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만원으로 역대급 가성비 만렙 게이밍 컴퓨터를 조립해봤습니다!

도레
26 Jan 202418:30

Summary

TLDRIn this informative video, the speaker tackles the challenge of assembling a high-value gaming PC with a budget of just 550,000 KRW. Despite initial concerns about the feasibility of achieving good performance within this tight budget, the speaker meticulously selects components that offer the best bang for the buck. The video covers the selection process for each component, from the Ryzen 5 5600 CPU to the GeForce GTX 1660 Super graphics card, ensuring that viewers can build a system capable of smoothly running recent games without breaking the bank. Additionally, the speaker provides insights into assembly tips, thermal management, and ways to further reduce costs by incorporating used parts, making it an essential guide for budget-conscious gamers looking to maximize their investment.

Takeaways

  • 😊 The video recommends a 55,000 KRW gaming PC build focused on cost-effectiveness
  • 🤔 The build uses a Ryzen 5 5600 CPU and GTX 1660 Super GPU which provide good performance for the price
  • 💡 Components like the motherboard, RAM, SSD are selected for value, not just lowest cost
  • 🛠️ The PC is assembled in a compact mATX case which helps keep costs down
  • 👍🏻 The build can run most modern games smoothly at 1080p resolution
  • 🔧 Care is taken during assembly to optimize airflow and cable management in the tight case
  • 💰 Secondhand parts are suggested to potentially lower the cost further to 300,000+ KRW
  • ⏩ For 50,000 KRW, compromises like a Ryzen 5 4500 CPU would be needed
  • 🔎 The video explains in detail the part selection considerations and assembly process
  • 💯 Overall an optimal 55,000 KRW 1080p gaming PC build is presented

Q & A

  • What is the total budget for building the PC?

    -The total budget is 550,000 Korean won or approximately $450 USD.

  • What CPU is used in the budget gaming PC?

    -The Ryzen 5 5600 CPU is used which offers great performance for the price.

  • What graphics card is chosen for the build?

    -The Zotac GTX 1660 Super graphics card is chosen which can run most modern games at 1080p resolution.

  • How much RAM is installed in the system?

    -16GB of Samsung DDR4 3200MHz RAM is installed using two 8GB sticks.

  • What motherboard is used?

    -An EMTek B550M-A Pro motherboard is used for its reliability and customer support.

  • How difficult is it to build in the selected case?

    -The small and budget case makes cable management difficult and assembly tricky for those with large hands.

  • What tips are offered for getting an even cheaper build?

    -Buying used parts with warranty remaining like the CPU and graphics card can lower the total cost to around $350 USD.

  • What frame rates can be expected in games?

    -Frame rates between 60-144 FPS can be expected in most games at 1080p resolution with some settings turned down.

  • What upgrades can be made later on?

    -The CPU could be upgraded to a Ryzen 7 5700X3D and more storage can be added easily.

  • Is this a good value budget gaming PC?

    -Yes, this PC offers excellent performance for the price and can run latest games smoothly.

Outlines

00:00

😊 Introducing the value gaming PC build for 2023

The video introduces a value gaming PC built in 2023 for 550,000 KRW. It goes over the parts selected like the Ryzen 5 5600 CPU, B550 motherboard, 16GB RAM, 256GB SSD, and GTX 1660 Super GPU. Emphasis is placed on maximizing price/performance.

05:02

😃 Explaining the reasoning behind each component selection

The host explains why each component like the CPU, motherboard, RAM, SSD, GPU, power supply, and case were chosen for the 550,000 KRW budget gaming build. Key factors were price/performance, upgradability, and sufficient gaming performance.

10:02

🤓 Comparing gaming performance across titles

Gaming performance of the budget build is tested and benchmarked across various titles like Overwatch 2, PUBG, Forza Horizon 5, etc. Despite some compromises, performance is solid with 60+ FPS achieved in most games at high settings in 1080p.

15:04

👨‍💻 Step-by-step assembly process

The build process is covered including installing the CPU, cooler, RAM, SSD, motherboard, PSU, GPU, and connecting all necessary cables and front panel connectors. Helpful tips are provided for first-time builders.

💡 Tips for further cost savings

Additional tips are provided for reducing cost like buying used/refurbished parts that still have warranty left. The host notes the Ryzen 5600 and GTX 1660 Super have healthy used markets. Sales events can also lower cost.

Mindmap

Keywords

💡Cost-effective Gaming Computer

A cost-effective gaming computer refers to a desktop system designed to offer the best balance between performance and price. In the video, the narrator emphasizes building a gaming PC that can run all games well on a budget of 550,000 KRW,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selecting components that provide good performance without breaking the bank. This concept is central to the video's theme, as it addresses the challenge of assembling a gaming PC that maximizes value for money within a specific budget constraint.

💡Budget Limit

The budget limit in the context of the video is set to 550,000 KRW, which is presented as a challenge to assemble a gaming computer that can handle modern games. This financial constraint is a key theme, driving the narrative towards finding a balance between cost and performance. The video illustrates how to navigate the constraints of a limited budget while still achieving a satisfactory gaming experience, showcasing the trade-offs and decisions involved in component selection.

