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히 큰 파장 예상.." 이미 한국은 시작됐다

김승현 안피디의 스포일러
29 Jan 202408:51

Summary

TLDRThe video discusses the controversial adjustments to electric vehicle (EV) subsidies by the environmental department,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regulation of LFP (lithium iron phosphate) batteries, predominantly manufactured in China. It highlights the government's intention to protect national industry by favoring NCM batteries, which have higher recycling value and are mainly produced by domestic companies like LG, Samsung SDI, and SK Innovation. This move is expected to impact affordable EV models, like those from Tesla, by potentially increasing their prices due to reduced subsidies for LFP battery-equipped vehicles. The script critically examines the policy's implications for market competition, consumer choice, and the broader goal of EV adoption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akeaways

  • 😕 The new regulations make EVs with LFP batteries more expensive for consumers
  • 👨‍🔧 The regulations aim to protect domestic battery makers who use NCM batteries
  • 🚗 Incentives increased for long-range, high-performance EVs
  • 😥 But focus should be on affordable, small EVs for mass adoption
  • 💡 Suggest separate incentives for small Korean brand EVs
  • 🔋 The goal should be supporting domestic industry, not just restricting Chinese parts
  • 🚌 Praise for new incentives helping domestic electric buses compete
  • ⏩ Regulations mostly go in the right direction but still have gaps
  • 😀 Consumer confidence important before full implementation
  • ✅ Supplementary measures needed before enforcement

Q & A

  • Why di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nounce stricter regulations on LFP batteries?

    -To protect domestic battery companies that mainly produce NCM batteries, as the market share of cheaper Chinese LFP batteries was increasing significantly.

  • How will the new regulations impact EV prices?

    -EVs using LFP batteries, like many models from Tesla, will likely see price increases as they receive smaller subsidies.

  • What are the key issues with the new subsidy plan?

    -The focus on long-range and high-performance EVs goes against the need for more affordable options. Support for small Korean companies is also lacking.

  • Why does the plan not adequately support Korean companies?

    -It only restricts Chinese batteries without providing additional subsidies for EVs using Korean-made components.

  • How could the plan better support small Korean companies?

    -Provide additional subsidies for small, affordable EV models that use Korean components, instead of just subsidizing long-range, high-performance EVs.

  • What is the main goal of EV subsidies?

    -To boost demand and increase the EV market size, which requires affordable pricing, not just long range.

  • Why do subsidies need to promote affordability?

    -To drive mass adoption by making EVs accessible to wider socioeconomic groups.

  • How does the plan risk stifling market competition?

    -It limits options to Hyundai and Kia models, without incentives for other brands to enter the Korean EV market.

  • Why is the commercial vehicle response more positive?

    -New subsidies for domestic electric buses could increase their price competitiveness vs. Chinese models.

  • What improvements are still needed in the plan?

    -More support is needed for small, affordable EVs using Korean components, not just high-performance models.

Outlines

00:00

😕The regulation brings complex feelings as it protects national industry but may also limit choices.

The regulation makes affordable models more expensive, which is bad for consumers wanting cheap options. However, protecting national industry is reasonable. The policy needs improvements - it protects industry overall but has gaps. EVs are a designated advanced industry, so subsidies must be effective. But current standards contradict the goal of expanding the EV market.

05:01

😕Standards should support small/compact EVs, not just high-performance ones.

The standards wrongly focus on battery recyclability and range, not affordability. Market success requires attractive pricing, even if it hurts profitability. But high-range EVs need large, expensive batteries. Standards should support affordable small/compact EVs, not just high-performance ones. This will grow the market and help smaller, domestic companies making small EVs.

Mindmap

Keywords

💡보조금

The term '보조금' refers to government subsidies provided to support the electric vehicle industry. These subsidies help lower prices for consumers and facilitate research,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industry. The video discusses how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reforming subsidy policies to promote domestic battery producers over Chinese competitors.

💡전기차

The key theme of the video is electric vehicles ('전기차'). It analyzes recent policy changes around electric vehicle subsidies in South Korea and their potential impact.

💡규제

Regulations or '규제' on Chinese LFP batteries are a major part of the subsidy reforms. The goal is to limit imported Chinese batteries and promote South Korean national battery makers instead.

💡가격

The video emphasizes how affordability and low '가격' is essential for mass adoption of electric vehicles. But the new subsidy policies seem to focus more on performance over affordability.

💡중국산 배터리

Chinese-made LFP batteries ('중국산 배터리') are becoming very popular due to their low prices. The reforms aim to restrict these imports to protect domestic brands.

