖에 부과를 하지 않기 때문에

play25:32

전 세계 시장에서도 투자들이 유치하데

play25:34

있어서 굉장히 좋은 유인을 제공하고

play25:36

있습니다 한국이 60% 수준에

play25:39

육박하는 최대 상속세 세율을 부과하고

play25:41

있는 것과는 굉장히 대조적인

play25:43

모습이라고 볼 수 있고요 실제로

play25:44

국내에서 가족 기업을 운영하고 있었던

play25:46

중소 중견 회사들 같은 경우에이

play25:48

승계를 해야 되는 시점에 PF 회사를

play25:50

매각하고 해외로 나가는 케이스들이

play25:52

굉장히 많아지고 있습니다 바로

play25:54

어마어마한 세금 때문이라고 좀 볼

play25:56

수가 있겠고요 이런 높은 양도세 상

play25:58

상속세 법인세와 같은이 세율은 투자

play26:00

유인으로 직결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play26:02

국내 시장의 활력을 더하고 투자를

play26:04

유인을 만들기 위해서는이 세제 제도

play26:06

자체를 좀 개편해 볼 필요가 있지

play26:08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면서 이런 부분에

play26:10

대한 지적도 해 볼 수 있을 것

play26:12

같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심각한 기술

play26:15

유출 문제 가지고 왔습니다 작년 말에

play26:17

16 나노급 디램 핵심 기술을 넘긴

play26:19

삼성전자 부장에 잡힌 바 있습니다

play26:22

피해액만 수조원 때 달할 것으로

play26:23

전망이 되는데요이 중국에 유출된 핵심

play26:26

기술은이 창신 매모 로 그대로

play26:28

들어가서 작년 말에 중국 최초로

play26:30

5세대 초저 전력 디램 개발을

play26:31

성공하는데 기여했습니다이 기술 유출로

play26:34

구속 기소된 a 상무 같은 경우에는

play26:36

5천만 원의 보석금을 받고 풀려

play26:37

놨는데 이런 지적 재산권을 해외

play26:40

유출하는 기술 스파이에 대한 법안

play26:42

그리고 기술 스파이에 대한 징계

play26:44

자체가 굉장히 물방이 처 벌이기

play26:47

때문에 계속해서 이런 사건 사고가

play26:48

발생하고 있는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play26:50

들고요 이런 기술유출 사례 한 건으로

play26:52

인해서 발생하는 이런 국내 피해만

play26:54

하더라도 수조원 때에 달하고

play26:56

우리나라의 첨단 산업의 발전에 제동을

play26:59

걸 수 있는 굉장히 큰 사건으로

play27:00

이어줄 수 있는만큼 강력한 처벌이

play27:02

필요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드는 거

play27:03

같습니다 이외에도 대만 국제조선

play27:06

공사에서는 작년 첫 자국산 잠수함을

play27:08

공개하기도 했는데요이는 대우조선

play27:10

해양의 잠수함 설계도면이 통째로

play27:13

유출됨으로써이었습니다 대만과 영토권

play27:15

분쟁 중인 친중 성향의 의원 제보로

play27:18

인해서 발각이 되긴 했지만 끊임없이

play27:20

한국인 전문가를 수시로 채용하고 있고

play27:22

이런 전문가 채용을 통해서 기술

play27:24

이전을 통해 자체적인 잠수함 확보

play27:26

기술까지 확보에 따라 점 은 굉장히

play27:28

무서운 점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

play27:30

이외에도 삼성전자 5G 반도체 개발을

play27:32

이끈 핵심 인력이 퀄컴을 이직했다든지

play27:35

LG 디스플레이 사업 전략 팀장

play27:36

TCL 이직해서 국내의 어떤 핵심

play27:38

기술들을 유출하고 있는 이런

play27:39

트렌드들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는데요

play27:41

이런 부분들을 우리가 어떻게 조기에

play27:44

막을 수 있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play27:45

있을지에 대한 부분 고민이 필요합니다

play27:47

내부적으로는 그 정보 유치를 최소화할

play27:49

수 있는 대안을 훨씬 더 철저하게

play27:51

마련을 해야 될 것이고요 국가적

play27:53

차원에서는 이런 범죄를 강력하게

play27:55

처벌할 수 있는 더욱 강력하고 강도

play27:57

높은 규제 법안의 도입이 시급할

play27:59

것이라고 생각이 드는 거 같습니다 자

play28:01

이외에도 더 많은 이슈들이 있습니다

play28:03

여러분들이 창의적으로 이슈와 생각들

play28:04

제시해 볼 수 있을 거라고 생각이

play28:06

들고요 앞서 말씀드렸던 대로 작년도에

play28:08

같이 올렸던 최신 사회 이슈 영상

play28:10

함께 참고해 보시는 것도 많은 도움이

play28:11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상반기 취업

play28:13

준비하시는 모든 구독자 여러분들의

play28:15

합격만 기원하 록 하겠습니다

play28:17

감사합니다 옴스 있습니다

Rate This

5.0 / 5 (0 votes)

Related Tags
AI TrendsSemiconductor CrisisElectric VehiclesEconomic AnalysisJob MarketTech InnovationsFinancial MarketsRegulationGeopolitical RisksIndustry Insi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