💡GTX 1660 Super

The GTX 1660 Super is highlighted as a graphics card choice for the gaming PC being built. This choice reflects the video's emphasis on cost-effectiveness, as the GTX 1660 Super offers good performance for its price, making it suitable for budget-conscious gamers. The video uses this component to illustrate how selecting the right graphics card can impact the overall gaming performance of the system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cost.

💡Ryzen 5 5600

The Ryzen 5 5600 processor is mentioned as the CPU choice for the budget gaming computer. This selection underscores the video's theme of balancing price with performance, as the Ryzen 5 5600 is known for its excellent price-to-performance ratio. It's used as an example of how a carefully chosen CPU can meet gaming needs while adhering to a strict budget.

💡Component Selection

Component selection is a recurrent concept in the video, referring to the process of choosing individual parts for the gaming PC build. This process is critical to achieving the goal of a cost-effective gaming system, as it involves evaluating the performance, compatibility, and price of each component. The video details this process, highlighting how each component is selected to contribute to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computer within the budget limit.

💡Performance Testing

Performance testing in the video context involves evaluating the gaming PC's ability to run various games at different settings and resolutions. This concept is key to valid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budget gaming build, demonstrating that the assembled computer can indeed handle modern games satisfactorily. Examples from the script include testing games like Overwatch 2 and Forza Horizon 5 to showcase the computer's gaming performance.

💡Budget Constraints

Budget constraints are a central theme of the video, referring to the financial limitations imposed on the gaming PC build. The video's narrative is shaped by the challenge of adhering to a 550,000 KRW budget while attempting to maximize gaming performance. This constraint drives the discussion on component selection and necessitates a focus on cost-effective solutions.

💡DIY Assembly

DIY assembly refers to the process of building the gaming PC oneself, as outlined in the video. This approach is presented as a means to save costs and customize the build to specific needs within the budget limit. The video provides guidance on assembling the computer,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how to piece together the selected components to achieve the desired performance.

💡Game Optimization

Game optimization in the video refers to adjusting game settings to achieve the best possible performance on the budget gaming PC. This concept illustrates the practical aspect of gaming on a budget, showing how tweaking settings can enhance playability even on less powerful hardware. The video includes examples of how adjusting game options can result in smoother gameplay, making it relevant to the theme of building a cost-effective gaming system.

💡Mid-Range Graphics Card

The term 'mid-range graphics card' is used in the video to categorize the GTX 1660 Super within the broader market of graphics cards. This classification is important for setting expectations regarding the gaming performance and price level of the build. The video uses this term to communicate the target performance tier of the gaming PC, aiming for a balance between affordability and the ability to run recent games effectively.

Highlights

The study found a significant increase in test scores fo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new math curriculum.

Professor Smith introduced an innovative framework for analyzing poetic structures across literary genres.

The research presents a theoretical model of the pathways between poverty, health, and academic achievement.

Dr. Lee's work on genome editing has promising applications for treating genetic diseases.

Simulations revealed new aerodynamic principles that could dramatically improve aircraft design.

Initial trials found the drug therapy to be safe and effective at slowing disease progression.

The study provides new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ation, unemployment, and growth.

Professor Wilson proposed an original approach to estimating the effects of immigration on labor markets.

The research lays the groundwork for developing more targeted educational interventions.

Dr. Patel developed a low-cost water filtration device with applica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The findings reveal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s in shaping life outcomes.

Their model provides new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dynamics within microbial communities.

The study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in preventing age-related cognitive decline.

Professor Lee proposed an algorithm that significantly improves computational efficiency for large datasets.

Their analysis points to several factors contributing to the rise of income inequality in recent decades.

Transcripts

play00:00

선생님 월드가 하고 싶은데 55만

play00:02

원밖에 없어서 못 할 거 같아요

play00:04

도래는

play00:07

[음악]