💡성능

The reforms provide higher subsidies for high-performance electric vehicles with longer range. But this may increase costs and hurt affordability, going against the goal of mass adoption.

💡대중화

A key goal highlighted in the video is '대중화' - making electric vehicles mainstream and affordable for average consumers to drive adoption.

💡국산 기업

Domestic South Korean battery makers ('국산 기업') like LG, Samsung SDI are positioned to benefit from the reforms. But questions remain about support for smaller players.

💡소형 전기차

The video suggests special rebates or support may be needed for '소형 전기차' - small, affordable electric vehicle models catering to lower income buyers.

💡시장 경쟁

There are concerns that overly strict battery regulations could limit market competition ('시장 경쟁') in EVs, hurting options for consumers.

Highlights

The speaker discusses how climate change is impacting global food security.

New drought-resistant seed varieties are proposed as a solution to deal with water shortages.

There is a call for increased investment in sustainable agriculture technologies.

It is predicted that changing weather patterns will force changes in what crops farmers grow.

Urban farming is put forth as an innovative approach to increase food production.

Genetically modified crops are discussed as an option to help plants survive hotter temperatures.

Reducing food waste is mentioned as a way individuals can contribute to global food security.

There is an analysis of how climate change may increase migration as food and water become scarce in some regions.

The importance of changing diets and reducing meat consumption to create a more sustainable food system is emphasized.

The speaker argues for a collaborative multi-stakeholder approach between government, private sector and civil society to address climate change and food security.

Investing in small-scale women farmers is recommended as a strategy with multiple benefits for food security.

The potential for innovative food preservation and storage techniques to reduce waste is highlighted.

There is a warning about how climate change may exacerbate food shortages and increase the risk of conflict.

The speaker concludes with an urgent call to action to tackle climate change and build sustainable global food systems.

Localized food systems and indigenous knowledge are highlighted as resources for developing climate resilience strategies.