play00:10

된다던데네 안녕하세요 드입니다 어

play00:12

그건 많은 분들이 댓글을 주셨던 것

play00:14

중 하나가 바로 가성비가 차고 넘치는

play00:17

데스크탑을 맞춰 달라는 것이었는데요

play00:19

50만 원이라는 단어가 굉장히 많이

play00:21

보이더라고요 아이 50만

play00:24

원이 안 돼 안돼 돌아가 아 안 돼

play00:27

안돼 안돼안돼안돼 안돼안돼 하고

play00:28

싶지만 또 안 되면 되게 하는게 보

play00:31

유튜브 아니겠습니까 아 그런데 생각해

play00:33

보니까요 아 50만 원은 진짜 조금

play00:35

힘들고요 그래서 한 5만 원 정도 더

play00:37

올려서 55만 원에 모든 게임이 잘

play00:40

돌아가는 극가 성비 게이밍 컴퓨터

play00:43

2024년 버전으로 여러분들에게

play00:45

얘기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어 물론

play00:47

요즘 나오는 미드레인지 체급의 그래픽

play00:49

카드 하나 딱 구매할 만한 뭐 그러한

play00:51

가격입니다 한계가 있단 뜻이

play00:53

되겠는데요 그럼에도 진짜 제가이

play00:55

55만 원으로 컴퓨터를 맞춘다고 했을

play00:57

때 뭐 여기까지는 타협을 할 수가

play00:59

있어 어 여기까지는 맞출 수가 있어

play01:01

어 정말 제가 활용할 수 있을 만한

play01:03

뭐 그러한 제품들로 구성을 했고요

play01:04

뻥파워 가져다가 뭐 가격 낮추고 뭐

play01:07

중교 부품도 안 되는 거 가져와서도

play01:09

가격 낮추고 뭐 이런 거 안 했습니다

play01:11

예 영상 차근차근 살펴 보시면은

play01:14

감사드리겠습니다 우선 55만 원

play01:15

컴퓨터의 성능 먼저 보여 드릴 거고요

play01:18

뭐 어떻게 구성을 했는지 어 왜

play01:20

이렇게 구성했는지 어 이런 얘기도

play01:21

조금 해 보려고 하고요 조립을 어떻게

play01:23

했는지도 설명을 할 예정입니다 어

play01:25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미 제품을 가지고

play01:27

있거나 중고를 활용한다면 얼마나

play01:29

가격이 더 낮아지는지 알아보도록

play01:31

하겠습니다 바로 시작해 보자고요

play01:34

렛츠겟잇 가성비 게임이 컴퓨터라고

play01:36

했는데 가격이 55만 원이면 너무

play01:39

성능이 낮은 거 아니야 어우 전혀

play01:41

그렇지 않습니다 게임별 옵션이

play01:42

다르지만 최근 게임들도 무리 없이

play01:44

소화가 가능하고요 스팀 게임한다고

play01:46

대부분의 유저들이 4070이네

play01:49

4080이네 뭐 이렇지 않습니다 전부

play01:51

엔트리 미드레인지 체급이 심지어는

play01:54

8년 전 제품도 최상위권에 있는만큼

play01:57

GTX 1660 슈퍼는 현재 활용에도

play02:00

전혀 문제가 없는 제품이죠 로아

play02:02

살펴볼게요 좌측이 최고 옵션 우측이

play02:04

중간 옵션이 풀 HD 기준에서 프레임

play02:07

충분히 방호하고 있더라고요 로아는이

play02:09

정도 프레임만 나와도 충분히 쾌적하게

play02:11

게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약간 옵션

play02:13

타협하면 좋을 듯하고요 배그 역시

play02:15

최고 옵션 그리고 국미 도에서

play02:17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확실히 국미

play02:19

도에서는 정말 프레임 잘 나오고요

play02:21

최고 옵션은 조금 아쉽기는 해요

play02:23

배그는 프레임 확보가 우선되어야 하는

play02:25

게임이니 미에서 나오는 프레임을

play02:27

살펴보시는 것을 추천드리고요이 정도

play02:29

면 풀 HD 144h 모니터와

play02:31

조합해도 어색하지 않게 잘 활용할 수

play02:34

있을 것 같네요 오버워치 2 노프

play02:36

옵션에서도 정말 부드러운 플레이가

play02:38

가능했습니다 제가 기대한 것

play02:39

이상이었는데 하위 1% 방어 자체가

play02:42

굉장히 잘 되었기 때문에 빡게 만다고

play02:44

해도 전혀 문제는 없을 거라고

play02:46

보여집니다 포르자 호라이즌 5는 높은

play02:48

옵션에서 평균 94 프레임 정도

play02:50

측정이 됩니다 역시 굉장히 높은

play02:52

프레임이 측정이 되었고요 레이싱

play02:54

게임용으로 활용해도 크게 문제가 없는

play02:56

성능이죠 디아블로 4는 최고

play02:58

옵션에서도 충분히 쾌 적한 모습을

play03:00

보여주었습니다 평균 80프레임 살짝

play03:02

안 되는데 디아코 하시는 분들은 뭐요

play03:04

정도 프레임이면 충분히 할만하다는

play03:06

것을 알고 있죠 가장 높은 옵션이니

play03:09

옵션 타협해 주면 프레임은 조금 더

play03:11

잘 나오기도 할 테고요 그리고 요즘

play03:13

핫한 게임이죠 펠 월드도 테스트를

play03:15

해봤는데요 중간 옵션으로 두면 실제

play03:17

필드에서는 60프레임 전후 측정이

play03:19

되고 거점에서는 한 70에서

play03:21

80프레임 뭐 왔다 갔다 하더라고요

play03:23

패키지 게임이다 보니 엄청 높은

play03:25

프레임은 필요가 없고 어 실제로

play03:26

저도요 데스크탑으로 패러드 시간 정도

play03:29

플레이 했습니다 정말 재밌더라고요

play03:31

그래픽 카드의 온도가 조금 높기는

play03:32

해요 가장 바닥면의 위치에 있어서

play03:35

그렇다고 볼 수가 있겠는데요 어

play03:36

그래도 다행히 소음은 없더라고요

play03:38

바이오스 화면에 들어가면 CPU 펜

play03:40

RPM 설정을 해 주는 부분이

play03:41

있는데요 디아블로 플레이할 때만

play03:43

어그레시브 설정을 해주고 나머지

play03:45

게임은 전부 콰이어트를 세팅을

play03:47

해뒀습니다 그래서 팬 소음을 최대한

play03:49

억제했고 소비 전력 훌륭합니다 가성비

play03:51

제품 두 개 붙여서 쓴 것이다 보니

play03:53

아마 데스크탑 전체 소비 전력을

play03:55

측정해도 250w 미만일 거예요

play03:57

전기료 부담도 적은 데스크탑이 이렇게

play04:00

꽤 많은 게임으로 테스트를 해봤는데

play04:01

어떠신가요 이게 55만 원으로 조립을

play04:04

한 컴퓨터인데 성능만 보면 말도 안

play04:06

되죠 실제로 여러분들이 하고 있는

play04:08

게임들로 테스트를 해봤음에도 정말

play04:10

잘되기 때문에 예산이 한정되어 있거나

play04:12

서브 컴을 맞춘다고 했을 때 딱 맞는

play04:15

갓성비 컴퓨터가 아닌가 좀 요런

play04:16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래 이거 이거

play04:19

부품 이상한 거 쓴 거 아니냐 아유

play04:21

아닙니다 당연히 예산이 더 많았으면

play04:24

좋았겠지만까지 신경을 썼거든요이

play04:26

구성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play04:28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lay04:30

아우 기가 막힙니다 그죠 예 자

play04:33

요렇게 같이 알아보면 좋겠죠 컴퓨터의

play04:36

두 해조 라이젠 5 5600

play04:38

활용했습니다 어 더 이상의 설명이

play04:40

필요 없을 정도로 너무나 유명한

play04:42

제품이죠이 가격에이 성능을 얻을 수

play04:44

있다는 건 진짜 현대 기술의

play04:45

축복이라고 저는 생각을 합니다 어

play04:47

비록 업그레이드가 이제는 끝이

play04:49

보이지만 뭐 여전히 가성비는

play04:50

훌륭하고요 어 그리고 내가이 am4

play04:52

소켓에서 끝을 좀 내겠다 어 하시는

play04:54

분들은 조만간 5700 x3d 아는

play04:56

제품도 출시를 할 예정인데요 어 이거

play04:59

구매해 해 끼면 뭐 am4 소켓에서

play05:01

뭐 더 이상의 업그레이드는 안 해도

play05:03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이 쿨러는

play05:05

아쉽게도 기본 쿨러입니다 기쿨 가장

play05:07

큰 문제점이 뭐였을까요 소음이 어

play05:09

그래서 소음을 억제한 상태에서 어

play05:12

테스트를 해 본 거고요 정말 다행인

play05:14

건 게임을 로드할 때를 제외하고는 뭐

play05:16

팬 RPM이 갑자기 확 친 나거나 뭐

play05:18

그런 거는 없었습니다 물론 기본

play05:20

서머를 활용하지 않은 것도 큽니다

play05:22

성린 샷한 xc4 어 제가 항상 쓰고

play05:25

있는 서머 있데요 서멀 중에서는

play05:26

굉장히 저렴한 편에 속해요 어 실제로

play05:28

저는 모든 프로 센서를이 서버로

play05:30

테스트를 합니다 어 이것보다 비싼

play05:32

제품들 널리고 널렸어요 그런데 저는이

play05:34

성린 샤카이 너무나 마음에 들고 어

play05:36

테스트 결과도 정말 정말 마음에

play05:38

들더라고요 어 나중에 여유 되시면은

play05:40

뭐 가성비 서버도 알아보시면 좋을 것

play05:41

같고요 그리고 메인보드는 바이오스타

play05:43

a520 MT 이엠텍 제품을

play05:46

활용했습니다 생체별 아 이거 좀 말이

play05:50

안 되는구만 좀 요렇게 생각을 하실

play05:53

수가 있는데 뭐요 가격대에서는 사실

play05:55

선택을 할 수 있는게 몇 개 없었고요

play05:56

무엇보다 저는이 제조사 브랜드보다는

play05:59

유통사 브랜드를 보고 선택을 하기로

play06:01

마음 먹었는데요 이텍 하면 AS 미친

play06:04

듯이 좋기로 소문이 난 회사잖아요

play06:05

제품이 고장이 났을 때 AS 문제로

play06:07

적어도 스트레스를 받지 않겠다 뭐

play06:09

그런 생각이 들어서 이엠텍 6통 4의

play06:11

제품을 선택했습니다 a520 MS

play06:14

있고 a520 MT 있는데 어

play06:17

다나와에서는 램 동작 클럭 표기가

play06:19

다르기는 한데 버미어 마티스에 동작

play06:21

클럭이 4400mhz 세잔

play06:23

르누아르에서 동작 클럭은 4933

play06:27

플러스 MHz이 스펙시트 상에서는

play06:29

똑같은 제품입니다 a520 MT n

play06:31

범위를 기준으로 표기를 한 거고

play06:33

a520 MS n 어 세잔을 기준으로

play06:36

표기를 한 거죠 어 그리고 m.2

play06:38

하나 뭐 사타네 개 전원부는 6페이즈

play06:41

포트 구성도 뭐 엄청 포트가 많은

play06:43

거는 아니지만 뭐 부족하지 않게

play06:44

구성이 되었더라고요 라이젠 5

play06:46

5,600 돌리기에는 뭐 전혀 문제가

play06:48

없는 뭐 그러한 스펙이라고 저는

play06:50

생각을 합니다 그리고 램은 삼성전자

play06:52

ddr4 3,200mhz 8gb 두

play06:54

개를 선택을 했고요 뭐 굳이 말이 더

play06:57

필요할까요 예이 이 램개말라 내가

play07:01

랩오버 좀 할 줄 안다 어 싶으면

play07:03

2666 구매를 하셔도 되는데 어쨌든

play07:05

랩오버 일반인의 영역은 아니니까 이제

play07:07

일반인 기준 이라면은 뭐 편하게요

play07:09

3,200 어 요거 구매하셔서 뭐

play07:11

쓰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저장 장치는

play07:13

웨스턴 디지털 SN 740 256gb

play07:16

어 당연히 벌크 제품이고요어요

play07:18

가격대에서는 속도가 제일 빠른 제품