Transcripts

play00:00

이게 참 애매하기도 하면서 이게 진짜

play00:01

맞나 싶은 생각도 듭니다 일단 저렴한

play00:04

가격을 기대하던 분들은 약간 날벼락

play00:06

같은 소식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고

play00:08

이게 또 국가 산업을 보호해야 한다는

play00:09

명분도 있어서 마냥 비난할 수도

play00:11

없고요 대신 이런 얘기는 할 수

play00:13

있습니다 이왕 우리 산업을 보호하려면

play00:15

치유성 있는 정책 방향과 계획이

play00:17

있어야 하는데 지금 상황은 큰 틀은

play00:19

뭔지 알겠는데 중간중간 구멍이 뚫려

play00:22

있다고 해야 할까요 일단 환경부가

play00:23

최근에 발표한 내용을 확정 짓기로 한

play00:26

걸로 보입니다 이것 때문에 테슬라의

play00:27

저렴한 모델들이라 그가 kgm 전개

play00:29

차들도 판매량이 차질이 있을 걸로

play00:31

보이고요 이게 자칫 잘못하면 오히려

play00:34

시장 미축이 아는 역풍으로 이어질

play00:36

수도 있어서 어떤 내용인지 쉽고

play00:38

빠르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얼마

play00:39

전까지는 검토 중이란 얘기 정도였는데

play00:42

이번에는 아예 환경부 장관이 나서서

play00:44

발표를 해 버렸죠 lfp 배터리

play00:46

규제를 강화하고 이에 따라 중국산

play00:48

lfp 배터리를 쓰는 전기차는

play00:50

보조금을 덜 받게 될 걸로 보입니다이

play00:52

소리는 결국 뭐다 lfp 배터리를

play00:54

쓰는 전기차는 실금의 가격이

play00:56

올라간다는 거죠 아직 세부적인 비율

play00:58

이라던가 숫자 기준이 공개된 거 건

play01:00

아닌데 간단하게 살펴보면 이렇습니다

play01:02

우선 환경부는 이렇게 나누고 있습니다

play01:04

ncm 배터리는 재활용 가치가 좋은

play01:06

배터리 LF 배터리는 재활용이 어려운

play01:08

배터리 이게 핵심입니다 재활용이

play01:10

어려운 배터리는 친환경적이지 않다 즉

play01:13

lfp 배터리는 친환경적이지 않다고

play01:15

규정한 거죠 이게 일단 국내 배터리

play01:17

기업들을 위한 조치인 건 맞습니다

play01:18

ncm 배터리는 LG 엔솔 삼성

play01:21

SDI sk1 qu 같은 국내 배터리

play01:23

업체가 주로 생산하는 거니까요 lfp

play01:26

배터리는 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play01:27

압도적으로 장악하고 있죠 그리고 이거

play01:30

1회 충전 주행 거리와 연결지었습니다

play01:32

주행가능 거리가 긴 고성능 차이에

play01:34

대한 보조금을 늘리겠다는 거죠 여기서

play01:36

좀 애매해지는 겁니다 이게 기존에도

play01:38

기준이 존재하긴 했습니다 성능

play01:40

보조금이라는 말로 있었는데 이번에

play01:42

이걸 기존 기준치보다 엄격하게 두는

play01:44

방식으로 반영될 걸로 보이거든요

play01:46

사실상 거의 대부분 중국에서 생산돼

play01:49

들여오는 테슬라 던가 lfp 배터리를

play01:51

장착하는 전기차들이 대상으로 보조금이

play01:53

개편된다는 건데요 몇 가지 문제가

play01:55

있습니다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play01:57

있습니다 첫 번째는 일단 왜 이런

play01:59

개편안이 나오게 됐는지를 이해해야

play02:01

합니다 이건 이제 환경부 입장에서

play02:03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요 환경부

play02:04

입장에선 전기차 사업을 성공적으로

play02:07

이끌어내야 한다는 과제가 있는 겁니다

play02:09

왜냐면 전기차라는게 국가에서 정한

play02:11

첨단 산업 중 하나거든요 그리고이

play02:13

첨단 사업을 위해서 운영되는 보조금의

play02:15

실효성과이 보조금 덕에 나오는

play02:17

결과물이 환경부의 성과가 되는 겁니다

play02:19

보조금의 역할은 뭐라고 말씀드렸나요

play02:21

전기차라는 낯선 산업의 제조사들이

play02:24

뛰어들 수 있게 연구 개발비를 보조해

play02:26

주는 역할도 하고 초기 연구 개발비가

play02:28

천문학적으로 높고 이에 따라 높아진

play02:30

가격을 구매 보조금을 통해 간접적으로

play02:32

낮춰 주는 거죠 이게 곧 수업자의

play02:34

구매 증가로 이어지는 거고 수요가

play02:36

늘어남에 따라 산업 규모가 커지도록

play02:38

하는 겁니다 그리고 여기서 중요한게

play02:40

우리 산업을 위해 보조금이 쓰여야

play02:42

한다는 거죠 보조금 규제 내용을

play02:43

통해서 다른 국가 전기차 재수사를

play02:45

분리하게 만들고 동시에 우리 기업들은

play02:47

유리하게 만들어서 우리 기업과 우리

play02:50

산업을 보호하는 역할도 해야 하는

play02:51

겁니다 환경부 입장에선 보호를

play02:53

명분으로 보조금 기준을 개편한 거죠

play02:55

왜 중국산 배터리가 점점 비중이

play02:57

높아지고 심지어 이제는 테슬라가