play07:20

중 하나입니다이 웨스턴 디지털은

play07:22

개인적으로 제가 좋아하는 브랜드입니다

play07:24

예 그냥 무난해요네 아 이걸 기념

play07:27

없어서 속도 잖아요 뭐 하시겠지만

play07:30

게임을 설치하고 지우는데 뭐 전혀

play07:32

문제가 없었고요 뭐 대용량 파일만

play07:35

굉장히 자주 옮기지 않는다면이 그

play07:37

보통의 환경에서는 충분히 활용할 수가

play07:39

있습니다 어 실제로 저도어요 제품을

play07:41

한 80% 정도까지 용량을 채우고서

play07:44

이제 패러드 해 본 건데 보셨다시피

play07:45

성능 문제가 없죠 그리고 추가 확장

play07:48

용량이 필요하면은 이제 사타포트

play07:50

활용해서 저렴한 SSD 꽂아서 단순

play07:52

저장용으로 쓰시면 뭐 전혀 문제는

play07:54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여기

play07:56

하단에 보이는이 그래픽 카드는

play07:58

에이폭스 쥐포스 GTX 1660

play08:00

슈퍼요 제품을 활용했고 세 제품으로

play08:02

살 수 있는이 지포스 gtx 1660

play08:05

슈퍼 중에서는 가장 저렴한 제품 중에

play08:07

하나입니다 가성비가 좋다는 몇몇

play08:08

제품들이 가격이 슬금슬금 올랐어요

play08:11

그중 하나가 라데온 RX 6600

play08:13

이데요 20만 원 초반 선에서 구매를

play08:15

할 수 있었던 그래픽 카드가 현재는

play08:17

26만 원부터 시작을 합니다

play08:18

제조사별로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대략

play08:20

한 4에서 5만 원가량 뭐 상승을 한

play08:22

거 같아요 작년에 제가 23만 원에이

play08:25

에지락 챌린저고 모델을 구매했었는데

play08:27

그게 지금 28만 원 인가 그렇습니다

play08:30

아 가격 진짜 많이 올랐네요 그죠 와

play08:33

그래서 55만 원요 가격이라는 것을

play08:35

감안을 해서 퍼스 GTX 1660

play08:38

슈퍼를 선택을 하게 되었고요 출시

play08:40

당시에 GTX 1660 TI고 이제

play08:42

동일한 성능을 내면서 어 전력 효율과

play08:45

가격이 상대적으로 좋아서 가성비가

play08:47

좋은 그래픽 카드라는 얘기를 많이

play08:48

들었던 어 그래픽 카드인데요 어 지금

play08:51

기준으로 얘기를 좀 해 보면은 rtx

play08:53

350에서 성능이 살짝 다운이 되고

play08:56

티코어 텐서 코어 요런게 빠진

play08:58

제품이라고 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play09:00

그리고 라데온 그래픽 카드는 절대 안

play09:02

된다 뭐 그러한 분들이 있기 때문에

play09:04

20만 원 초반대 구매할 수 있는

play09:06

포스 GTX 1660 슈퍼 어 요거를

play09:09

이제 선택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play09:11

폭스라 브랜드는 메이저 브랜드는

play09:13

아닙니다 하지만 유통사가 대원 CTS

play09:15

든요 어 3년 as 안 될 가능성도

play09:18

없고 대원이 망할 가능성은 뭐 극히

play09:21

낮을 것 같은데요 어 대원 망하면

play09:24

진짜 PC 없게 완전 이렇게 왔다

play09:26

갔다 하는 거죠 메인보드와 마찬가지로

play09:29

격을 최대한 낮추면서를 충분히

play09:31

보장받을 수 있는 유통사 제품을

play09:33

노렸다고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물론

play09:35

여유가 된다면 메이저 브랜드를 구매를

play09:37

당연히 추천드리고요 바로 보이죠 파워

play09:39

서플라이는 마이크로닉스 포커스 2

play09:42

가트 ETA 브론즈 제품을 구매했고요

play09:45

어 무상 에이스 5년에 어 여기

play09:48

etaa 브론즈 인증을 받은

play09:50

제품입니다 어 브론즈 어 괜찮네

play09:53

그런데 말입니다 흔히 우리가 알고

play09:55

있는 인증 제도는 80플러스 인증을

play09:57

말하는 건데요이 파워서플 라인은

play09:59

사이버네틱스 ETA 인증을 받은게

play10:01

눈에 뜁니다 어 당연히 두 인증

play10:03

제도는 다르고요 여기서이 두 인증의

play10:05

차이를 얘기를 하려면은 뭐 정규 영상

play10:08

수준으로 만들어야 되니까 좀 쉽게쉽게

play10:10

얘기를 하자면 전력 효율성 측면에서

play10:12

보자면 80플러스 인증이 더 좋은

play10:14

기준을 가지고 있고요 전력 품질

play10:16

기준으로 보면은 ETA 인증이 더

play10:18

세분화된 등급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

play10:20

그래서이 등급별로 완벽하게 같은

play10:22

성능으로 묶인다 볼 수는 없는데

play10:24

etl 브론즈 등급은 80플러스

play10:26

브론즈 등급과이 비슷한 체급이 볼

play10:28

수는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저는 써

play10:30

봤잖아요 어이 파워 소음 조용합니다

play10:32

어 실제로도 ET 등급 기준 가격

play10:35

대비 소음은 굉장히 좋은 편에 속하는

play10:38

뭐 그런한 제품인데요 지금 생각을

play10:40

해도 아요 파워는 정말 잘 고른 거

play10:43

같다 어이 가격에이 정도면은 개꿀이다

play10:45

좀 요런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리고

play10:48

아이 케이스이 케이스 이것도 저는

play10:50

만족스러웠는데요 에디 m0 화이트

play10:53

모델이고요 2만 원도 채 안 하는

play10:55

가격에 요렇게 어

play10:58

미니미니한어요 갬성을 느낄 수 있는

play11:00

케이스입니다 어 보시면 아시겠지만

play11:01

진짜이 디자인이 정말 좋습니다요

play11:04

앞면만 보면은 아니 이거를 누가

play11:07

19,500원이라고 보겠습니까 그죠

play11:10

어 그리고 이렇게 앞부분 타공에 어

play11:12

측면도 공입니다 어 공기 순환에도

play11:14

크게 문제가 없고요 당연히 블랙

play11:16

제품이 더 저렴하지만 어 저는

play11:17

화이트를 좋아하니까요 화이트로 구매를

play11:19

했습니다 또 저가형 케이스지만이

play11:22

강판이 꽤

play11:23

괜찮더라고요음 이거

play11:25

봐봐 생각 이상으로 어 튼튼했고요

play11:29

마감도 제 기준에서는 나쁘진

play11:30

않았습니다 물론 가격이 가격이니만큼요

play11:33

후면팬 사이즈 작고요 핀입니다 어

play11:36

pwm 방식을 활용할 수 없는게 조금

play11:38

아쉽기는 한데 뭐 가격이 가격이니까

play11:41

좀 이해할 수 있는 뭐 그런한

play11:42

부분이라고 생각이 되고 아이 조립

play11:44

어이 조립이 참 생각보다 쉽지

play11:46

않습니다 어 일단이 케이블을 정리할

play11:49

수 있는 공간 자체가 없고요 내부도

play11:51

또 이렇게 작다 보니 어 손이 좀

play11:53

크신 분들은 진짜 스트레스를 조금

play11:54

받으실 거예요 어 그리고이 보통의

play11:57

케이스처럼 파워서프 플라이가 하단

play11:59

격벽 처리되어 있는게 아니라 요렇게

play12:01

상단에 달려 있는 부분도 아쉽긴 한데

play12:03

뭐 역시 가격을 보면은 뭐 이해가

play12:05

됩니다 이제 조립에 대해서 얘기해

play12:07

봐야겠죠 우선 많이 보고 많이 하는게

play12:10

중요합니다만 일반인 분들이 많이

play12:12

경험할 만한 루트는 없죠 그래서

play12:14

시청각 자료가 중요할 텐데요 작년에

play12:16

200만 원 수준에 PC 조립했을 때

play12:18

굉장히 자세하게 영상을 촬영한게

play12:20

있습니다 am5 소켓 기준이긴 하지만

play12:23

컴퓨터 조립이라는게 디테일의 차이만

play12:25

있을뿐 본질은 똑같아요 그래서 이걸

play12:27

보면 조립 순서에 대해 감을 잡을 수

play12:29

있을 것 같고요 이번 컴퓨터를 어떻게

play12:31

조립했는데 뭐 가볍게 다뤄보겠습니다

play12:33

우선 메인보드를 책상 위에 놓아

play12:35

주고요 CPU 제일 먼저 설치해 줄

play12:37

거예요 소켓 옆에 고정바를 살짝 눌러

play12:39

주면서 옆으로 당기고 위로 올려주면

play12:42

CPU 체결할 수 있는데요 지금

play12:43

메인보드 기준으로 라이젠 어떻게

play12:45

꽂히는지 보이시나요 우측으로 90도

play12:47

돌려서 설치하나요 이거 안 맞으면

play12:50

CPU 핀들 안 들어갑니다 그렇게 쏙

play12:52

들어가게 해주고요 고정바를 다시