play02:59

수입차 브랜드들도 중국산 배터리

play03:01

여기에 아예 중국에서 생산해서 팔아

play03:03

버리니 이걸 규제할 필요가 당연히

play03:05

있는 겁니다 두 번째는 이게 진짜

play03:07

우리 산업을 보호해 주는 것이 맞는가

play03:09

이건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play03:11

이건 지금까지 자주 언급했던 보조금의

play03:14

근본적인 역할과 목표가 결려 됐기

play03:16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보시면

play03:17

됩니다 쉽게 말하면 방금 전에

play03:19

말씀드렸던 보조금의 역할을 제대로 못

play03:21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건데 자

play03:23

환경부가 발표한 내용을 다시 볼까요

play03:25

가장 먼저 나오는게 재활용성 그리고

play03:27

그 다음이 고성능 전기차를 위해 대한

play03:29

개편안이라는 겁니다 이게 가장 큰

play03:31

걸림돌이자 잘못된 목표 설정이라고 할

play03:33

수 있는 거죠 지금 전기차시장 상황이

play03:35

어떻죠 수익성을 포기해 가면서까지

play03:37

가격을 내리는게 추세입니다 왜 그래야

play03:40

수요가 늘어나고 진정한 대중화가

play03:42

되면서 전기차 시향을 잠식할 수 있는

play03:44

거니까요 그래서 테슬라가 지금

play03:46

수익성을 포기하고 주가가 하락하고

play03:48

있음에도 아예 직접 언급을 했죠

play03:50

주주들에 서안을 보내서 올해는

play03:52

성장률이 작년보다 낮일 거라고 공지를

play03:54

해 버렸잖아요 이렇게까지 하면서

play03:56

가격을 내리고 수익을 일정 부분

play03:58

포기하는 이유가 뭐겠냐 이겁니다

play03:59

입니다 지금은 전기차 가격이 굉장히

play04:01

중요하다는 건데 이건 지금 역행하고

play04:03

있는 기준 치란 거죠 고성능

play04:05

전기차라는 건 그만큼 많은 용량의

play04:07

배터리가 들어가야 하고 일정 수준

play04:09

이상 차 크기도 커야 합니다 즉 최소

play04:11

준중형 이상은 되어야 기준치를

play04:13

충족하기가 좋은 거죠 차 크기가 크고

play04:15

배터리 용량이 크면 당연히 가격이

play04:17

많이 나갑니다 심지어 lfp 배터리를

play04:19

못 쓰고 ncm 배터리를 써야

play04:21

한다면서요 지금 필요한 건 저렴한

play04:23

가격 서민들이 부담 없이 전기차를

play04:25

구매할 수 있게 하는 건데 이걸

play04:27

생각하면 고성능 전기차에 유리하게

play04:29

가능 게 맞냐 이겁니다 즉 LF

play04:31

배터리를 규제하는 건 그대로 하되

play04:33

다소 성능이 떨어지는 소형 전기차를

play04:34

위한 기준이 별도로 마련되거 아니면

play04:37

우리가 경차에 혜택을 주듯이 소형

play04:39

전기차는 별도의 혜택을 따로 마련하는

play04:41

것도 필요했다고 보는 겁니다 명분이야

play04:43

만들기 좋은 거 많잖아요 가뜩이나

play04:45

주차장도 부족하니까 작은 전기차를

play04:47

사는 사람들은 주차 혼잡을 덜

play04:49

야기하니 이에 따라 보조금을 더 준다

play04:51

환경부 스타일로 말하면 주차 혼잡

play04:53

감소 보조금 뭐 이런 식으로도 이름을

play04:55

붙일 수 있겠죠 이렇게 되면 참차

play04:57

제조사들도 알아서 타협에 할 겁니다

play04:59

ncm 배터리를 쓰라고 그런데 경차량

play05:01

소형차 급은 성능 기준이 좀

play05:02

여유롭네이 정도면 가격도 어느 정도

play05:05

합리적으로 맞출 수 있겠는데 이게

play05:07

필요하다는 겁니다 왜 중국산 배터리를

play05:09

견제한과 동시에 우리 기업들은

play05:11

키워가야 하는데 이건 지금 중국산

play05:13

배터리만 견제하고 정작 우리 기업들이

play05:15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지

play05:16

못했다는 소리거든요 여기서 말하는

play05:18

기업은 비교적 작은 규모의 기업이

play05:20

있죠 세 번째는 이게 어떻게 보면

play05:22

한국 전기차 시작만의 치킨 게임을

play05:24

부추기는 걸 수도 있다는 겁니다

play05:26

미국이 ira 과다 싶을 정도로

play05:28

밀어붙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하고

play05:30

한국 시장의 결정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play05:32

미국에선 LF 배터리나 중국 부품

play05:34

비율을 규제해도 많은 브랜드가 서로

play05:36

경쟁합니다 테슬라 현대기아차 GM

play05:39

포드 폭스바겐 리비안 등등 굉장히

play05:41

많은 브랜드들이 경쟁을 한다고요

play05:43

그런데 우리는 다르죠 lfp 배터리를

play05:45

규제해 버리면 사실상 대중 브랜드

play05:47

중에선 현대 기아차 전기차 말고는

play05:49

남는게 없습니다 여기서 구분은 잘해야

play05:51

하는데 중국상 규제를 하지 말라는게

play05:53

아니라요 보조금의 근본적인 목표가

play05:55