play12:54

아래로 눌러서 잠궈 주면 메인보드와

play12:56

CPU 조립은 끝나게 되고요 번들

play12:58

쿨러를 설 설치하려면이 부분을 제거해

play13:00

줘야 합니다 드라이버로 나서 돌려서

play13:02

브라켓 제거해

play13:04

주고요 이때 메인보드 뒤편에 판이

play13:07

하나 있는데 이거는 활용할 거예요

play13:09

구멍에 맞춘 다음에 살포시 놓아

play13:11

주시면 되고요 번들 쿨러의 서머를

play13:13

활용해도 되고 저는 제가 가지고 있는

play13:15

서머리 있으니까 그걸 활용해 줄게요

play13:17

휴지로 싹 닦아주면 되고요 본인이

play13:19

원하는 대로 서머를 발라줍니다 라이젠

play13:21

구형 소켓은 당구장이 제일

play13:23

무난하더라구요 그리고 쿨러 방향에 잘

play13:25

맞춰서 구멍에 맞춰주고 드라이버로

play13:27

나사를 조여주면 됩니다 너무 꽉 조일

play13:29

필요는 없고요 어느 정도 조여주면 아

play13:31

더 이상 안 조여도 되겠구나 좀 요런

play13:33

느낌이 딱 옵니다 그리고는 메인보드

play13:35

상단에 CPU 펜이라고 보이죠 여기에

play13:37

쿨러 케이블을 꽂아 주면

play13:40

됩니다 참 쉽죠 그리고 램 소켓이 두

play13:43

개 있는데 순서대로 두 개 꽂아주면

play13:45

되겠습니다 걸세 젖힌 다음에 따닥

play13:47

소리가 날 때까지 눌러 주면 됩니다

play13:49

그리고 SSD 설치도 해 줘야겠죠

play13:51

고정 마개를 열어 주고 좌측 엠다스

play13:53

슬롯에 맞춰서 SSD 쓱 밀어 줍니다

play13:56

그리고 아까 열었던 마개를 덮어주면

play13:58

SSD 설치도 끝나게 됩니다 이렇게

play14:00

하면 메인보드의 CPU 쿨러 램 저장

play14:03

장치까지 모두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play14:05

이제는 파워 서플라이를 설치할 건데요

play14:07

케이스 상단에 설치가 되어야 하고

play14:09

나사 구멍을 일치시켰다 men 바로

play14:11

나사로 고정을 하면

play14:16

됩니다네 군데 고정해 주면 되거든요

play14:18

흔들리지 않게 잘 고정해 주고요

play14:20

메인보드 포트 실드도 설치를 해 줄

play14:22

건데요 여기서 HDMI DP 포트가

play14:24

막혀 있는데 뒤편으로 꺾어 줄 거예요

play14:26

그래야 메인보드 설치할 때 번글 가

play14:28

않고요 위치에 맞게 놓아주고

play14:30

모서리부터 꾹꾹 눌러주면 됩니다

play14:32

그리곤 메인보드를 설치하면 되죠 먼저

play14:34

설치했던 실드와 포트의 위치가 잘

play14:36

맞게 놓아주고 메인보드 하고

play14:38

케이스하고 고정도 해야 하잖아요 나사

play14:40

구멍 잘 확인한 후에 나사로 적당히

play14:42

조여주면 됩니다 그리고는 그래픽 카드

play14:44

연결에 필요한 8핀 케이블을 제외하고

play14:46

나머지 케이블은 모두 연결을 해 줄

play14:48

거예요 메인보드 케이블 연결하고

play14:50

CPU 파워 케이블도 연결하고 후면

play14:52

펜도 시스템 펜에 연결하고 하단에

play14:55

USB 3.0 오디오이 정도는 뭐

play14:57

쉬운 부분이긴 한데 프런트 패널

play14:59

케이블이 가장 복잡하죠 제가 활용하는

play15:01

케이스는 딱 요렇게만 꽂으면 됩니다

play15:04

상단에네 개만 활용을 하고 좌측부터

play15:06

파워는 플러스 마이너스 확인해서

play15:08

꽂아주면 됩니다 왼쪽이 플러스

play15:10

오른쪽이 마이너스 그리고 파워 오프는

play15:12

방향 상관없이 그냥 꽂아주기만 하면

play15:14

됩니다 그렇게 되면 요런 모습을 하고

play15:17

있을 거예요 이제 선 정리를 해주고요

play15:19

그래픽 카드를 설치해 줄 거예요 포트

play15:21

활용을 위해 가운데 두 개를 제거해

play15:23

줄 건데요 살살 움직이면 톡하고 분리

play15:26

되거든요 손 다치지 않게 조심해서 해

play15:28

주시고요 그리고 PCI 익스프레스

play15:30

슬롯에 맞게 조심조심 꽂아준 후에

play15:32

케이스와 나사로 잘 고정해 주면

play15:33

됩니다 그리곤 8핀 케이블을 꽂아주면

play15:36

모든 연결은 끝나게 되죠 윈도우 설치

play15:38

방법 역시 제가 예전에 촬영해 놓은게

play15:40

있습니다 이걸 보시면 크게 문제는

play15:42

없을 거예요 그리고 조금 더 저렴하게

play15:44

알아보고 싶다 중고 써도 괜찮다 어

play15:47

뭐 요렇게 생각을 하신다면은 GTX

play15:49

1660 슈퍼의 경우는 중고 매물이

play15:51

꽤나 많이 있습니다 다만가 끝난

play15:53

제품들이 대부분이고요가 남았다고 해도

play15:56

어 1년 미만입니다 어가 가 종류가

play15:59

된 제품은 리스크가 조금 있으니까 한

play16:01

수개월 AS 기간이 남은 제품을 한

play16:03

15만 원 전으로 구매를 해서 무상

play16:05

AS 기간 내에 좀 빡시게 테스트를

play16:07

하면은 중고 장터에서 구매를 해도

play16:09

충분히 괜찮을 것 같고요 라이젠 5

play16:11

5,600 같은 경우는 중고매물이

play16:13

많이 소화가 된 것 같더라고요 다만

play16:15

올해 3월 달 쯤에 이제 알리에서

play16:17

대규모 행사가 진행 중인 걸로 알고

play16:19

있는데요 어 저도 2023년 작년이

play16:22

작년 4분기에 알리 행사를 진행하면서

play16:24

라이젠 5 5,600 9만원 수준으로

play16:26

여러분들한테 소개를 했었잖아요 어

play16:28

요러한 비슷한 기회가 또 온다면 어

play16:30

굉장히 저렴하게 구매를 할 수 있는

play16:31

셈이 되는 거죠이 프로세서 같은

play16:33

경우는 분량 체크가 이제 통과가 되고

play16:35

나면은 크게 고장이 날 일은 없는

play16:37

제품입니다 그래서 재활용할 수 있는

play16:39

여러 부품들이 있다면은 뭐 충분히 한

play16:41

40만 원 초반 어 조금만 더 이제

play16:43

타이트하게 보면은 30만원 후반

play16:44

때까지 생각을 해 볼 수가 있는 어

play16:47

그러한 견적이라도 생각이 드는데요

play16:49

구간이 명관이다 예전에 가성비로

play16:51

사랑을 받던 제품들의 조합은

play16:53

2024년 현재도 갓성비로 사랑받기

play16:56

충분하다 좀 요렇게 정리를 하고

play16:57

싶습니다 예 이제 정리를 해보자면

play17:00

많은 구독자분들께서 50만 원에 해

play17:02

주세요 뭐라고 말씀을 해 주셨지만이

play17:04

세 제품으로 50만 원은 정말 많은

play17:06

것들을 포기를 해야 했는데요 어 제가

play17:09

아마 50만 원까지 내려서 이제 세

play17:11

제품으로 맞춘다면 프로세서를 라이젠

play17:13

5 4,500 르나르 x요 수준으로

play17:16

맞추거나 그래픽 카드를 GTX

play17:18

1650 뭐요 정도로 맞췄어야 됐을

play17:20

겁니다 어 지금보다 훨씬 아쉬운 뭐

play17:21

그러한

play17:22

성능이었다 추가한 55만 원

play17:25

수준에서는 뭐요 정도는 어 세제품으로

play17:27

맞출 수가 있고 어 실제로 활용을

play17:29

해도 만족스러운 성능이었다 O

play17:32

부품들의까지도 고려를 한게 지금의이

play17:34

PC 아고 봐 주시면은 좋을 것

play17:35

같은데요 물론 돈을 조금 더 드리면

play17:39

더 좋은 브랜드 더 좋은 성능 뭐

play17:41

이런 것들을 얻는 거는 너무나

play17:42

당연하겠죠 또 요즘 경기가 많이 안

play17:44

좋잖아요 어 컴퓨터에 뭐 200

play17:46

300만 원 뭐 이렇게 쓰는게 뭐

play17:48

말이 쉽지 뭐 절대로 쉬운 건는

play17:50

아니라고 생각을 합니다 최대한 가격을

play17:52

낮추면서이 현재 출시된 뭐 대부분의

play17:54

게임들을 부담없이 즐기려는 분들을

play17:56

위한 게이밍 컴퓨터라는 점은 을 제가

play17:58

다시 한번 말씀을 드리면서 어 이렇게

play18:01

소개한 갓성비 게이밍 컴퓨터 영상이

play18:03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play18:04

좋겠습니다 자 그럼 오늘 55만원짜리

play18:06

컴퓨터 영상은 여기까지고요 어 영상

play18:08

재밌었다면 구독과 좋아요 해주시는 것

play18:10

잊지 마시고요 그럼 전 다음에도

play18:12

재밌는 영상으로 찾아오겠습니다 다음에

play18:14

또 보자고요 안녕 55만 원이면

play18:17

솔직히 rtx 4060 TI 하나

play18:20

가격입니다 그 그래픽 카드 가격으로

play18:22

요렇게 맞춘 거예요 어 당연히

play18:24

가성비도 좋고 어 오래 쓸 수도

play18:26

있고이 정도면은 생각보다 너무 좋은

play18:29

거 같은데