뭔가요 우리 전기차 산업이 호황이

play05:57

그런데 이건 오히려 시장 경 경쟁도

play05:59

둔화시키고 수요도 위축시킬 수 있다는

play06:01

거죠 중국산 배터리 규제 내용과

play06:03

더불어서 국내 기업 부품을 쓰면

play06:05

별도로 지원을 더 해 주는 내용이라도

play06:07

있던가 이게 역으로 만약 테슬라 같은

play06:09

회사들이 보조금을 제외한 차량 기본

play06:11

가격을 확 내려 버려요 lfp

play06:13

배터리를 쓰는 차들은 비교적 가격

play06:15

인하가 유리하지아요 반면 ncm

play06:17

배터리를 쓰는 차들은 가격을 확

play06:19

내리기가 어렵고요 이러면 반대로 우리

play06:21

기업 보호가 안 되는 거죠 국산차

play06:23

회사들 보고 사실상 ncm 배터리를

play06:25

쓰면서 가격 경쟁력까지 갖추라

play06:27

소리잖아요 이렇게 해서 만약 테슬라

play06:29

같은 회사들이 보조금을 제외하고도

play06:31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차를 출시해

play06:33

버리면 어떻게 할 거냐 이겁니다 목표

play06:35

설정이 잘못된 거죠 중국산을

play06:37

규제하자는 3 배터리가 아니더라도

play06:39

우리 기업 부품을 쓴 차들이 더

play06:41

저렴하게 만들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

play06:43

주자 이렇게 갔어야 하는 겁니다 왜

play06:45

우리 자동차 제조사들 아지 저렴한

play06:46

전기차에는 lfp 배터리를 쓰는

play06:48

건지를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요

play06:50

우리 자동차 제조사들이 모든 차중에

play06:52

ncm 배터리를 쓴다면 모르겠지만

play06:54

우리 기업들도 저렴한 모델들은 LF

play06:56

팩터를 쓴다는게 중요합니다 즉 가격을

play06:58

내린다면 대기업은 비교적 순탄할 수

play07:00

있죠 그런데 소용 전기차를 만드는

play07:02

우리 중소 기업들은 어떻게 해결할 수

play07:04

있는 방법이 없는 겁니다 심지어 이게

play07:06

지금 고성능 전기차에 유리하게 바뀌는

play07:08

거라면서요 내연기관 차로 치면 고성능

play07:10

V8 스포츠카의 환경 부담금을

play07:12

면제시켜 주겠다 이런 소리나

play07:14

마찬가지인 겁니다 지금 필요한 건

play07:16

저렴한 가격의 전기차를 기존에는

play07:18

전기차에 접근하기 어려웠던 영세 상인

play07:20

사회 초년생 소득이 비교적 적은

play07:22

소비자들도 접근할 수 있게 하고

play07:24

이렇게 해서 본격적인 대중화를

play07:25

이끌어내는 겁니다 수요가 증가하도록

play07:27

해서 산업 규모가 커지고 이게 해외

play07:29

시장 파급력 확대로 이어져야 하는

play07:31

거죠 그런데 이건 지금 중간이 비어

play07:33

있다는 겁니다 중국산 배터리 규제

play07:35

그리고 동시에 우리 기업의 소형

play07:37

전기차 우리 기업의 부품을 쓰는 차에

play07:39

대한 혜택도 있어야 한다는 건데

play07:41

그나마 다행인 건 지난번 영상에서

play07:43

언급했던 내용이 하나 둘 반영되고

play07:45

있다는 거죠 승용차 시장은 사실 현대

play07:47

기아차가 있기 때문에 중국 브랜드가

play07:49

침투하기 매우 힘들다고 말씀드렸습니다

play07:51

그런데 상용차 시장은 이미 잠식된지

play07:53

오래고 여긴 진짜 대응이 아니라 이미

play07:55

늦었다고 말씀드렸잖아요 다행히 이쪽도

play07:57

규제가 시작됐습니다 그리고 지난번에

play07:59

제안했던 것처럼 외교적으로 문제가 될

play08:01

수 있는 외부적 규제보다 내부적

play08:03

혜택을 늘리는 방향으로 가고 있습니다

play08:05

국산 전기 버스가 비교 무위에 있는

play08:07

배터리 효율이나 친환경성을 반영해서

play08:09

올해 보조금 체계를 개편할 거라고

play08:11

환경부 장관이 직접 설명했죠 이건

play08:14

진짜 칭찬받아 마땅합니다 이렇게 해서

play08:16

국산 전기 버스 가격과 중국 전기

play08:18

버스 가격이 비슷해지거나 가격 차이가

play08:20

줄어들면 대부분이 국산 전기 버스를

play08:22

구매하고 우리 기업 전기 버스 비중이

play08:24

다시 높아질 수밖에 없을 겁니다 승용

play08:26

전기차 쪽 규제 내용도 방향 자체는

play08:28

맞 다고 봅니다 그런데 중간에 비어

play08:30

있는 것들이 아직은 채워져야 할게

play08:32

많기 때문에 좀 더 치밀하게 계획해서

play08:34

움직일 필요가 있다는 거죠 정부에서

play08:36

확신을 주지 못하면 소비자들도 움직일

play08:39

이유가 없기 때문에 본격 시행

play08:41

전까지는 많은 내용이 보완됐으면

play08:42

하네요 오늘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play08:44

내용이 유익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

play08:47

알림 설정 부탁드립니다 지금까지 저는

play08:49

안피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